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호남 고문서 연구

호남 고문서 연구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허원영 許元寧, 저 정은주 鄭恩主, 저 노인환 魯仁煥, 저 권수용 權洙用, 저 조미은 趙美恩, 저 정수환 鄭銖煥, 저 이현주 李賢珠, 저 정욱재 鄭旭宰, 저 유지영 柳池榮, 저
Title Statement
호남 고문서 연구 / 허원영 [외]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Physical Medium
308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장서각한국사강의 ;15
ISBN
9791158666231 9791186178072 (세트)
General Note
공저자: 정은주, 노인환, 권수용, 조미은, 정수환, 이현주, 정욱재, 유지영  
총서명이 '장서각조선사강의'에서 '장서각한국사강의'로 바뀌었음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41030
005 20200811091034
007 ta
008 200811s2020 ggka b 000c kor
020 ▼a 9791158666231 ▼g 94910
020 1 ▼a 9791186178072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 ▼2 DDCK
090 ▼a 953.05 ▼b 2015z13 ▼c 15
245 0 0 ▼a 호남 고문서 연구 / ▼d 허원영 [외]지음
260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c 2020
300 ▼a 308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장서각한국사강의 ; ▼v 15
500 ▼a 공저자: 정은주, 노인환, 권수용, 조미은, 정수환, 이현주, 정욱재, 유지영
500 ▼a 총서명이 '장서각조선사강의'에서 '장서각한국사강의'로 바뀌었음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허원영 ▼g 許元寧, ▼e
700 1 ▼a 정은주 ▼g 鄭恩主, ▼e
700 1 ▼a 노인환 ▼g 魯仁煥, ▼e
700 1 ▼a 권수용 ▼g 權洙用, ▼e
700 1 ▼a 조미은 ▼g 趙美恩, ▼e
700 1 ▼a 정수환 ▼g 鄭銖煥, ▼e
700 1 ▼a 이현주 ▼g 李賢珠, ▼e
700 1 ▼a 정욱재 ▼g 鄭旭宰, ▼e
700 1 ▼a 유지영 ▼g 柳池榮, ▼e
740 2 ▼a 장서각조선사강의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5 2015z13 15 Accession No. 1118318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953.05 2015z13 15 Accession No. 1513511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5 2015z13 15 Accession No. 1118318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953.05 2015z13 15 Accession No. 1513511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호남 지역은 가전(家傳) 고문서뿐만 아니라 개인 저술과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 등 다양한 문헌 자료가 남아 있으며, 그 영역도 사회.경제, 사상사와 미술사, 제도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호남 지역 고문서의 여러 주체, 즉 국가, 가문, 개인 등이 추구했던 다양한 가치와 지향점을 살폈다. 총 3부, 먼저 1부는 호남 지역의 지방 통치와 행정, 제도를 다루었다. 2부는 가전 고문서를 바탕으로 해당 가문과 인물의 사회.정치.경제적 활동을 분석했다. 3부는 호남이 배출한 두 명의 사상가, 나철(羅喆, 1863~1916)과 전우(田愚, 1841~1922)에 대한 연구이다

