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정성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Lyons, Christopher 엄정호, 역
Title Statement
한정성 / Christopher Lyons 지음 ; 엄정호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20  
Physical Medium
xv, 559 p. ; 23 cm
Varied Title
Definiteness
ISBN
978896817863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89-517)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Definiteness (Linguistics)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Syntax Semantics Pragmatic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5476
005 20200910094042
007 ta
008 200908s2020 ulk b 001c kor
020 ▼a 9788968178634 ▼g 93700
035 ▼a (KERIS)BIB000015590798
040 ▼a 221008 ▼c 221008 ▼d 211040 ▼d 211009
041 1 ▼a kor ▼a eng ▼h eng
082 0 4 ▼a 415 ▼2 23
085 ▼a 415 ▼2 DDCK
090 ▼a 415 ▼b 2020z1
100 1 ▼a Lyons, Christopher
245 1 0 ▼a 한정성 / ▼d Christopher Lyons 지음 ; ▼e 엄정호 옮김
246 1 9 ▼a Definiteness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0
300 ▼a xv, 55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489-517)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0 ▼a Definiteness (Linguistics)
650 0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Syntax
650 0 ▼a Semantics
650 0 ▼a Pragmatics
700 1 ▼a 엄정호, ▼e
900 1 0 ▼a 라이언스, 크리스토퍼,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20z1 Accession No. 5110428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언어가 어떻게 한정성을 표현하는지 그리고 한정성이 무엇인지를 보이기 위해서, 비교언어학적 관점과 이론적 관점에서 한정성을 탐구한다. 광범위한 언어들을 살펴보면서 한정성과 관련된 변이의 범위 그리고 지시사, 소유격, 인칭 대명사 등의 이와 관계가 있는 문법적 현상을 발견하려고 한다.

한정성의 본질에 대한 의미론적, 화용론적 그리고 통사론적 업적들을 개관하고, 한정성이 통사론에서 (널리 논의된 D라는) 기능적 핵으로 표상되는 문법 범주라는 설명을 전개한다. 또한 비교언어학적 그리고 이론 언어학적 발견들에 힘입어 정관사의 기원과 진화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 책은 언어가 어떻게 한정성을 표현하는지 그리고 한정성이 무엇인지를 보이기 위해서, 비교언어학적 관점과 이론적 관점에서 한정성을 탐구한다. 이 책에서는 광범위한 언어들을 살펴보면서 한정성과 관련된 변이의 범위 그리고 지시사, 소유격, 인칭 대명사 등의 이와 관계가 있는 문법적 현상을 발견하려고 한다. 이 책은 한정성의 본질에 대한 의미론적, 화용론적 그리고 통사론적 업적들을 개관하고, 한정성이 통사론에서 (널리 논의된 D라는) 기능적 핵으로 표상되는 문법 범주라는 설명을 전개한다. 또한 비교언어학적 그리고 이론 언어학적 발견들에 힘입어 정관사의 기원과 진화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제시된 주장을 몇 가지 들면, 한정성이라는 의미를 표현하는 화용론적 개념이 모든 언어에 출현하더라도, 문법 범주로서의 한정성이 모든 언어에서 출현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 많은 언어에 문법 범주로서의 한정성에 대명사 체계에는 있지만, 다른 범주에서는 없다는 것, 소유격에 한정성이 내재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 그리고 한정성은 인칭의 문법 범주에 동화된다는 것 등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크리스토퍼 라이언스(지은이)

케임브리지대학교 언어학 교수

엄정호(옮긴이)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차례|
저자서문
역자서문
약어표
일러두기

1. 기본적인 관찰
1.1 한정성이란 무엇인가?
1.2 한정 명사구의 유형
1.3 단순 그리고 복합 비한정사
1.4 명사구
1.5 명사구를 넘어선 한정성

2. 단순 한정사와 비한정사
2.1 한정성과 비한정성 표시하기
2.2 한정사: 의미 내용과 행태
2.3 정관사의 유형
2.4 한정성을 표시하는 다른 방법들
2.5 비한정사
2.6 일반적인 언급

3. 복합 한정사 및 비한정사
3.1 지시사
3.2 고유명사
3.3 소유격
3.4 인칭대명사
3.5 보편 양화사와 다른 양화사들
3.6 비한정사
3.7 비한정 지시사
3.8 호격
3.9 비형상적 언어

4. 몇 가지 의미론적 그리고 화용론적 구분들
4.1 하나의 한정성이냐 여러 개의 한정성이냐?
4.2 특정성과 지시성
4.3 총칭사
4.4 맺는 말

5. 다른 문법 현상과의 상호작용
5.1 직접목적어 표지
5.2 동사 일치
5.3 한정성과 유정성
5.4 관사와 명사 자질 표시
5.5 영 그리고 암묵적 명사구
5.6 분류사
5.7 결론적 요점

6. 한정성 효과
6.1 담화 구조
6.2 존재문
6.3 여타의 한정성 효과

7. 한정성 정의하기
7.1 문법적, 논리적 그리고 화용론적 전통들
7.2 Hawkins: 포괄성과 처소
7.3 한정성과 양화
7.4 적합성 이론
7.5 그래, 그렇다면 한정성이란 무엇인가?

8. 한정성과 명사구의 구조
8.1 NP로서의 명사구
8.2 DP 가설
8.3 수정 DP 분석
8.4 형상성과 한정성
8.5 한정성과 인칭
8.6 제안들에 대한 요약

9. 통시적 양상
9.1 기능 구조의 발생
9.2 관사의 기원
9.3 더 장기적인 조망
9.4 결론으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