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구려 고고학

고구려 고고학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현숙, 姜賢淑, 1959- 양시은, 梁時恩, 1975-, 저 최종택, 崔鍾澤, 1964-, 저
서명 / 저자사항
고구려 고고학 = Koguryo archaeology / 강현숙, 양시은, 최종택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20  
형태사항
401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중앙문화재연구원학술총서 ;45
ISBN
9788963474434
일반주기
부록: 고구려 성 목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7-40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5052
005 20230912174141
007 ta
008 200904s2020 ggka b 000c kor
020 ▼a 9788963474434 ▼g 93900
035 ▼a (KERIS)BIB000015649092
040 ▼a 221016 ▼c 221016 ▼d 211009
082 0 4 ▼a 951.901 ▼2 23
085 ▼a 953.032 ▼2 DDCK
090 ▼a 953.032 ▼b 2020z6
100 1 ▼a 강현숙, ▼g 姜賢淑, ▼d 1959- ▼0 AUTH(211009)11495
245 1 0 ▼a 고구려 고고학 = ▼x Koguryo archaeology / ▼d 강현숙, ▼e 양시은, ▼e 최종택
260 ▼a 과천 : ▼b 진인진, ▼c 2020
300 ▼a 401 p. : ▼b 삽화 ; ▼c 26 cm
440 0 0 ▼a 중앙문화재연구원학술총서 ; ▼v 45
500 ▼a 부록: 고구려 성 목록
504 ▼a 참고문헌: p. 387-401
700 1 ▼a 양시은, ▼g 梁時恩, ▼d 1975-, ▼e▼0 AUTH(211009)66757
700 1 ▼a 최종택, ▼g 崔鍾澤, ▼d 1964-, ▼e▼0 AUTH(211009)113512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2 2020z6 등록번호 1118374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32 2020z6 등록번호 1513509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32 2020z6 등록번호 1118374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32 2020z6 등록번호 1513509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 고대사의 주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신라, 백제에 비해 연구성과가 부족하던 고구려 고고학 개괄 연구서인 <고구려 고고학>이 발간되었다.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5권이다. 중앙문화재연구원은 민간학술연구기관으로서 고고학 연구자들을 위한 학술 서적과 일반인을 위한 고고학 교양서적 등을 발간해 왔다.

이번에 발간된 <고구려 고고학>은 그동안 발간되었던 고구려, 발해 분묘 유적 자료집 시리즈와 <신라고고학 개론>, <마한 고고학 개론> 등의 연구서 발간작업의 맥락을 이은 성과이다. <고구려 고고학>의 후속 작업으로 <발해 고고학>이 편찬된다.

고구려 고고학은 중국 동북지방과 북한 지역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와 중국, 북한 당국의 역사 해석의 문제 등으로 인해 남한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제약이 많은 분야이다. <고구려 고고학>의 세 저자인 강현숙, 최종택, 양시은 교수는 각각 고구려의 고분, 유물, 성곽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국내 고구려 고고학 연구 분야를 이끌고 있는 권위자들로서, 각각의 연구 업적과 경험을 이 저작에 집약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 고대사의 주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신라, 백제에 비해 연구성과가 부족하던 고구려 고고학 개괄 연구서인 『고구려 고고학』이 발간되었습니다.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45권입니다. 중앙문화재연구원은 민간학술연구기관으로서 고고학 연구자들을 위한 학술 서적과 일반인을 위한 고고학 교양서적 등을 발간해 왔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고구려 고고학』은 그동안 발간되었던 고구려, 발해 분묘 유적 자료집 시리즈와 『신라고고학 개론』, 『마한 고고학 개론』 등의 연구서 발간작업의 맥락을 이은 성과입니다. 『고구려 고고학』의 후속 작업으로 『발해 고고학』이 편찬될 예정입니다.
고구려 고고학은 중국 동북지방과 북한 지역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와 중국, 북한 당국의 역사 해석의 문제 등으로 인해 남한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제약이 많은 분야입니다. 『고구려 고고학』의 세 저자인 강현숙, 최종택, 양시은 교수는 각각 고구려의 고분, 유물, 성곽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국내 고구려 고고학 연구 분야를 이끌고 있는 권위자들로서, 각각의 연구 업적과 경험을 이 저작에 집약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고구려 고고학』은 고고학 전공의 학생들이나 고대사 연구자들이 고구려 고고학 전반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괄하는 목적으로 저술되었으며, 120년간의 고구려 고고학 연구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고구려 고고학 연구에 있어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성, 관방 유적, 고분과 함께 고구려 유물 전반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고구려 고고학』은 총 7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고구려 고고학 전반에 대한 개관을 제시합니다.
2장 연구사에서는 고구려 연구사를 일제 강점기인 1895~1945 시기를 제1기, 북한과 중국에서 고구려 고고학 연구가 활발했으나 북한 연구자들이 주도하던 1946~1973 시기를 제2기, 중국 연구자들이 고구려 고고학을 주도하던 1974~1994 시기를 3기, 1992년 남한-중국 수교 이후 중국 내 한국인 연구자들의 접근이 가능해진 1995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4기로 구분해서 정리했습니다.
3장 도성에서는 졸본 도성, 국내 도성, 평양 도성을 각각의 독립된 절로 나누어 상세하게 소개했습니다.
4장 관방유적과 건축지에서는 250기에 달하는 군사적 방어시설인 산성-보루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그 외 건축물을 왕궁, 관청, 사찰, 사당, 주택으로 구분하여 살펴봅니다.
5장 고분에서는 고구려 고분의 기본형태인 적석총이 봉토분과 기단봉토분을 거쳐 벽화분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6장 고구려유물에서는 장신구, 토기, 와전, 무기와 무구, 마구, 농공구 등 유물의 용도와 기능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소개합니다.
7장 고구려 고고학의 과제와 전망은 이 저술이 정리한 성과의 의의와 한계를 바탕으로 고구려 고고학의 과제를 정리했습니다.

