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원치 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 조·청 관계와 병자호란

원치 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 조·청 관계와 병자호란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한명기, 韓明基, 1962-
서명 / 저자사항
원치 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 조·청 관계와 병자호란 / 한명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20  
형태사항
208 p. ; 20 cm
총서사항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09
ISBN
9788961875387 9788961874069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188-194)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1080
005 20210929102351
007 ta
008 200811s2020 ulk b 001c kor
020 ▼a 9788961875387 ▼g 04910
020 1 ▼a 9788961874069 (세트)
035 ▼a (KERIS)BIB000015642510
040 ▼a 241027 ▼c 241027 ▼d 211009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57 ▼2 DDCK
090 ▼a 953.0557 ▼b 2020
100 1 ▼a 한명기, ▼g 韓明基, ▼d 1962- ▼0 AUTH(211009)49068
245 1 0 ▼a 원치 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 : ▼b 조·청 관계와 병자호란 / ▼d 한명기 지음
260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0
300 ▼a 208 p. ; ▼c 20 cm
490 1 0 ▼a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 ▼v 09
504 ▼a 참고문헌(p. 188-194)과 색인수록
830 0 ▼a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 ▼v 09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57 2020 등록번호 1118319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57 2020 등록번호 1118535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한명기(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외국어대, 가톨릭대, 한신대, 국민대에서 강의했으며 규장각 특별연구원을 지냈다. 계간 《역사비평》 편집위원,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동북아역사재단 자문 위원을 역임했고, 지금은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있다. 그동안 《임진왜란과 한중관계》(1999), 《광해군》(2000),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2009), 《역사평설 병자호란 1, 2》(2013)를 썼고, 그 밖에 여러 저술이 있다.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 한국사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 관심이 많다. 첫 책인 《임진왜란과 한중관계》로 2000년 제25회 월봉저작상을, 《역사평설 병자호란 1, 2》로 2014년 제54회 한국출판문화상을 받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간행사
책을 내면서

제1장 떠오르는 여진족
1. 여진족이 1만이 되면 천하가 감당할 수 없다
2. 명과 조선의 여진 정책
3. 누르하치, 태풍의 눈으로 떠오르다
4. 조선, 누르하처를 괄목상대하다

제2장 후금의 도전과 광해군 정권의 대응
1. 후금의 건국과 광해군의 대후금 대책
2. 심하전투 발생 전후의 대명·대후금 관계와 외교
3. 심하전투 패전을 둘러싼 문제들
4. 심하전투 이후 광해군 정권의 대외 정책

제3장 조선의 정권 교체와 정묘호란의 발생
1. 인조반정과 조·명 관계의 재편
2. 친명배금을 표방하되 ''배금''의 실천은 유보하다
3. ''악성 종기'' 모문룡의 폐해
4. 정묘호란의 발생과 형제 관계의 성립

제4장 형제 관계가 파탄되는 과정
1. 화친을 둘러싼 조선과 후금의 동상이몽
2. ''샌드위치'' 상황에 처한 조선의 고뇌
3. 세폐와 사신 접대, 교역을 둘러싼 조선과 후금의 갈등
4. 승승장구하는 후금, 선택의 기로로 내몰리는 조선

제5장 병자호란의 발생과 그 이후
1. 후금의 군사력이 더욱 커지다
2. 홍타이지의 칭체와 조·청 관계의 파탄
3. 병자호란의 발생과 그 여파
4. 원치 않은 만남, 그 이후의 조선과 청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