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 개정판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Ricœur, Paul, 1913-2005 김동규, 1980-, 역 박준영, 역
서명 / 저자사항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 폴 리쾨르 지음 ; 김동규, 박준영 옮김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20  
형태사항
802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판, 연표 ; 23 cm
원표제
De l'interpretation : essai sur Freud
ISBN
9788974185961
일반주기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Freud, Sigmund,   1856-1939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4276
005 20220915130328
007 ta
008 200824s2020 ggkafj 001c kor
020 ▼a 9788974185961 ▼g 93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150.1952 ▼2 23
085 ▼a 150.1952 ▼2 DDCK
090 ▼a 150.1952 ▼b 2020z2
100 1 ▼a Ricœur, Paul, ▼d 1913-2005 ▼0 AUTH(211009)143535
245 1 0 ▼a 해석에 대하여 : ▼b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 ▼d 폴 리쾨르 지음 ; ▼e 김동규, ▼e 박준영 옮김
246 1 9 ▼a De l'interpretation : ▼b essai sur Freud
250 ▼a 개정판
260 ▼a 고양 : ▼b 인간사랑, ▼c 2020
300 ▼a 802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판, 연표 ; ▼c 23 cm
500 ▼a 색인수록
600 1 0 ▼a Freud, Sigmund, ▼d 1856-1939
700 1 ▼a 김동규, ▼d 1980-, ▼e▼0 AUTH(211009)78263
700 1 ▼a 박준영, ▼e▼0 AUTH(211009)146656
900 1 0 ▼a 리쾨르, 폴,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1952 2020z2 등록번호 1118324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리쾨르의 본격적인 독해이며 프로이트와의 철학적 대화이다. 리쾨르는 프로이트의 사유를 일정 부분 주체의 자기 이해의 도정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불투명한 코기토가 꿈으로 표현되는 상징이나 기호 등의 매개를 거쳐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우리는 삶의 도상 속에서 자신을 끊임없이 이해하고 해석한다는 점을 프로이트를 빌려 이야기한다. 리쾨르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출간되는 『해석에 대하여』는 그의 대표작으로 리쾨르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책이며 프로이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본질적으로 프로이트에 관한 논의를 위한 것이다
이 책은 프로이트를 다룰 뿐 정신분석학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이 책은 심리학에 대한 것이 아니라 철학에 대한 것이다

나의 문제는 프로이트 담론의 일관성에 대한 것으로
첫째 인식론의 문제
둘째 반성철학의 문제
셋째 변증법의 문제이다.
-폴 리쾨르, 『해석에 대하여』

『해석에 대하여』는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리쾨르의 본격적인 독해이며 프로이트와의 철학적 대화이다. 리쾨르는 프로이트의 사유를 일정 부분 주체의 자기 이해의 도정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불투명한 코기토가 꿈으로 표현되는 상징이나 기호 등의 매개를 거쳐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고, 우리는 삶의 도상 속에서 자신을 끊임없이 이해하고 해석한다는 점을 프로이트를 빌려 이야기한다. 리쾨르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출간되는 『해석에 대하여』는 그의 대표작으로 리쾨르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책이며 프로이트를 새로운 시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폴 리쾨르(지은이)

1913년 프랑스 남동부 발랑 시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집안은 독실한 프로테스탄트 가정이었다. 2세 때 부모가 사망하여 브르타뉴 렌느 시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하고 대학을 졸업하였다. 1935년 파리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였고 유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자로 알려진 가브리엘 마르셀에게 철학과 신학을 배웠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가 독일군에 잡혀 스위스에서 5년간 포로생활을 하였다. 당시 후설의 저서들을 탐독한 것이 계기가 되어 후설 연구가로도 알려졌다. 1950년 후설의 《현상학의 이념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프랑스에 소개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현상학을 통하여 인간 존재의 유한성을 밝히고 그러한 유한성으로 초월적 존재인 신을 해명하려고 노력하였다. 1948∼1956년 스트라스부르대학, 1956년부터는 파리대학 철학교수로 재직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의지적인 것과 비의지적인 것 Le volontaire et l’involontaire》(1949)에서 의지에 관한 현상학적 기술을, 《유한성과 죄악 가능성 Finitude et culpabilit?》(1960)에서 종교적인 상징에 대한 해석학을, 《해석에 대하여 De l’interpr?tation》(1965)에서 프로이트를 재해석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였다. 1966년 그리스도교 좌파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위하여 낭트대학으로 자리를 옮겼으나, 1968년 학생혁명이 좌절되자 급진적인 학생들과 지식인들로부터 외면당하여 1970년 해임되었다. 그 뒤 시카고대학과 파리대학을 중심으로 강의와 저술활동을 하였다. 이후 그 동안 몰두했던 해석학의 주제도 상징에서 텍스트로 바뀌게 되었다. 그는 상징언어에 대한 해석의 폭이 너무 좁다고 여겨, 텍스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 존재를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 1975년에 《살아 있는 메타포 La m?taphore vive》를, 1983·1984·1985년에 연속으로 《시간과 이야기 Temps et r?cit 1, 2, 3》를 펴냈다. 1990년에는 《타자로서의 자기 자신 Soi-m?me comme un autre》을, 1992년에는 대표 논문을 모은 《강좌 Lecture》를 출간하였다. 2005년 별세하였다.

