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 : 영화와 문학으로 배우는 의학 이야기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시진 오흥권, 저
서명 / 저자사항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 : 영화와 문학으로 배우는 의학 이야기 = Narrative medicine / 권시진, 오흥권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홍익출판미디어그룹,   2020  
형태사항
231 p. : 삽화 ; 21 cm
ISBN
979119710860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28-23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1134
005 20221220155230
007 ta
008 200812s2020 ggka b 000c kor
020 ▼a 9791197108600 ▼g 03300
035 ▼a (KERIS)BIB000015631464
040 ▼a 211036 ▼c 211036 ▼d 211009 ▼d 211092
082 0 4 ▼a 610.2 ▼a 791.436561 ▼2 23
085 ▼a 610.2 ▼2 DDCK
090 ▼a 610.2 ▼b 2020z2
100 1 ▼a 권시진
245 1 0 ▼a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 : ▼b 영화와 문학으로 배우는 의학 이야기 = ▼x Narrative medicine / ▼d 권시진, ▼e 오흥권 지음
260 ▼a 파주 : ▼b 홍익출판미디어그룹, ▼c 2020
300 ▼a 231 p. : ▼b 삽화 ; ▼c 21 cm
504 ▼a 참고문헌: p. 228-231
700 1 ▼a 오흥권,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2 2020z2 등록번호 1118319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0.2 2020z2 등록번호 1310546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안암 외과 610.2 2020z2 등록번호 931003863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0.2 2020z2 등록번호 1513512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0.2 2020z2 등록번호 1118319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0.2 2020z2 등록번호 1310546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안암 외과 610.2 2020z2 등록번호 931003863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0.2 2020z2 등록번호 1513512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19년 서울의대 교육상>을 받을 정도로 의대생들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얻어 ‘서울의대 최고인기 교양강의’라 불리고 있는 이 수업은 질병을 단지 의학적 지식으로만 접근하는 게 아닌, 환자를 질병의 숙주가 아니라 하나의 온전한 인격체로 이해하는 인간적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다.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은 강좌에서 다루었던 19편의 영화와 의대생들이 치열하게 나눈 인문적 담론을 담고 있다. 강의에 활용한 영화의 선정 기준은 의료인이나 환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작품으로, 의대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보다 사려 깊고 균형 잡힌 사고를 하는 온전한 의사로 성장하기를 다짐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서울의대 최고인기 교양강의 <내러티브 의학> 책으로 출간
-좋은 의사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먼저라는 깨달음을 얻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는 <내러티브 의학(Narrative medicine)>이라는 교양강의가 있다. 이 수업은 질병과 환자와 인간의 관계를 임상 현장, 의학 연구와 교육에 활용하는 의학적 접근법을 배우는데 문학작품, 영화, 실제 의사와 환자의 경험 같은 내용으로 학생들이 토론을 하거나 시나 에세이를 써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019년 서울의대 교육상>을 받을 정도로 의대생들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얻어 ‘서울의대 최고인기 교양강의’라 불리고 있는 이 수업은 질병을 단지 의학적 지식으로만 접근하는 게 아닌, 환자를 질병의 숙주가 아니라 하나의 온전한 인격체로 이해하는 인간적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 책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은 강좌에서 다루었던 19편의 영화와 의대생들이 치열하게 나눈 인문적 담론을 담고 있다. 강의에 활용한 영화의 선정 기준은 의료인이나 환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작품으로, 의대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보다 사려 깊고 균형 잡힌 사고를 하는 온전한 의사로 성장하기를 다짐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19편의 영화와 함께 진행된 질병 이야기, 의술의 본분을 깨닫는다.
-환자를 질병의 숙주가 아니라 하나의 온전한 인격체로 이해하는 과정

책에 소개되는 영화들을 통해 학생들은 희소병을 가진 환자를 만나기도 했고 남미대륙을 모험하는 의대생, 환자를 잃은 자책감에 괴로워하는 젊은 의사, 탁월한 수술 실력으로 명성을 얻은 흑인 의사, 알츠하이머병에 걸려 지적 능력을 잃어가는 대학교수, 그리고 감염병에 용감하게 맞서 싸우는 의사들을 만났다.

드라마 <스카이 캐슬>에서는 어떤 아버지가 고집하는 교육 목표가 등장한다. ‘성적을 올려 남보다 우위에 서는 것’이 최고라는 얘기였다. 하지만 그런 목표는 설령 이룬다고 해도 공허하기 그지없는 것들이다. 의대생들은 이 강좌를 통해 세속적인 평가로는 계량할 수 없는 깊고 넓은 바탕을 가진 선량한 의사가 되기를 바라게 되었다고 말한다.

