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백남준 :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 2판(개정판)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백남준, 1932-2006 Decker, Edith, 편 Lebeer, Irmeline, 편 임왕준, 역 정미애, 역 김문영, 역 이유진, 역 마정연, 역
Title Statement
백남준 :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 백남준 글 ; 에디트 데커, 이르멜린 리비어 엮음 ; 임왕준 [외]옮김
판사항
2판(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용인 :   백남준아트센터,   2018  
Physical Medium
447 p. : 삽화 ; 23 cm
Varied Title
Du cheval à Christo et autres écrits
ISBN
9788997128419
General Note
공역자: 정미애, 김문영, 이유진, 마정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1121
005 20200813110838
007 ta
008 200812s2018 ggka 001c kor
020 ▼a 9788997128419 ▼g 93680
035 ▼a (KERIS)BIB000014972208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700.92 ▼a 709.04 ▼2 23
085 ▼a 700.92 ▼2 DDCK
090 ▼a 700.92 ▼b 2018z1
100 1 ▼a 백남준, ▼d 1932-2006
245 1 0 ▼a 백남준 : ▼b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 ▼d 백남준 글 ; ▼e 에디트 데커, ▼e 이르멜린 리비어 엮음 ; ▼e 임왕준 [외]옮김
246 1 9 ▼a Du cheval à Christo et autres écrits
246 3 ▼a 말에서 크리스토까지
250 ▼a 2판(개정판)
260 ▼a 용인 : ▼b 백남준아트센터, ▼c 2018
300 ▼a 447 p. : ▼b 삽화 ; ▼c 23 cm
500 ▼a 공역자: 정미애, 김문영, 이유진, 마정연
500 ▼a 색인수록
700 1 ▼a Decker, Edith, ▼e
700 1 ▼a Lebeer, Irmeline, ▼e
700 1 ▼a 임왕준, ▼e
700 1 ▼a 정미애, ▼e
700 1 ▼a 김문영, ▼e
700 1 ▼a 이유진, ▼e
700 1 ▼a 마정연, ▼e
900 1 0 ▼a Paik, Nam-june, ▼e
900 1 0 ▼a 데커, 에디트, ▼e
900 1 0 ▼a 리비어, 이르멜린,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92 2018z1 Accession No. 11183194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8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적인 예술가 백남준의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백남준의 책’인 <백남준 : 말에서 크리스토까지>는 백남준 연구자인 이르멜린 리비어(Irmeline Lebeer)와 에디트 데커(Edith Decker)가 미국, 유럽, 한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백남준의 글들을 모아서 공동으로 편집한 앤솔로지의 우리말 번역이다. 독자는 백남준의 목소리를 통해 누구보다 먼저 예술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사유하고 실천했던 그의 예술세계에 생생하게 다가갈 수 있다.

그동안 백남준 연구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던 이 책은 2010년 초판을 찍은 지 8년 만에 새로 발행되었다. 개정판은 초판에 원문만 실렸던 5편의 번역문을 추가하고 원고 일부를 교체하는 등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독자들을 찾아간다.

백남준의 작업은 지극히 미래지향적이었으며, 그는 20세기에 이미 21세기의 언어와 문화를 이야기해왔다. 연구자에게 불만족과 미숙함을 각성시키는 그의 천진스러운 유산들은 앞으로도 우리에게 그의 예술을 연구하는 데 있어 무한한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백남준의 정신세계가 온전히 담긴 이 책이 백남준의 예술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귀중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백남준이 말하는 백남준, 『백남준: 말에서 크리스토까지』 재발간

세계적인 예술가 백남준이 쓴 편지, 악보, 팸플릿, 기사, 에세이, 시나리오, 논문, 인터뷰 등을 담은, 백남준 예술의 근간을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저서

세계적인 예술가 백남준의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백남준의 책’인 『백남준: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는 백남준 연구자인 이르멜린 리비어(Irmeline Lebeer)와 에디트 데커(Edith Decker)가 미국, 유럽, 한국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백남준의 글들을 모아서 공동으로 편집한 앤솔로지의 우리말 번역이다. 독자는 백남준의 목소리를 통해 누구보다 먼저 예술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사유하고 실천했던 그의 예술세계에 생생하게 다가갈 수 있다.

백남준은 “미래의 가장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심령력”이라고 했다. 그래서 심령력이 강한 집시의 나라, 불가리아 출신의 친구 크리스토가 미래에 가장 존경받는 예술가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다. 여기서 말하는 심령력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아날로그 소통을 지나 디지털 소통이 가능한, 더 나아가 세상 만물이 상보적으로 얽히는 양자(quantum) 소통이 가능한 미래의 세상을 암시한다. 백남준은 미래의 사회에서는 기술과 인간이 완전히 융합되며 사회 소통 시스템이 자연적 환경에서 영성적 환경으로 진화할 수 있음을 예술로써 예견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책의 제목인 ‘말에서 크리스토까지’는 백남준 예술세계의 중요한 축인 인간·자연·기술 간의 상호 소통과 융합에 대한 종적인 역사성과 횡적인 문화 다양성의 A부터 Z까지를 담고 싶은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백남준을 사랑하고 존경했던 많은 이들의 노력이 모인 이 책은 세상 만물의 수평적 소통과 연계를 통해 상생의 미래를 소망했던 백남준의 예술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교과서적 도서라 자부한다. 2018년 『백남준: 말에서 크리스토까지』의 개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번 개정판에는 초판에 원문으로 실었던 [굿모닝 미스터 오웰]의 시나리오(팩스자료)를 비롯하여 「바이바이 키플링」 「록 음악에 스포츠」 「비디오테이프 월간지」 등 5편의 글을 번역해 게재하고 본문에서 누락된 부분이 있던 「아사테라이트―모레의 빛을 위해」의 원문(일문)을 찾아 전문을 번역해 게재하였다.