박준영(옮긴이)

‘수유너머 104’ 연구원. 현대철학 연구자. 서강대, 상지대, 서울과학기술대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현재는 성신여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학부(동국대)에서 불교철학을, 대학원(서강대)에서 석박사 모두 프랑스철학을 연구하였다. 주로 들뢰즈와 리쾨르의 철학을 종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에 관심을 두고 번역과 연구를 하고 있다. 육후이(Yu k Hui)의 기술철학, 그리고 불교철학과 현대서양철학의 관계도 연구 대상이다. 논문은 「들뢰즈에게서 ‘철학’과 ‘철학자’」, 「신유물론의 이론적 지형」 등을 썼다. 번역서로는 『신유물론: 인터뷰와 지도제작』,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공역)이 있다. 공저로 『신유물론: 몸과 물질의 행위성』, 『K-OS』, 『욕망, 고전으로 생각하다』, 『사랑, 고전으로 생각하다』 등이 있다.

김동규(옮긴이)

총신대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서강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폴 리쾨르 연구로 석사학위를, 마리옹과 리쾨르의 주체 물음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벨기에 루븐[루뱅] 대학교 신학&종교학과에서 마리옹의 계시 현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문학과지성사, 2014), 『선물과 신비: 장-뤽 마리옹의 신-담론』(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공저, 도서출판 100, 2020)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출에 관해서』(에마뉘엘 레비나스, 지만지, 2008),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에서 메를로퐁티까지』(피에르 테브나즈, 그린비, 2011),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폴 리쾨르, 공역, 인간사랑, 2020),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에마뉘엘 레비나스, 그린비, 2014), 『예술로서의 삶』(재커리 심슨, 공역, 갈무리, 2016), 『교회를 위한 철학적 해석학: 누구의 공동체? 어떤 해석?』(메롤드 웨스트팔, 도서출판 100, 2019), 『윤리와 무한: 필립 네모와의 대화』(에마뉘엘 레비나스, 도서출판 100, 2020), 『과잉에 관하여: 포화된 현상에 관한 연구』(장-뤽 마리옹, 그린비, 2020), 『재신론』(리처드 카니, 갈무리, 2021) 등이 있다. 현재 서강대 생명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의 운영위원, 한국현상학회 연구이사로 일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U Amsterdam) 종교&신학과 박사과정에서 현대 유럽 대륙철학과 종교철학, 종교 간 대화 문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의 말 · 20
서문 · 29

1권 문제제기 : 프로이트의 입지 33

1 장_언어, 상징, 해석에 대하여 35
1. 정신분석학과 언어 35
2. 상징과 해석 40
3. 상징에 대한 비판을 위하여 45
2장_해석들의 갈등 59
1. 해석이라는 개념 60
2. 의미에 대한 묵상으로서의 해석 71
3. 혐의 추궁으로서의 해석 77
3장_해석학적 방법과 반성철학 83
1. 상징에 의뢰하는 반성 84
2. 반성에 의뢰하는 상징 88
3. 반성과 다의적 언어 95 4. 반성과 해석학적 갈등 104

2권 분석론 : 프로이트 읽기 109

들어가는 말 : 프로이트를 읽는 방법 111

1부 : 에너지론과 해석학 119
프로이트주의의 인식론적 문제 120
1장_해석학 없는 에너지론 124
1. 항상성 원칙과 양적 기관 127
2. 지형학을 향하여 142
2장_『꿈의 해석』에서 에너지론과 해석학 149
1. 꿈 작업과 주해 작업 151
2. 7장의 ‘심리학’ 169
3장_「메타심리학에 관한 논고」에서 충동과 대표 185
1. 지형학적-경제학적 관점과 충동 개념의 획득 188
2. 대표와 표상 211

2부 : 문화 해석 235
1장_꿈의 유비 242
1. 꿈의 특권 242
2. 예술작품의 유비 247
2장_꿈꾸기에서 승화로 268
1. 해석의 기술적 접근과 임상적 접근 271
2. 해석의 발생적 방법 280
3. 메타심리학적 문제 : 초자아라는 개념 313
3장_환영 338
1. 환영과 욕망의 전략 340
2. 설명의 발생적 단계 : 토테미즘과 유일신교 347
3. 종교의 경제적 기능 362

3부 : 에로스, 타나토스, 아낭케 371
1장_쾌락원칙과 현실원칙 378
1. 현실원칙과 ‘이차 과정’ 380
2. 현실원칙과 ‘대상 선택’ 390
3. 현실원칙과 자아의 경제적 과제 397
2장_죽음충동 : 사변과 해석 404
1. 삶과 죽음에 대한 프로이트적 ‘사변’ 404
2. 죽음 충동과 초자아의 파괴성 421
3. 에로스와 타나토스 사이의 문화 433
3장_심문 443
1. 부정성이란 무엇인가? 444
2. 쾌락과 만족 454
3. 현실이란 무엇인가? 462


3권 변증법 : 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해석 483

1장_인식론 : 심리학과 현상학 사이 488
1. 정신분석학의 인식론적 과정 489
2. 정신분석학은 관찰의 학문이 아니다 507
3. 정신분석학적 영역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531
4. 정신분석학은 현상학이 아니다 550
2장_반성 : 주체의 고고학 589
1. 프로이트와 주체 물음 591
2. 이드의 실재성, 의미의 관념성 605
3. 고고학이라는 개념 616
4. 고고학과 반성철학 635
3장_변증법 : 고고학과 목적론 644
1. 의식의 목적론적 모형 : 헤겔적 현상학 648
2. 넘어설 수 없는 삶과 욕망 657
3.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a) 조작개념 663
4.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b) 동일화 696
5. 프로이트주의의 암시적 목적론 : c) 승화에 관한 물음 677
4장_해석학 : 상징에의 접근 691
1. 상징의 과잉결정 694
2. 상징의 위계질서 707
3. 승화와 문화적 대상의 문제에 관한 변증법적 재검토 718
4. 신앙과 종교 : 성스러운 것의 애매성 732
5. 종교 정신분석학의 가치와 한계 742


프로이트 저작 연표 · 771
찾아보기 · 79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