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9144 | |
005 | 20200907135747 | |
007 | ta | |
008 | 200728s2020 ggkd b 001c kor | |
020 | ▼a 9791160870664 ▼g 0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0.15 ▼2 23 |
085 | ▼a 330.15 ▼2 DDCK | |
090 | ▼a 330.15 ▼b 2020 | |
100 | 1 | ▼a Wolff, Richard D. |
245 | 1 0 | ▼a 경제학의 대결 : ▼b 신고전학파, 케인스주의, 마르크스주의 / ▼d 리처드 울프, ▼e 스티븐 레스닉 지음 ; ▼e 유철수 옮김 |
246 | 1 9 | ▼a Contending economic theories : ▼b neoclassical, Keynesian, and Marxian |
260 | ▼a 고양 : ▼b 연암서가, ▼c 2020 | |
300 | ▼a 608 p. : ▼b 도표 ; ▼c 22 cm |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p. 588-591)과 색인수록 | |
546 | ▼a 영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 |
650 | 0 | ▼a Comparative economics |
650 | 0 | ▼a Economics |
650 | 0 | ▼a Marxian economics |
650 | 0 | ▼a Neoclassical school of economics |
650 | 0 | ▼a Keynesian economics |
650 | 0 | ▼a Schools of economics |
700 | 1 | ▼a Resnick, Stephen A., ▼e 저 |
700 | 1 | ▼a 유철수, ▼e 역 |
900 | 1 0 | ▼a 울프, 리처드, ▼e 저 |
900 | 1 0 | ▼a 레스닉, 스티븐,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15 2020 | 등록번호 1118314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0.15 2020 | 등록번호 151350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15 2020 | 등록번호 1118314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0.15 2020 | 등록번호 151350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 경제학의 주요 이론인 신고전학파, 케인스주의, 마르크스주의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비교분석한다. 각 이론을 해당 장에서 서술하고 논의하면서 다른 두 이론과 대조하여 차이점을 알려준다. 저자들은 각 이론의 출발점, 목표와 초점, 내적 논리를 밝힌다. 또한 이론의 비교분석을 경제에 대한 정부의 역할, 생산의 계급구조 같은 경쟁 학파를 나누는 광범위한 정책 주제와 연결 짓는다.
저자들은 표준 신고전학파 이론의 논리와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서 시장 불완전성, 정보 경제학, 새 균형 이론, 행동경제학 같은 최근의 확장과 발전도 분석하며, 이런 진전들이 새로운 담론을 나타내는지 아니면 단순히 표준 신고전학파 이론에 대한 단순한 수정인지 살펴본다.
그들은 또한 왜 20세기 동안에 경제 논리의 주도권이 세 이론 사이에서 계속 바뀌어 왔는지, 왜 그런 변화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는지, 예를 들어 왜 2008년 대침체의 영향으로 신고전학파 관점이 새로운 케인스주의 접근법에 무릎을 꿇었는지를 설명한다.
현대 경제학의 주요 이론인 신고전학파, 케인스주의,
마르크스주의를 체계적이면서도 독창적으로 분석한 역작
이 책은 오늘날 경제학의 주요 이론인 신고전학파, 케인스주의, 마르크스주의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비교분석한다. 각 이론을 해당 장에서 서술하고 논의하면서 다른 두 이론과 대조하여 차이점을 알려준다. 저자들은 각 이론의 출발점, 목표와 초점, 내적 논리를 밝힌다. 또한 이론의 비교분석을 경제에 대한 정부의 역할, 생산의 계급구조 같은 경쟁 학파를 나누는 광범위한 정책 주제와 연결 짓는다.