이 책은 태생적으로 중역을 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있다. 개정판에서는 초판의 아쉬운 점을 보강하고자 최대한 원문을 찾아 대조하여 중역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했다. 또한 백남준에 관한 연구가 미진해 발생한 번역의 오류도 수정하였다. 백남준아트센터는 개관 이후 10년 동안 ‘인터뷰 프로젝트’ ‘백남준의 선물: 국제 학술 심포지엄’을 꾸준히 열고 연간 학술지 ≪NJP리더≫를 발간하는 등 많은 연구자들과 함께 자료를 수집하며 백남준에 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축적된 연구와 자료들은 다소 미진하더라도 초판의 오류를 잡을 수 있는 역량의 기반이 되었다.

이번 개정판의 발행으로 최근 다시 높아지기 시작한 백남준에 대한 학계와 대중의 관심과 요구에 부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백남준의 작업은 지극히 미래지향적이었으며, 그는 20세기에 이미 21세기의 언어와 문화를 이야기해왔다. 신기하게도 그의 작업은 접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이렇듯 끊임없이 새로운 관점을 제기하기에 상대적으로 그의 작업에 대한 이해와 인식에 대한 갈증 또한 갈수록 높아질 수밖에 없다. 연구자에게 불만족과 미숙함을 각성시키는 그의 천진스러운 유산들은 앞으로도 우리에게 그의 예술을 연구하는 데 있어 무한한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백남준의 정신세계가 온전히 담긴 이 책이 백남준의 예술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귀중한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백남준(지은이)

1932년 7월 20일 서울에서 태어나 2006년 1월 29일 미국 플로리다의 마이애미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무음악(a-music)을 추구했던 현대음악 작곡가, 비디오아트의 창시자, 네오-아방가르드의 한 축이었던 플럭서스의 주역, '백-아베 비디오 신디사이저'의 발명자, 최초로 상업 네트워크 방송망을 이용한 네트워크아트, 그리고 지구 도시를 연결한 위성아트의 선구자였다. 특히 위성아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1984)과 '바이바이 키플링'(1986)은 전 세계 2500만 명이 시청했다. 그의 예술은 인간과 비인간(자연, 기술, 타자)을 비위계적으로 통합하여 21세기 예술의 선구적 장을 열었다.

에디트 데커(엮은이)

브레멘 대학과 함부르크 대학에서 회화, 예술사, 고고학 그리고 독어독문학을 공부했다. 1985년 예술사 분야에서 백남준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뮌스터의 '예술과 문화사를 위한 미술관'에서 활동하면서 <1987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 전시회를 공동으로 작업했다. 또한 1989년에는 큐레이터로서 전시회 <비디오 조각, 회고와 현재>를 불프 헤르초겐라트와 공동으로 개최했으며, 1990년에는 페터 바이벨과 함께 <먼 곳의 사라짐에 대하여>를 개최했다. 1991년부터는 독일 본의 미술관에서 프로젝트 리더로 활동하면서 전시회 <지구의 관점, 세계의 변화> <유전자 세상, 프로메테우스의 실험실>을 기획했다. 백남준에 관한 책으로 <백남준ㆍ 비디오>(1988) <한 문화유랑자의 기고: 발췌>가 있다.

이르멜린 리비어(엮은이)

임왕준(옮긴이)

연세대학교 불문과 졸업. 프랑스 파리 4대학에서 앙드레 말로에 대한 논문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파리 8대학 철학박사 과정에서 엠마누엘 레비나스를 전공했다. 문화부 홍보조정실에서 근무했고 전주방송국(JTV) 제작편성부장으로 방송프로그램을 제작했으며, 샘터사 주간으로 일했다. 창작집 『북회귀선』을 출간했으며, 번역서로는 『사는 법을 배우다』 『메피스트로펠레스와 양성인』(공역) 『지식인은 왜 자유주의를 싫어하는가』 『이별의 기술』 등이 있다.

정미애(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공부했고, 벨기에 루뱅 대학교에서 불문학 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불과에서 통번역 석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청평 호명산 아랫마을에서 프랑스 책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하고 있고, 틈틈이 정원과 텃밭에 나가 꽃과 채소를 가꾸며 살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다양한 소설과 어린이 책, 그리고 폭넓은 교양서적들을 번역했다. 그중 어린이 책으로는 『요술쟁이 젤리 할머니』, 『알록달록 공화국』, 『어느 날 내게 붉은 노트가』, 『나만의 비밀 친구』, 『로라에게 생긴 일』, 『난민들』 등이 있다.

