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0852 | |
005 | 20200805141633 | |
007 | ta | |
008 | 200804s201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5968071 ▼g 03560 | |
035 | ▼a (KERIS)BIB000014586634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2.8/2 ▼2 23 |
085 | ▼a 612.82 ▼2 DDCK | |
090 | ▼a 612.82 ▼b 2017z14 | |
100 | 1 | ▼a Dehaene, Stanislas, ▼d 1965- ▼0 AUTH(211009)54601 |
245 | 1 0 | ▼a 뇌의식의 탄생 / ▼d 스타니슬라스 데하네 지음 ; ▼e 박인용 옮김 |
246 | 1 9 | ▼a Consciousness and the brain : ▼b deciphering how the brain codes our thoughts |
260 | ▼a 서울 : ▼b 한언, ▼c 2017 | |
300 | ▼a 580 p. : ▼b 삽화 ; ▼c 20 cm | |
500 | ▼a 감수: 김영보 | |
504 | ▼a 참고문헌(p. 510-56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onsciousness |
650 | 0 | ▼a Brain |
650 | 0 | ▼a Cognitive neuroscience |
700 | 1 | ▼a 박인용 ▼0 AUTH(211009)87310, ▼e 역 |
700 | 1 | ▼a 김영보, ▼g 金永甫, ▼d 1961- ▼0 AUTH(211009)74724, ▼e 감수 |
900 | 1 0 | ▼a 데하네, 스타니슬라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2.82 2017z14 | 등록번호 1118317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는 프랑스 SACLAY 연구소의 인지신경영상 연구 분과의 수장으로,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면서 언어와 우리 뇌에서 수(Number)를 인지하는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자이기도 하다. 아울러 의식에 대한 좋은 연구들을 진행해온 이 분야의 저명한 과학자이기도 하다.
뇌와 의식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실험에 따른 증거를 요약하면서 이 책을 시작한다. 사실 뇌와 의식에 대한 연구에서 대표적인 걸림돌 중 하나는 눈에 보이는 ‘주관적 특성’이다.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은 이러한 ‘주관적 특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이러한 ‘주관적 특성’이라는 것을 극복할 수 없기에, 특히 의식에 대한 연구는 영원히 철학자들의 영역으로 남을 것이라고 봐왔다. 하지만 저자는 과학 분야에서의 새롭고 창의적인 실험과 그에 따른 흥미진진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뇌와 의식은 과학 분야와 철학 분야 모두에서 극도로 어려운 개념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뇌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있기는 하지만, 뇌와 의식은 여전히 신비롭고 미스터리한 분야다. 아마 더 많은 시간이 흘러야 이해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지닌 10년간 매우 흥미로운 발전이 일어났던 바, 이 책은 그러한 발전을 알려는 연구자나 학생 등에게 훌륭한 안내서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프랑스 SACLAY 연구소의 인지신경영상 연구 분과의 수장으로,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면서 언어와 우리 뇌에서 수(Number)를 인지하는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자이기도 하다. 아울러 의식에 대한 좋은 연구들을 진행해온 이 분야의 저명한 과학자이기도 하다.
저자는 뇌와 의식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실험에 따른 증거를 요약하면서 이 책을 시작한다. 사실 뇌와 의식에 대한 연구에서 대표적인 걸림돌 중 하나는 눈에 보이는 '주관적 특성'이다.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은 이러한 '주관적 특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이러한 '주관적 특성'이라는 것을 극복할 수 없기에, 특히 의식에 대한 연구는 영원히 철학자들의 영역으로 남을 것이라고 봐왔다. 하지만 저자는 과학 분야에서의 새롭고 창의적인 실험과 그에 따른 흥미진진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의식이란 대뇌 피질 내부에서 뇌 전체에 정보를 발송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의식은 신경세포의 네트워크에서 생기며, 신경세포망의 존재 이유는 뇌 전체를 통해 대대적으로 적절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저자가 제안한 '광역 신경세포 작업 공간'이라는 개념은 신선하면서도 도전적이다. 아울러 저자는 이 작업 공간에 부여된 근본적인 성질은 '자율성'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자유의지의 기계인가? 우리 내부로부터 기원하는 자율 활성화 신경세포, 그것의 능력은 어디로부터 오는 것일까?
저자는 또한 이러한 의문에 따른 실험의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뇌와 의식에 대한 새로운 이론까지 개발하려고 한다. 그 이론은 뇌와 의식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의 좋은 출발점이며, 뇌와 의식에 대한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줄 검증 가능한 이론이기도 하다.
의식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고, 이 책도 끝에서는 깊은 철학적 의문으로 되돌아가지만, 지금보다 더 나은 과학적 해답을 찾게 되면 아마도 요즈음 잘 알려진 강한 인공지능(AI)도 이를 기반으로 탄생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레이 커즈와일이 이야기하고 스티븐 호킹 박사가 걱정하는 미래의 강한 인공지능의 출현과 관련하여 의식에 대한 문제는 중심에 놓일 것이며, 이러한 인공지능과의 공존 문제는 바로 우리 뇌와 의식에 대한 연구에서 이루어질 것이고, 이는 결국 인류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은 '인공지능이 단순한 업무를 넘어서 창의성이 필요한 부분까지 해냄으로써 인간의 모든 일을 대신하는 시대가 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시작되는 이 시대에, 우리가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에 대한 안내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스타니슬라스 드앤(지은이)
수학과 심리학을 공부했고, 인간의 뇌에서 언어와 숫자를 처리하는 과정에 관한 학문인 인지신경과학을 연구하는 세계적인 연구자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으며, 파리 제6대학교(현 소르본대학교)에서 응용 수학 및 컴퓨터 과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신경생물학자 장 피에르 샹제의 연구에 영감을 받아 신경과학과 심리학으로 분야를 바꾸었고, 파리 고등사회과학연구학교에서 실험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세계적인 인지심리학자 자크 밀러Jacques Mehler의 제자로, 그와 함께 연구를 하기도 했다. 그는 인지신경촬영연구소SACLAY의 소장, 프랑스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이자 연구기관인 콜레주 드 프랑스College de France의 실험인지심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랑스 학술원과 바티칸 과학원의 회원이다. 뇌의식에 대한 훌륭한 연구들을 진행해 온 저명한 과학자이기도 하다. 과학 전문지에 상당히 많은 글들을 발표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숫자 감각The Number Sense》, 《뇌의식의 탄생》, 《글 읽는 뇌》가 있다.
박인용(옮긴이)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여러 가지 전문 분야의 잡지와 전집류를 편집했다.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내가 찾는 여자, 내가 찾는 남자》, 《이제 아버지를 알 것 같은데》, 《왜 에번스를 부르지 않았지?》, 《평양의 이방인》, 《비발디의 처녀들》, 《미솔로지카 1, 2》, 《마지막 1년처럼》, 《서점가의 살인》 등이 있다.
김영보(감수)
한양대학교 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천의과학대학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대학교 뇌과학연구소NRI 설립에 관여하고 연구에 임하고 있다.

목차
추천의 글 12 서문: 생각의 재료 17 1 실험실로 들어온 의식 45 2 무의식의 깊이 측정 97 3 의식은 무엇에 좋은가? 171 4 의식적 사고의 기호 217 5 의식의 이론화 295 6 궁극적인 테스트 361 7 의식의 미래 419 감사의 말 475 주석 479 참고문헌 510 도판 출전 564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