진인진은 일찍이 2013년과 2016년에 이 책의 공동저자인 강현숙, 양시은 교수의 저작인 『고구려고분연구』와 『고구려성 연구』를 발간한 바 있으며, 『고구려 고고학』 발간으로 우리나라 고구려 고고학 연구서의 전체 내용을 총괄하는 작업의 마지막 귀퉁이를 메우는 보람 있는 작업에 참여하는 영광을 같이하게 되었습니다.
동북아 고대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고구려 관련 문헌자료와 물질자료의 간극을 극복하는 차원 높은 역사인식의 교두보로서 『고구려 고고학』이 널리 활용되기를 기원합니다.

지은이 소개_

강현숙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양시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부교수
최종택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

책을 쓴 세 사람은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구려 고분, 성, 토기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대학에서 고고학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고구려 고분 연구』(강현숙 2013), 『고구려 성 연구』(양시은 2016),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경영』(최종택 2013)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강현숙(지은이)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졸업(문학박사) 대표논저: 『고구려와 비교해 본 한, 위·진 벽화분』(지식산업사, 2005), 『고구려 왕릉연구』(동북아역사재단, 2009, 공저), 『고구려 고분 연구』(진인진, 2013), 『고구려고고학』(진인진, 2020, 공저), 『발해 고고학』(진인진, 2021, 공저)

최종택(지은이)

1964년 정선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박사 서울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방문교수 고려대학교고고환경연구소 소장 한국고고학회 학보편집위원장 2022년 현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

양시은(지은이)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부교수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高句麗 都城制 再考」(『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며 _3
머리말 _5
Ⅰ. 고구려 고고학 개관 _15
Ⅱ. 고구려 유적 조사와 연구 개황 _23
1. 고구려 고고학 연구 제1기 _27
2. 고구려 고고학 연구 제2기 _29
3. 고구려 고고학 연구 제3기 _33
4. 고구려 고고학 연구 제4기 _39
Ⅲ. 도성 _45
1. 졸본 도성 _47
2. 국내 도성 _53
3. 평양 도성 _63
Ⅳ. 관방유적과 건축지 _75
1. 관방유적 _77
2. 건축지 _127
Ⅴ. 고분 _140
1. 적석총 _142
2. 봉토분과 기단봉토분 _178
3. 벽화분 _184
4. 왕릉 _211
5. 고분의 전개 _230
6. 남한지역의 고구려 고분 _236
Ⅵ. 고구려유물 _259
1. 장신구 _261
2. 토기 _268
3. 와전 _292
4. 무기와 무구 _312
5. 마구 _335
6. 농공구 및 기타 _345
Ⅶ. 고구려 고고학의 과제와 전망 _359
부록: 고구려 성 목록 _366
참고문헌 _387

관련분야 신착자료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앙박물관 (2022)
길승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