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4202 | |
005 | 20200824160122 | |
007 | ta | |
008 | 200824s2020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28882142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5544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01.9 ▼2 23 |
085 | ▼a 401.9 ▼2 DDCK | |
090 | ▼a 401.9 ▼b 2020 | |
100 | 1 | ▼a Field, John, ▼d 1945- |
245 | 1 0 | ▼a 심리언어학, 말과 마음의 학문 / ▼d 존 필드 지음 ; ▼e 이성은 옮김 |
246 | 1 9 | ▼a Psycholinguistics : ▼b a resource book for students |
260 | ▼a 서울 : ▼b 학이시습, ▼c 2020 | |
300 | ▼a xiv, 330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11-32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linguistics |
700 | 1 | ▼a 이성은, ▼e 역 |
900 | 1 0 | ▼a 필드, 존,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9 2020 | Accession No. 1118325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9 2020 | Accession No. 5110429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의 마음과 언어의 관계를 연구하는 심리언어학은 인간의 인지 체계가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책은 심리언어학 전문 용어와 논의의 배경이 되는 이론들은 자세한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핵심 개념들을 독자들이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자신의 언어 사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을 직접 사고해 볼 기회를 부여한다.
심리언어학은 인간의 말과 마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우리가 언어라고 부르는 체계 이면에 존재하는 인지 처리 과정과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간의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등의 언어 행위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의 정신 작용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다음 질문들을 던지고 답을 찾아 간다. 우리가 읽고, 듣고, 말하고, 쓸 때 우리 머릿속에서 구체적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까? 어휘는 우리의 마음속에 어떻게 저장될까? 언어 지식과 의미 정보는 뇌의 어느 부분에 저장되어 있을까? 뇌 손상 혹은 노화는 언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선천적인 청각장애가 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무엇일까? 유아는 어떻게 모국어를 습득할까?
저자는 독자들이 선행 지식 없이도 이 책을 통해 심리언어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랐다. 각종 전문 용어와 복잡한 이론에 압도되어 심리언어학의 세계에 입문하지 못하는 초심자들이 많음을 우려해, 최대한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고자 했다. 하지만 쉽고 간결한 설명에 집중하느라 심도 있는 논의를 소홀히 하지도 않았다. 심리언어학의 열두 가지 연구 주제(심리언어학 일반, 동물과 언어, 뇌와 언어, 단어의 저장, 단어의 사용, 언어 처리 과정, 쓰기 과정, 읽기 과정, 듣기 과정, 말하기 과정, 언어 이해 이론, 언어장애)를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 순서로 배열하고 각 주제를 A(기초), B(심화), C(탐구), D(확장) 단계로 다시 나누는 방식으로 책을 구성해, 누구든지 관심이 가는 주제와 원하는 수준에서 학습을 시작하여 깊이를 더해 갈 수 있도록 돕는다. 기초, 심화, 탐구 단계에서는 본문과 관련해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는 탐구 활동 과제와 실습 과제를 제시하여 구체성과 실용성을 더한다. 확장 단계에서는 독자들이 학습을 이어가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자료를 추가로 제시하여 외연을 넓힌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존 필드(지은이)
모국어 및 제2언어 사용자의 읽기 과정에 대한 논문으로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심리언어학 분야의 전문가로 인지심리학을 통해 제2언어 습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제2언어 사용자의 듣기 과정이다. 또한 언어 교육과 언어 테스트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데, 특히 언어 테스트의 인지적 검증 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벨기에,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중국, 홍콩, 탄자니아에서 영어 교사들과 함께 일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교과서를 집필했고 홍콩에서 언어 학습 자료를 제작했다. 또한 BBC 월드 서비스와 중국 방송통신대학을 위한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 자료를 구상했다.
