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4204 | |
005 | 20200824161113 | |
007 | ta | |
008 | 200824s2020 ulk d 001c kor | |
020 | ▼a 9791165190286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155.03 ▼2 23 |
085 | ▼a 155.03 ▼2 DDCK | |
090 | ▼a 155.03 ▼b 2020 | |
100 | 1 | ▼a 양돈규, ▼g 梁敦圭 |
245 | 1 0 | ▼a 발달심리 용어사전 = ▼x Dictionary of developmental psychology / ▼d 양돈규 저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c 2020 | |
300 | ▼a v, 596 p. ; ▼c 27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1자료실(2층)/참고 | 청구기호 R 155.03 2020 | 등록번호 111832538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발달심리에 관한 서적이나 논문을 볼 때, 또는 강의를 들을 때 나오는 용어들의 뜻과 표현을 보다 쉽고 명료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집필한 용어사전이다. 발달심리 분야와 관련된 용어들을 가능한 한 많이 담아 소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발달심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뿐만 아니라 발달심리 분야와 다른 관련 분야들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심리학 용어들도 소개하였다.
용어들을 '한글-한자-영어'의 순으로 표기한 후에 그 개념을 제시하였다. 발달심리 용어들의 한글 표기, 한자 표기 및 영어 표기를 모두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의 용어들이 가지고 있는 핵심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전의 후반부에는 각각의 용어들을 '영어-한글-한자'의 순으로 표기한 후에 각 용어들의 개념을 소개하고 있는 본문의 위치(쪽 번호)를 제시하였다.
머리말
여러 해 동안 준비해 온 발달심리 용어사전을 출간하게 되었다.
필자는 앞서 심리학소사전(2003, 학지사)과 심리학용어집(2003, 학지사)을 출간하였고, 이어 2013년과 2017년에는 심리학소사전을 큰 폭으로 증보한 심리학사전제1판(2013, 박학사)과 심리학사전제2판(2017, 박영사)을 출간한 바 있다. 특히 2003년에 출간한 심리학소사전은 심리학 전공자가 집필한 국내 최초의 심리학사전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대학 심리학과에 입학하여 처음 접한 심리학 용어들이 낯설고 어려워 대학도서관과 대형서적에서 이 용어들의 의미를 시원하게 설명해 줄 심리학사전류를 찾아다녔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히 남아 있다. 당시 그런 수고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책을 찾기 어려웠던 경험이 지난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심리학 용어들을 탐구하고 사전을 집필하도록 만든 계기가 되었다.
현재 ‘발달심리’는 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상담학, 교육학, 유아교육학, 아동학, 청소년학, 성인·노년학, 가정관리학 등과 같은 학문 분야들에서 필수 과목 또는 주요 선택 과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발달심리’는 주요 전공 분야의 하나로 학문 세계와 실제 삶의 영역에서 중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발달심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번역·표현과 의미 전달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부정확한 표현이나 설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 왔기 때문에 이 용어들의 표현과 의미를 보다 명료하게 소개해 줄 사전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필자도 오랫동안 발달심리 공부를 해 오면서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표현과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알려 줄 사전의 필요성을 느끼고 발달심리 용어사전을 집필하게 되었다. 몇 년의 집필 과정을 통해 이번에 출간하게 된 본 사전은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발달심리를 공부하는 학습자들이나 전공자들이 발달심리 용어들의 표현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발달심리 관련 학문 분야나 자녀발달과 양육에 관심이 있는 교육자들, 부모들 및 일반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사전은 발달심리에 관한 서적이나 논문을 볼 때, 또는 강의를 들을 때 나오는 용어들의 뜻과 표현을 보다 쉽고 명료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발달심리 분야와 관련된 용어들을 가능한 한 많이 담아 소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사전에는 발달심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뿐만 아니라 발달심리 분야와 다른 관련 분야들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심리학 용어들도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가 앞서 출간한 심리학사전(제2판)에 소개된 용어들 가운데 발달심리 분야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과 내용을 포함시켰다. 또한 본 사전에는 발달심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해 온 대표적인 학자들과 발달심리 이론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학자들도 소개하였다.
본 사전에서는 용어들을 한글-한자-영어의 순으로 표기한 후에 그 개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독자들은 본 사전을 통해 발달심리 용어들의 한글 표기, 한자 표기 및 영어 표기를 모두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의 용어들이 가지고 있는 핵심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전의 후반부에는 본 사전에서 다루고 있는 용어들을 영어 표현(영어 단어)을 중심으로 찾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용어들을 영어-한글-한자의 순으로 표기한 후에 각 용어들의 개념을 소개하고 있는 본문의 위치(쪽 번호)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영어로 표현된 발달심리 관련 용어들의 한글 표기와 한자 표기를 바로 확인·비교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의 용어들이 가진 핵심 개념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본 사전을 통해 여러 학문 분야들에서 발달심리를 전공하거나 학습하는 학생들과 연구자들, 그리고 발달심리나 자녀양육과 발달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이 발달심리 관련 용어들이 가진 의미와 표현을 이해하고 이를 학문 활동이나 실제 생활 속에서 활용해 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20년
역사와 문화의 고장
지평 도서관에서
저자 양돈규
감사의 글
그동안 필자에게 많은 도움과 성원을 보내 주신 여러분들께 깊이 감사드리고 싶다.