김문영(옮긴이)

가톨릭대학교와 프랑스 낭시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했다. 프랑스와 한국의 다국적 기업을 거쳐 음악과 영화 등의 문화평론가로 일했다. 번역서로는 『마지막 눈』 『조용히 흐르는 초록빛 강』 『마지막 편지』 『걷기의 기적』 등이 있으며 현재 출판 기획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이유진(옮긴이)

중앙대학교에서 불문학을, 프랑스 부르고뉴대학에서 미술사학을 공부한 후 백남준아트센터 큐레이터로 일했다. 주요 전시로 ≪부드러운 교란: 백남준을 말하다≫ ≪백남준 탄생 80주년: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공동기획) 등이 있다.

마정연(옮긴이)

도쿄예술대학에서 박사학위(영상미디어학)를 취득한 뒤 메이지대학 국제일본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일본미디어아트사』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한국어 개정판 서문
한국어 초판 서문
머리말을 대신하는 맺음말?이르멜린 리비어

1992년
미디어의 기억
몇몇 프랑스인(?) 친구들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근이다.(1930년-1960년-1990년)
기원전/기원후
샬럿 무어먼: 우연과 필연

1991년
나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의사, 아베
레스타니…힘의 균형
59세의 사유
2 x 작은 거인

1990년
조지 머추너스
보이스 복스

1988년
DNA는 인종차별주의가 아니다

1987년
록 음악에 스포츠
아사테라이트-모레의 빛을 위해

1986년
바이바이 키플링

1984년
보이스: 야생초-야생의 사유들
로베르 피유에 대하여: 치즈인가 멜론인가?
예술과 위성
<굿모닝 미스터 오웰>에 관한 단상
굿모닝 미스터 오웰 (퐁피두센터 시나리오-팩스자료)
굿모닝 미스터 오웰?당신은 절반만 맞았다 (뉴욕 시나리오-팩스자료)

1983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의 시나리오 초안, 1983년 5월

1982년
포스텔의 50년을 위한 50개의 V

1981년
말馬에서 크리스토까지

1980년
임의접속정보

1979년
비디오 암호 코드

1977년
나의 환희는 거칠 것이 없어라
인공지능 대 인공신진대사

1976년
인풋 타임과 아웃풋 타임

1975년
베니스의 주데카 섬을 위한 단상

1974년
마르셀 뒤샹은 비디오를 생각하지 않았다.?이르멜린 리비어와의 인터뷰 (1974년 12월 16일, 보훔)

1973년
나의 교향곡들

1972년
커뮤니케이션-예술
마리 바우어마이스터 혹은 “나는 우주를 받아들인다” (B. 풀러)
빙엄턴의 편지

1970년
비디오합성기 플러스
글로벌 그루브와 비디오 공동시장

1969년
참여TV, 살아 있는 조각을 위한 TV브라
…어느 카페 혁명가의 고백

1967년
마리 바우어마이스터에게 보내는 편지
오페라 섹스트로니크
노버트 위너와 마셜 매클루언
비디오테이프 월간지 (팩스자료)
장자크 르벨에게 보내는 편지

1966년
약 10,000편의 에세이 중에서…
느림의 시대

1965년
워싱턴 주재, 상공회의소에 보내는 편지
사이버네틱스 예술
전자 비디오테이프 녹화기
빌리 클뤼버를 위한 다소 이상주의적인 판타지와 몇 가지 단상
1965년 생각들
전자TV를 위한 프로젝트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편지
교향곡 제5번 (악보)
로봇 오페라 (악보)

1964년
조지 머추너스에게 보내는 편지
조지 머추너스에게 보내는 편지
자서전

1963년
하프타임 (악보)
백남준: 데콜라주 바다의 플럭서스 섬 (팩스자료)
아방가르드 힌두이즘 대학 월간 리뷰 (팩스자료)
실험TV 전시회의 후주곡-1963년 3월, 파르나스 갤러리
미국 바가텔 (악보)
라디오를 위한 소나타 (악보)

1962년
롤프 예를링에게 보내는 편지, 부퍼탈
음악 전시회
젊은 페니스를 위한 교향곡 (악보)
앨리슨을 위한 세레나데 (악보)
아름다운 여성 화가의 연대기-앨리슨 놀즈에게 바침 (악보)
공연 전개를 위한 도움말
딕 히긴스를 위한 위험한 음악 (악보)
샌프란시스코에서 연주하라 (악보)

1961년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에 대해
<20개의 방을 위한 교향곡>-초벌, 1961년 봄, 쾰른 (악보)

1959년
볼프강 슈타이네케에게 보내는 편지, 다름슈타트

1958년
볼프강 슈타이네케에게 보내는 편지, 다름슈타트

1948년
장송곡 (악보)

1947년
많고 많은 날이 지난 후 (악보)

서론-에디트 데커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