호남 지역은 가전(家傳) 고문서뿐만 아니라 개인 저술과 국가에서 제작한 지도 등 다양한 문헌 자료가 남아 있으며, 그 영역도 사회ㆍ경제, 사상사와 미술사, 제도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책은 이러한 호남 지역 고문서의 여러 주체, 즉 국가, 가문, 개인 등이 추구했던 다양한 가치와 지향점을 살폈다. 총 3부, 먼저 1부는 호남 지역의 지방 통치와 행정, 제도를 다루었다. 1장은 지방 통치를 위해 국가가 제작한 󰡔1872년 지방지도󰡕 중 호남 지역의 지도를 분석하고, 2장은 조선시대에 전라도에 속한 제주 3읍을 관할했던 제주목사와 관련한 다양한 고문서를 통해 제주목사의 문서 행정을 추적했다. 3장은 해남지역의 고급 향리였던 정우형(鄭愚衡)이 수신한 간찰 자료를 통해 그 지역에서 이루어진 명례궁 궁방전의 수세 과정, 그리고 이에 대한 백성의 대응을 살폈다. 2부는 가전 고문서를 바탕으로 해당 가문과 인물의 사회ㆍ정치ㆍ경제적 활동을 분석했다. 1장은 영광 영성정씨 고문서를 통해 정조 대 무신 정호남(丁好南, 1736~1812)의 가계와 관직 활동을 살피고, 2장은 남원 순흥안씨 안처순(安處順, 1492~1534) 후손가 자료를 통해 조선 후기 가문이 정체성을 구축하고 공유자산의 운용으로 중종 내부의 호혜와 협동의 규약을 실천하는 과정을 검토했다. 3장은 해남 해남윤씨 녹우당(綠雨堂)에 전해지는 8대 종부 광주이씨(1804~1863)의 한글 편지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해남윤씨가의 경제 상황과 광주이씨가 종부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고자 기울인 노력을 재구성했다. 4장은 영광 연안김씨가의 고문서를 통하여 한말~일제 초 토지 소유권을 확보하고 공고히 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3부는 호남이 배출한 두 명의 사상가, 나철(羅喆, 1863~1916)과 전우(田愚, 1841~1922)에 대한 연구이다. 1장은 ‘나철 친필본’을 바탕으로 나철의 사상을 재탐색하고, 2장은 간재 전우의 『간재집(艮齋集)』의 간행 경위와 이를 둘러싸고 문인들 사이에서 벌어진 갈등의 전말을 살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은주(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미술사학 전공.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전근대 서울에 온 외국인들 , 표암 강세황, 조선 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등이 있다.

정수환(지은이)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사학 전공으로 석·박사 통합과정을 마쳤다. 2017년 「17세기 동전유통의 정책과 실태」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University of Brisotl (UK)에서 International Development 전공으로 2014년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익대학교, 청운대학교, 경기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장서각 고문서연구실 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고문서를 활용하여 조선시대 생활의 여러 모습을 재구성하면서 대상 공간으로서 농촌과 마을에 주목하여 조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거시적 변화를 추적하고 있다. 조선시대 농촌사회의 실제와 새마을 운동 시기 농촌 조직의 활동 그리고 해외개발 현장의 실태에 대한 연구를 한국학의 영역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조선시대사 및 국제개발 전공. 저서는『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등이 대표적이다. 논문으로는 「Post-Development Alternative Ideas Regarding Saemaul Rural Development as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actice」, 「Korean Rural Development Challenge against External Challeng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18세기 경주 갓뒤마을 동계의 말림갓을 위한 호혜와 협동」, 「17세기 전반 趙克善의 賣買기록과 用錢경험」 등 다수가 있다.

권수용(지은이)

전남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 문학박사. 문화재학 전공. 현 조선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전임연구원. 주요 저서로는 『선산유씨 연운당 소장 간찰』(공역), 『간찰의 멋과 향기』(공역), 『소쇄원의 역사와 인문활동 연구』, 『조선시대명인 간찰첩』(공역), 『부자유친』(편역), 『삼한당 일기』(편역), 『화순 충의록』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담양지역 학구당의 역사와 그 의미」, 「창평학구당의 인적 구성과 운영 형태」, 「16세기 호남 무등산권 원림문화」, 「광주 풍영정의 문화사적 의의」, 「광주·전남의 근대 누정 연구」, 「호남의 근대 누정 작가·작품 연구」, 「해남윤씨 문중 문헌록 연구」, 「화순 물염정과 적벽문화」, 「노사학파의 누정 건립활동 연구」, 「‘병자창의록’ 연구」, 「1900년 전후 화순 유학의 흥성과 정의림의 역할」, 「성균관박사 이흠의 입격과정과 경의문대」, 「19세기 해남 향리 정우형의 수신간찰 연구」가 있다.

노인환(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고문서학으로 문학 박사를 받았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연구원이며, 서울 시립 대학교와 충북 대학교에서 고문서와 한국사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감수한 책으로는 《한국사 핵심 8장면 따서 조립하기》, 《특종! 70명으로 읽는 한국사》, 《교과서 한국 인물》, 《키워드 한국사 탐사》 시리즈, 《눈높이 한국사》 시리즈, 《히스토리카 만화 백과》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이현주(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국어학(국어사) 전공. 『조선의 왕비 기록으로 만나다』(공저), 『역주 열성후비지문』(공역), 『천자문: 장서각 소장 왕실천자문 역해』(공역) 등의 논저가 있다.