딱딱한 의학서적을 잠시 내려놓고 영화와 문학작품을 통해 의술의 본분을 깨닫게 한다는 착상이 무엇보다 참신하고, 이를 뛰어난 필력으로 옮겨낸 노력이 빛난다. 공부만 잘해서 되는 의사가 아니라 환자와 가족을 먼저 생각하는 인간적인 의사가 되기를 바라는 의대생들의 따뜻한 가슴이 느껴지는 책. 책에는 영화 주제와 관련한 질병들에 관한 자세한 해설이 곁들여져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오흥권(지은이)

분당서울대병원 대장암센터 외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외과 전공의 과정을 거쳐, 외과 전문의가 되었다. 육군 군의관으로 복무 후 대장항문외과 전임의 과정을 거쳐 2013년부터 분당서울대병원 외과에서 환자들을 만나고 있다. 제17회 한미수필문학상 대상을 받았고(201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상을 받았다(2019). 고된 일상에서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늘 그리워하고, 글쓰기야말로 삶을 흡수하고 정리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는다. 2018년에는 제17회 한미수필문학상 대상을 받았고, 2019년에는 <영화와 문학으로 보는 내러티브 의학> 강의로 서울의대 교육상을 받았다. 이 강의에서 펼쳐진 인문학적 고민을 담아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을 썼다. 지금도 병원에서 아픈 환자를 치료하고, 균형 잡힌 사고를 하는 의사가 많아지길 바라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권시진(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수석 졸업하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다니고 있다. 서울대 의대 최고인기 교양수업 <영화와 문학으로 보는 내러티브 문학>을 수강하면서 함께 강의를 들은 동기들과 ‘좋은 의사’에 대한 담론을 나누고 토론했다. 그 결과로 오흥권 교수와 이 책 《의과대학 인문학 수업》을 함께 정리하고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Class 1. 〈언노운 걸〉 사소한 결정이 일상을 뒤흔들다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언노운 걸: 유럽 난민 사태와 보건체계
Class 2. 〈사랑의 기적〉 소소한 일상의 소중함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로빈 윌리엄스의 자살 - 루이소체 치매
Class 3. 〈시티 오브 조이〉 상대방의 입장에서 세상을 보는 역량, 공감!
영화 속 의학 이야기 현대판 시티 오브 조이 클리닉, 머시 십
영화 속 의학 이야기 한센병이란 무엇인가
Class 4. 〈8월의 크리스마스〉 시간을 추억으로 박제하는 사진사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인류 최고의 적, 암
Class 5. 〈컨테이젼〉 팬데믹, 9년 전 영화가 현실이 되다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우리의 희망, 백신 개발
Class 6. 〈밀리언 달러 베이비〉 가족보다 더 가족 같은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안락사 vs 존엄사
Class 7.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혁명가가 된 의대생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의대생이었지만 다른 길을 걸은 사람들
Class 8. 〈칠드런 오브 맨〉 미래가 없는 세계의 비참한 풍경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인구 자연감소의 시대를 눈앞에 두다
Class 9. 〈타고난 재능: 벤 카슨 스토리〉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의사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역사상 가장 길었던 수술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미국 최고의 훈장, 대통령 자유훈장을 받은 의사들
Class 10. 〈리포 맨〉 서바이벌 로터리 제도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최초의 장기이식수술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장기 밀매 암시장
Class 11. 〈패치 아담스〉 빨간 코를 붙인 피에로 의사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돌이킬 수 없는 선택
Class 12. 〈스틸 앨리스〉 기억 속에 남겨진 나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인지 장애 혹은 치매 체크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치매
Class 13. 〈화장〉 인간의 욕망과 사회적 규범 간의 갈등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너무도 고통스럽고 긴 여정
Class 14. 〈게임 체인저〉 미식축구, 열광 뒤에 숨겨진 위험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뇌 은행이 정말 있을까?
Class 15. 〈나, 다니엘 블레이크〉이름이란 무엇인가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심장마비는 정말 갑자기 찾아올까?
Class 16. 〈엘리펀트 맨〉 우리는 저마다 주홍 글씨를 안고 산다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낙인과 병명
Class 17. 〈겟 아웃〉 타인의 건강한 몸을 노린다
영화 속 의학 이야기 현실 속의 뇌 이식
Class 18. 〈로즈〉 억울한 누명으로 반평생을 정신병원에 갇혀 지낸 여자
영화 속 의학 이야기 정신질환자의 입원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Class 19. 〈1987〉 1987년의 양심
영화 속 의학 이야기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에필로그
참고 자료와 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亜留間次郎 (2022)
McEwen, Melanie (2023)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