고흥화 교수님(중앙대학교 명예교수), 권준식 교수님(세명대학교), 김병선 박사님(브레인컬러연구소), 김상현 교수님(세명대학교), 김성훈 교수님(세명대학교), 김수정 박사님(가톨릭대학교), 김재휘 교수님(중앙대학교), 김정인 박사님(다양성연구소), 김종범 박사님(마음벗 김종범정신과의원), 김태련 교수님(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김형일 교수님(수원여자대학교), 박명실 박사님(LG디스플레이), 박찬교 선생님(용문중·고등학교장 역임), 변명숙 박사님(사이발달상담심리연구소), 변신원 교수님(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서범석 교수님(세명대학교), 성옥련 교수님(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작고), 송길연 박사님(아이캔! 인지학습발달센터), 심응철 교수님(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양병화 교수님(강원대학교), 오세진 교수님(중앙대학교), 이민희 박사님(희망숲심리상담센터), 이선인 교수님(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이인혜 교수님(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이재성 교수님(중앙대학교), 이지연 박사님(서울대학교), 이철원 박사님(마음힐링센터 자인), 이현수 교수님(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이현혜 교수님(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임휘용 부원장님(SADI), 장승구 교수님(세명대학교), 장재홍 교수님(서강대학교), 정연우 교수님(세명대학교), 조남근 총장님(대원대학교, 작고), 조한근 전무님(DKSH Korea), 최상진 교수님(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작고), 현명호 교수님(중앙대학교), 홍성열 교수님(강원대학교 명예교수), 홍숙기 교수님(강원대학교 명예교수), 홍준표 교수님(중앙대학교 명예교수), 그리고 중앙대학교와 세명대학교 및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의 여러 교수님들과 선생님들께도 감사드린다.
좋은 책이 되도록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박영사 안종만 회장님, 많은 분량의 원고 편집과 조판 및 표지 디자인 등 여러 부분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안상준 대표님과 노현 대표님, 그리고 편집 과정에서 시작 단계부터 마무리까지 정성을 다해 세심한 교정과 도움을 주신 조보나 선생님과 편집부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
항상 마음 깊은 곳에서 힘이 되어 주시는 부모님과 장인·장모님, 학교장 퇴임 후에도 늘 글을 쓰며 부모님의 역할을 해 주신 큰누나 양순일 님과 교직 퇴임 후에도 늘 책을 가까이하며 집안의 어른이 되어 주신 큰매형 민문기 님, 한결같은 모습으로 삶을 함께해 준 아내 진성영과 사랑하는 딸 양지우, 그리고 가족들 모두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저자 양돈규
정보제공 :

저자소개
양돈규(지은이)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졸업(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석사, 발달심리 전공) 중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박사, 발달심리 전공) 상담심리전문가(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1급) 중독상담전문가(한국상담심리학회, 중독상담심리전문가1급) <경력> 중앙대 대학원, 상명대 정치경영대학원, 서울여대 및 한신대 교육대학원(석사/박사과정) 강사 중앙대 심리학과 겸임교수 역임 세명대학교 심리학/상담교수 역임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교수 역임 현재 한국심리학회, 한국발달심리학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원심리학&상담연구소 대표 <저서/역서> 심리학사전(제2판)(박영사, 2017) 심리학사전(제1판)(박학사, 2013) 심리학소사전(학지사, 2003) 심리학용어집(학지사, 2003)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학교상담(공역)(시그마프레스, 2015) 성인발달과 노화(제6판)(공역)(센게이지러닝, 2012) 아동 연구의 이해와 방법(공역)(박학사, 2012) 인간행동과 심리학(제3판)(공저)(학지사, 2010) 심리학과 생활(공저)(서현사, 2008) ADHD 아동의 재능(공역)(시그마프레스, 2007) 인간행동과 심리학(제2판)(공저)(학지사, 2005) 성인발달과 노화(제3판)(공역)(시그마프레스, 2001) 발달심리학(공역)(시그마프레스, 2000) 청소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공역)(학지사, 1998) 심리학개론(공저)(학지사, 1995) <논문/연구보고서>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인터넷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 간의 상관성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인터넷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 간의 관계 위험행동에 대한 낙관성 및 감각추구성향의 영향 지각된 사회적지지, 낙관성 및 해슬 간의 상관성 인터넷 사용이 대인관계의 발달 및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경향에 따른 대인관계활동 및 만족도의 차이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이용과 대인관계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접촉경험과 성비행간의 관계 성희롱 행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차이 교원 성희롱 성폭력 행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성희롱 문제인식과 성희롱 행동경험에 미치는 영향 등 약 45편의 논문과 연구보고서가 있다.

목차
ㄱ 가계 연구 ~ 꿈의 분석 1 ~ 55 ㄴ 나쁜 세상 신념 ~ 니콜라스 틴버겐 56 ~ 70 ㄷ 다문화 가정 ~ 뚜렛 장애 71 ~ 97 ㄹ 라마즈 분만 ~ 리허설 98 ~ 104 ㅁ 마거릿 미드 ~ 믿음-소망 추론 105 ~122 ㅂ 바빈스키 ~ 삐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123 ~ 164 ㅅ 사건 기억 ~ 쓰기 언어 상실증 165 ~ 237 ㅇ 아기 ~ 입천장 갈림증 238 ~ 322 ㅈ 자각몽 ~ 집단주의 사회 323 ~ 392 ㅊ 착각 ~ 칭찬 393 ~ 412 ㅋ 카렌 호나이 ~ 킴벌리 S. 영 413 ~ 420 ㅌ 타나토스 ~ 틴버겐 421 ~ 435 ㅍ 파괴적, 충동통제 및 품행 장애 ~ 피최면성 436 ~ 450 ㅎ 하드웨어 ~ 히스테리 451 ~ 476 A~Z Abraham Harold Maslow ~ ZPD 477 ~ 503 0~9 1차성 불임 ~ 21 삼염색체성 504 ~ 508 영문 찾아보기 A(ability test) ~ Z(zygote) 509 ~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