허원영(지은이)

강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고문서를 다루고 있으며, 현재 장서각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분야는 조선후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고문서를 통한 사회경제사 연구가 중심이다. <(통계로 보는) 조선후기 국가경제:18~19세기 재정자료의 기초적 분석>(2013), <17세기 충청도 선비의 생활기록: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2018) 등의 공저와 「19세기 濟州島의 戶口와 賦稅運營」(2006), 「고문헌학과 민족고전학, 고문헌을 다루는 남과 북의 학문적 입장」(20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문서 사업의 전개와 성과」(2021) 등의 논문이 있다.

조미은(지은이)

고문헌관리학 전공.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자료교육부 연구위원

정욱재(지은이)

한국근대사상사 전공, 독립기념관 연구위원. 「일제강점기 송주헌(宋柱憲)의 생애와 활동」(2020), 「초기 대종교의 역사인식과 ‘한국학’: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와 『대동고대사론』을 중심으로」(2019), 「대한 제국기 유림의 ‘국가’ 인식」(2018) 등의 논저가 있다.

유지영(지은이)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 한국고문서학 전공.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 1부 조선 후기 호남의 통치와 행정
1872년 그림 지도 속의 전라도_정은주
1. 머리말
2. ?1872년 지방지도?의 제작 배경
3. ?1872년 지방지도? 중 전라도 지도의 구성과 내용
4. ?1872년 지방지도? 중 전라도 지도의 회화적 특징
5. 맺음말

조선시대 제주목사의 문서 행정_노인환
1. 머리말
2. 제주목의 임명 문서
3. 제주목사의 상달 문서
4. 제주목사의 명령 문서
5. 제주목사의 청원 처리
6. 맺음말

근대 전환기 해남의 명례궁 궁방전 수세 과정-정우형 수신간찰을 중심으로_권수용
1. 머리말
2. 해남과 궁방전
3. 명례궁 관련 인물
4. 궁방전 수세 내용
5. 맺음말

▶ 2부 가전(家傳) 고문서를 통해 본 호남의 사회와 경제
정조 대 무신 정호남의 가계와 관직활동-영광 영성정씨 고문서를 중심으로_조미은
1. 머리말
2. 영성정씨 고문서의 현황과 특징
3. 무신 정호남의 가계
4. 무신 정호남의 관직활동
5. 맺음말

조선 후기 남원 순흥안씨의 공유자산과 종중 규약_정수환
1. 머리말
2. 16세기 남원 정착과 ‘사제당’
3. 17세기 ‘영사정’과 정체성 만들기
4. 18세기 종중 결속을 향한 위선 그리고 문장(門長)
5. 19세기 공유자산을 위한 호혜와 협동
6. 맺음말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가 8대 종부 광주이씨의 가문 경영_이현주
1. 머리말
2. 해남윤씨가 8대 종부의 탄생
3. 한글편지에 나타난 해남윤씨 종가의 경제 상황
4. 광주이씨의 종부로서의 위상 찾기
5. 맺음말

한말~일제 초 영광 연안김씨가의 토지 거래와 소유권 확보_허원영
1. 머리말
2. 한말의 전답 매매와 문서 작성
3. 1901년 황인수와의 산송 사건
4. 1910년 전후의 제도 변화에 대한 대응
5. 맺음말

▶ 3부 호남의 근대 인물, 나철과 전우
‘나철 친필본’을 통해 본 나철 사상의 일면_정욱재
1. 머리말
2. 나철의 생애를 통해 본 사상 형성 과정
3. 나철의 역사인식과 기존 연구의 문제점
4. 맺음말

일제시기 『간재집』의 간행 경위-현곡 유영선가 문서를 중심으로_유지영
1. 머리말
2. 일제시기 문집의 간행 경위
3. 갈등의 전말
4. 맺음말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
三品彰英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