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40835 | |
005 | 20200805104349 | |
007 | ta | |
008 | 200804s2020 ulkj b 001c kor | |
020 | ▼a 9788928514120 ▼g 94380 | |
020 | 1 | ▼a 9788928503599 (Set) |
035 | ▼a (KERIS)BIB000015606807 | |
040 | ▼a 211015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951.902 ▼2 23 |
085 | ▼a 953.05 ▼2 DDCK | |
090 | ▼a 953.05 ▼b 2020z3 | |
100 | 1 | ▼a 임선빈, ▼g 任先彬, ▼d 1960- ▼0 AUTH(211009)37009 |
245 | 1 0 | ▼a 역사적 실재와 기억의 변주곡 = ▼x History, reality and memory / ▼d 임선빈 |
260 | ▼a 서울 : ▼b 민속원, ▼c 2020 | |
300 | ▼a 267 p. : ▼b 가계도 ; ▼c 24 cm | |
440 | 0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x Minsokwon archebooks ; ▼v 152 |
500 | ▼a 실제 있었던 사실과 후대의 선택적 기억, 그리고 오늘날의 서술된 역사! | |
504 | ▼a 참고문헌(p. 259-264)과 색인수록 | |
900 | 1 0 | ▼a Yim, Seon-bin,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5 2020z3 | Accession No. 1118317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임선빈(지은이)
역사지식정보센터 대표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역사학과 졸업(문학박사) 공주대, 대전대, 목원대, 충남대, 한남대, 홍익대 등 강사 충남발전연구원 연구위원(역사문화부장)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연구위원(연구부장)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 역사지식정보센터 대표, 전 경기도문화재위원장, 조선시대사 전공. 논문 「조선초기 외관제도 연구」(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8) 「내포지역의 지리적 특징과 역사문화적 성격」(2003) 「금강의 지명변천과 국가제의」(2009) 「좌명공신 류기의 ‘난언사’와 친족의 연좌죄」(2018) 외 40여편 저서(역서)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공저, 아카넷, 2000)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공저, 집문당, 2003) 『근대이행기 지역엘리트 연구』(공저, 경인문화사, 2006) 『역사상의 강 물길과 경제문화』(공저, 주류성출판사, 2009)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지식산업사, 2010)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글항아리, 2011) 『호서지방의 고문서』(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심춘순례』(역주, 경인문화사, 2013) 『백두산근참기』(역주, 경인문화사, 2013) 『명문가, 그 깊은 역사』(공저, 글항아리, 2014) 『조선인물 이렇게 본다』(공저, 경인문화사, 2016) 『녹우당에서 고산을 그리다』(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돈암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도동서원·무성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등 다수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제2장 국왕의 외방 행차와 ‘지역민의 기억’ 1. 국왕 외방 행차의 유형 2. 태조의 계룡 신도 행차 3. 태종의 남순과 순성 강무 4. 인조의 공산성 주필 제3장 임진왜란의 극복과 ‘변조된 기억 1. 금산전투의 기록과 기억의 편차 2. 만경노씨 삼의사의 충절과 왜곡된 기억 3. 행주산성 전투의 실재와 후대 기억 제4장 역사인물의 평가와 ‘중층적 기억’ 1. 이지함의 생애와 ‘걸인청’ 2. 서기의 생애와 기억의 이중주 3. 허임 생애의 굴곡과 잊혀진 역사 제5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