이성은(옮긴이)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인지과학 협동과정 교수다.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신경언어학을 주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경언어학 영역에서 한국인 학습자가 독일어를 습득하고 사용할 때 나타나는 인지적 특성들을 연구해 왔다. 현재 주 연구 분야는 뇌 영상술을 활용한 언어 처리 과정 분석이다. 또한 인문학 연구 주제를 공학, 심리학, 의학 등의 분야와 융합하여 연구하는 것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간접화행의 인지신경언어학적 이해모델”(2019), “다중 언어 습득 및 처리 과정의 인지기제?제3언어 습득이 제2언어 통사 처리에 미치는 인지적 효과”(2017)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심리언어학 입문 저자의 글 역자의 글 A. 기초: 심리언어학의 핵심 개념 A1 심리언어학이란 A2 언어, 발화, 의사소통 의사소통 언어 말하기 A3 언어와 뇌 뇌 구조 간략하게 보기 인간의 뇌와 동물의 뇌 비교 A4 단어를 ‘아는 것’ 내용어와 기능어 어휘 요소 목록 A5 어휘 정보의 저장과 인출 어휘의 저장 상태는 어휘의 인출 과정에 기여한다 약한 결합과 강한 결합 확산 활성화 A6 언어 정보 처리 과정 지각과 패턴 인지 데이터 저장 작업 기억의 처리 한계 구성 작용으로서의 처리 재현의 층위 A7 쓰기 체계 로고그래픽 시스템 알파벳 시스템 어느 시스템이 더 용이할까? A8 읽기에서 해독 과정 하위 처리 과정 vs. 상위 처리 과정 해독 과정 이원 경로 모델에 대한 몇 가지 확장된 생각들 A9 듣기의 이슈들 듣기 연구에서 흔히 접하는 이슈들 처리 과정에 따른 해결 정보 저장에 따른 해결 A10 말하기의 특성 A11 장기 기억과 스키마 장기 기억 스키마 이론 스키마의 구성 공유 지식 A12 예외적인 언어 사용 환경 감각장애 언어발달장애 언어와 인지의 관계 언어 발달의 독립성 B. 심화: 심리언어학 데이터 B1 심리언어학 데이터 B2 동물의 의사소통 인간 언어의 중요한 속성들 동물의 의사소통 결론 B3 뇌의 언어 중추 실어증 연구의 근거 실어증의 특성 뇌 영상 연구 B4 어휘 형식 어휘 요소 목록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음성 형태의 재현 및 표기 형태의 재현 저장과 인출 사이의 ‘상보적 관계(trade?off)’ B5 어휘 연관성 의미 연관성 실험적 근거 형태적 연관 관계 종합 B6 상향식, 하향식 처리 과정 재현의 층위 순차적 vs. 병렬적 처리 과정 문맥의 역할 하향식 어휘 처리 과정 독립 처리 vs. 상호 처리 B7 단어 단위 쓰기 쓰기 실수 운동 처리 과정 B8 읽기와 안구 운동 B9 범주 지각 B10 말하기의 단계 B11 의미의 재현 정보의 통합 의미 재현의 층위 정신 모델 정신 모델: 더 생각할 점들 B12 언어장애 말더듬증 난독증과 난서증 C. 탐구: 분석 및 고찰 C1 심리언어학 연구 대상으로서 언어 언어학자 vs. 심리학자 말하기 vs. 쓰기 언어의 산출 vs. 언어의 수용 하위 처리 과정 vs. 상위 처리 과정 C2 말하는 유인원 연구 결과 침팬지의 ‘언어’가 시사하는 점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3 언어의 편측화 언어와 편측화 언어의 편측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결정기 가설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4 ‘의미’란? 전통적인 견해 전형 이론 몇 가지 결론들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5 어휘 인출 모델 순차적 모델 vs. 병렬적 모델 활성화 모델 입말과 코호트 이론 보이는 것처럼 단순하지 않은 문제들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6 기억과 언어 청각 언어 정보와 작업 기억 작업 기억 능력의 한계 통제 처리 vs. 자동 처리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7 쓰기의 단계 쓰기 버퍼 하위 처리 과정 vs. 상위 처리 과정 쓰기 단계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8 읽기에 숙련된 사람 vs. 숙련되지 않은 사람 상향식 읽기 vs. 하향식 읽기 문맥에 대한 연구들 문맥의 역할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9 실시간 듣기 과정 듣는 그대로 떠올리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통사적 문장 분석 운율 정보의 역할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10 말하기 모델 실습 과제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11 추론 연결 추론 정교 추론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C12 청각장애: 소규모 집단 연구 읽을거리 & 생각해 보기 D. 확장: 심리언어학의 읽을거리 D1 심리언어학의 목표 D2 언어의 진화 D3 언어의 편재화와 편측화에 대한 재검토 D4 어휘 범주 형성하기 D5 어휘 처리 과정 D6 작업 기억에 대한 개관 D7 숙련된 글쓰기의 요소 D8 글자로 읽기 vs. 전체 단어로 읽기 D9 단어의 경계 설정 D10 말하기의 자가 모니터링 D11 대용어의 해석 D12 특수 언어발달장애에 대한 두 가지 관점 더 읽을거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