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역) 부재일기

(국역) 부재일기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엄경수, 嚴慶遂, 1672-1718 구순옥, 역 장재석, 역 조천래, 역
서명 / 저자사항
(국역) 부재일기 / [엄경수 저] ; 구순옥, 장재석, 조천래 번역
발행사항
서울 :   서울역사편찬원,   2020  
형태사항
3책 : 삽화, 가계도 ; 24 cm
총서사항
서울사료총서 ;17
원표제
孚齋日記
ISBN
9791160710960 (v.1) 9791160710977 (v.2) 9791160710984 (v.3) 9791160710953 (세트)
일반주기
색인수록  
권말 원문 수록  
v.1. 474, 101 p. -- v.2. 551, 145 p. -- v.3. 653, 143 p.  
교열·감수: 김진옥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1351
005 20200818101922
007 ta
008 200813s2020 ulkaj 001cm kor
020 ▼a 9791160710960 (v.1) ▼g 94910
020 ▼a 9791160710977 (v.2) ▼g 94910
020 ▼a 9791160710984 (v.3) ▼g 94910
020 1 ▼a 9791160710953 (세트)
035 ▼a (KERIS)BIB000015645750
040 ▼a 211015 ▼d 244004 ▼c 244004 ▼d 211009
041 1 ▼a kor ▼a chi ▼h chi
074 ▼k 51-6113542-000048-01
082 0 4 ▼a 895.78203 ▼2 23
085 ▼a 897.8303 ▼2 DDCK
090 ▼a 897.8303 ▼b 엄경수 부
100 1 ▼a 엄경수, ▼g 嚴慶遂, ▼d 1672-1718
245 2 0 ▼a (국역) 부재일기 / ▼d [엄경수 저] ; ▼e 구순옥, ▼e 장재석, ▼e 조천래 번역
246 0 9 ▼a 孚齋日記
260 ▼a 서울 : ▼b 서울역사편찬원, ▼c 2020
300 ▼a 3책 : ▼b 삽화, 가계도 ; ▼c 24 cm
440 0 0 ▼a 서울사료총서 ; ▼v 17
500 ▼a 색인수록
500 ▼a 권말 원문 수록
500 ▼a v.1. 474, 101 p. -- v.2. 551, 145 p. -- v.3. 653, 143 p.
500 ▼a 교열·감수: 김진옥
546 ▼a 一部 韓漢對譯
700 1 ▼a 구순옥, ▼e
700 1 ▼a 장재석, ▼e
700 1 ▼a 조천래,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8303 엄경수 부 1 등록번호 1118321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8303 엄경수 부 2 등록번호 1118321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8303 엄경수 부 3 등록번호 1118321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부재일기>는 조선 후기 문신 엄경수가 35세였던 1706년(숙종 30) 2월 12일부터 47세였던 1718년 5월 2일까지 12년간 기록한 일기이다. 이 기간은 엄경수가 1706년 승문원에 들어간 때부터, 1716년 윤선거·윤증 부자를 논박한 신구(申球)를 처벌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삭출 당하고 1718년 6월 사망하기 직전까지이다.

국역 부재일기 1
- 병술년(1706, 숙종 32) 2월 ~ 신묘년(1711, 숙종 37) 8월


『부재일기』는 조선 후기 문신 엄경수(嚴慶遂, 1672∼1718)가 35세였던 1706년(숙종 30) 2월 12일부터 47세였던 1718년 5월 2일까지 12년간 기록한 일기이다. 이 기간은 엄경수가 1706년 승문원에 들어간 때부터, 1716년 윤선거·윤증 부자를 논박한 신구(申球)를 처벌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삭출 당하고 1718년 6월 사망하기 직전까지이다.『부재일기』는 별도의 서문이나 발문은 없고 책 서두에 다음의 간략한 글이 실려 있다.

나는 본래 기억력이 없어, 하루 사이에 주고받은 일이 지나가면 곧바로 잊어버린다. 이런 까닭으로 지금까지 살아온 30여년의 옛일을 되돌아보니 까마득히 기억나는 것이 없다. 아, 이렇게 세상을 살아간다면 남에게 웃음거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드물 것이다. 이 일기를 쓰는 이유는 뒷날 상고하고 징험할 바탕으로 삼고 잊어버리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서일 뿐이다.

위의 짤막한 문장에 지나간 과거의 일을 잊지 않고 훗날 징험할 바탕으로 삼기 위해 일기를 쓴다는 뜻을 드러냈는데, 일기 내용 속에서 잊지 않고 일기를 쓰려는 모습과 기이한 일이나 유람 등을 일기에 기록하기 위해 친구들에게 글을 부탁하는 모습 등을 통해 계획성을 가지고 정성 들여 일기를 썼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12년간의 기록인 『부재일기』에는 가족들이 모여 시를 짓는 단란한 모습, 처음 관직에 나아가 치러야하는 면신례의 괴로움, 서울 양반들의 놀이문화, 한강을 주 교통로로 활용했던 모습, 한강 주변의 경광, 벼슬에서 쫓겨난 양반의 궁핍한 생활, 역사적 인물에 대해 전해지는 이야기, 교우관계와 인맥, 명승지 유람, 세시 풍속, 풍수지리, 의술 등이 담겨 있으며, 정치적 논란이 된 사건, 당쟁, 망묘례(望廟禮)·망궐례(望闕禮)·진하식(陳賀式) 등의 궁궐 의례도 담겨 있다.
이 가운데 임금의 근황과 조정에서 벌어진 사건 등에 대한 기록은 『숙종실록』 또는 『승정원일기』의 기록과 일치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번역문] 부재일기 권1
병술년(1706, 숙종 32) 2월
정해년(1707, 숙종 33)
무자년(1708, 숙종 34)
기축년(1709, 숙종 35)
부재일기 권2 285
기축년(1709, 숙종 35) 9월
경인년(1710, 숙종 36)
신묘년(1711, 숙종 37)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