저자들은 표준 신고전학파 이론의 논리와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서 시장 불완전성, 정보 경제학, 새 균형 이론, 행동경제학 같은 최근의 확장과 발전도 분석하며, 이런 진전들이 새로운 담론을 나타내는지 아니면 단순히 표준 신고전학파 이론에 대한 단순한 수정인지 살펴본다. 그들은 또한 왜 20세기 동안에 경제 논리의 주도권이 세 이론 사이에서 계속 바뀌어 왔는지, 왜 그런 변화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는지, 예를 들어 왜 2008년 대침체의 영향으로 신고전학파 관점이 새로운 케인스주의 접근법에 무릎을 꿇었는지를 설명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리처드 울프(지은이)
예하버드 대학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예일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 역사학 석사학위,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케냐에서 영국 식민주의의 경제적 측면, 1895∼1930』이다. 1973년부터 2008년까지 매사추세츠 주립대학 애머스트 캠퍼스에서 경제학을 가르쳤으며, 현재 경제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또한 뉴욕시의 뉴스쿨 대학 국제관계대학원 방문교수이다. 미국 녹색당 당원으로 활동 중이며, 1985년 뉴헤이븐 시장 선거에 녹색당 후보로 출마했다. 저서로는 『마르크스주의 이해하기』, 『사회주의 이해하기』, 『자본주의 위기가 깊어지다』, 『일터 민주주의』, 『경제를 점령하라』 등이 있다. 비영리 단체 ‘일터 민주주의(Democracy at Work)’의 창립자이며, 이 단체는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체제문제 해결책의 일환으로 일터의 민주화를 옹호하는 매체를 생산하고, 행사를 연다. 그는 이 단체의 가장 인기 있는 라디오 및 TV 쇼인 최신경제동향(Economic Update)의 진행자이다.
스티븐 레스닉(지은이)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MIT에서 유럽공동시장에 대한 계량 분석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5년부터 71년까지 예일 대학에 재직하며 경제발전과 국제 정치경제에 대한 계량 분석을 주제로 연구했다. 1973년부터 매사추세츠 주립대학 애머스트 캠퍼스에서 경제학을 가르쳤고, 2013년 사망할 때까지 리처드 울프와 함께 연구 활동을 하며, 많은 논문과 책을 같이 썼다. 울프와의 공동 연구의 출발점은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자본을 읽는다』였으며, 공동 저서 『지식과 계급』에서 『자본』 2권과 3권에 대한 섬세한 해석을 발전시켰다. 1989년에 울프 및 동학들과 사회과학에서 마르크스주의 개념과 이론을 다시 생각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의 학술지 『마르크스주의를 다시 생각한다(Rethinking Marxism)』를 창간했다. 저서로는 울프와 함께 쓴 『지식과 계급』, 『계급과 기타 문제들』, 『계급 (다시) 소개하기』, 『소련의 역사와 계급이론』,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새 출발』이 있다.
유철수(옮긴이)
경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정치경제학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3년 진주자본읽기모임에서 공동 운영자로, 2015년 서울자본읽기모임에서 강사로 활동했으며, 경기대, 아주대, 오산대에서 경제학 강의를 했다. 번역서로 『장기불황』, 『다른 유럽을 향해서: 유럽 경제통합에 대한 계급적 분석』이 있다.

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독자들께 드리는 글 감사의 말 일러두기 제1장 세 가지 다른 이론들 이 책과 경제학 이론들 경제 이론과 다른 이론들 | 견해가 다른 경제 이론들 | 우리 모두는 경제 이론가인가? 이론과 사회 유럽의 변화와 인본주의 전통 | 새로운 경제 이론 | 고전 정치경제학 |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역사 | 케인스주의 경제학의 역사 | 케인스주의 이론 | 신고전학파 이론의 귀환 | 신고전학파 및 케인스주의 경제학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역사 다른 경제 이론 비교하기 일반론 비교하기 | 각 이론의 논리 | 이론 간 차이는 얼마나 중요할까 세 이론 소개 신고전학파 이론의 입구점, 대상, 논리 | 케인스주의 경제학의 입구점, 대상, 논리 |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입구점, 대상, 논리 | 이론들과 대상들에 대한 여담 |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논리 | 신고전학파, 케인스주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의 소통 결론 제2장 신고전학파 이론 신고전학파 전통 신고전학파 이론의 기여 | 애덤 스미스 사후 신고전학파 이론의 등장 | 어떤 경제 이론을 소개할 것인가 시장가치: 공급과 수요 분석 수요와 공급의 결정 요인 | 시장, 사유재산, 보수주의자, 자유주의자 | 선호: 상품의 수요를 결정 | 선호: 노동의 공급을 결정 | 선호와 희소성: 노동 수요를 결정 | 임금과 상품 수요의 결정 | 선호: 자본의 공급을 결정 | 선호와 희소성: 자본의 수요를 결정 | 자본 수입의 결정 | 소득의 분배: 자본과 노동의 수입 | 선호와 희소성: 상품의 공급을 결정 | 수요와 공급: 가격의 결정 효율성과 시장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 파레토 최적 제3장 케인스주의 이론 케인스의 도전 자본주의 경기침체에 대한 신고전학파의 대답 자본주의 침체에 대한 케인스주의 대답 투자 행동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과 케인스에 대한 기타 반응들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의 역할 부록: 합리적 기대 제4장 마르크스주의 이론 마르크스주의 전통과 마르크스주의 이론들 마르크스의 기여 | 마르크스 이후 마르크스주의 | 우리는 어떤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소개하는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논리 구조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기초 개념9 | 다중결정론과 과정 | 모순 | 과정, 활동, 관계 | 이론적 딜레마 |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입구점 | 계급과정 정교해진 마르크스주의 계급 개념 근본적 계급과정과 착취 | 부차적 계급과정 | 근본적 계급과정의 상이한 형태들 | 사회구성체와 사회이행 자본주의의 근본적 계급과정과 상품 생산물, 시장, 상품 | 상품 가치 | 상품과 근본적 계급과정 |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상품 노동가치론 | 자본주의 상품의 잉여가치 | 마르크스주의 가치론 요약 자본가와 노동자 자본가는 누구인가 | 노동자는 누구인가 | 착취 | 계급투쟁 | 산업 자본가 기업들의 복잡성 | 경쟁 | 경쟁과 자본의 축적 자본주의 경제국들과 사회 발전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성장 | 자본주의와 실질임금 | 자본주의 경제의 순환 또는 위기 | 경기 순환과 정책 ‘해법’ 자본주의 부차적 계급 화폐 대부자와 부차적 계급 | 관리자와 부차적 계급 | 상인과 부차적 계급 | 기타 자본주의 부차적 계급 계급 위치와 개인 소득 계급과정과 소득분배 | 다중적인 계급 및 비계급 위치 점하기 자본주의 기업의 복잡한 계급구조 자본주의 기업에 대한 계급분석 | 자본가와 기업 이사회 | 마르크스주의 산업 이윤론 기타 사회적 장소에 대한 복잡한 계급구조 계급분석과 가정 | 계급분석과 국가 | 계급분석과 국제 관계 부록A.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왜 계급을 이론의 입구점으로 삼는가? 부록B. 전형 문제 부록C. 자본가 경쟁 부록D. 착취율 증가와 실질임금 상승의 동시 발생 제5장 최신 신고전학파 이론 들어가며: 왜 이 장이 있는가 비판과 그 결과 | 대응: 개괄 시장 불완정성 이론 외부성과 이를 관리하는 방법 | 불완전한 경쟁의 형태들 | 거래 비용과 경제 조직화 | 정보 실패와 시장 실패 새로운 인간 행동 이론들 동기 다양성에 대한 이론 | 제한된 합리성 이론 | 행동 경제학 새로운 균형이론들 신고전학파 전통에서 다른 균형 개념 | 내시 균형과 고전적 게임 이론 | 진화 안정성과 진화 게임 이론 결론 제6장 자본주의에서 진동과 경제 이론 간 진동 자본주의는 항상 변화하고 있다 불안정성과 자본주의 | 자본주의와 경제 이론 | 경제위기는 어떻게 경제 이론에 영향을 주는가 경제 진동과 이론의 진동 고전적 정치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 신고전학파 경제학 | 신고전학파 대 마르크스주의 | 케인스주의 경제학 두 차례 최근 진동: 1970년대와 2007년 시작된 위기 국가개입, 케인스주의,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붕괴 | 국가자본주의로부터 민간 자본주의로-가장 극명한 예 | 국가 개입으로 회귀 제7장 이론적 차이의 중요성 마르크스주의 이론 대 케인스주의 이론 대 신고전학파 이론 다른 입구점들 | 상이한 논리 | 상이한 분석 대상 | 상이한 가치론 경쟁하는 이론들의 분석 결과 소득분배, 신고전학파의 관점 | 자본주의: 신고전학파 관점 | 빈곤: 신고전학파 관점 | 소득분배: 마르크스주의 관점 | 소득분배: 케인스주의 관점 | 자본가 수입에 대한 상이한 설명 경쟁하는 이론들의 정치적 결과들 정치적 상황은 이론을 형성한다 | 이론 및 이론가들 간 투쟁 우리는 어떤 이론을 선택할 것인가? 이론에서 나타나는 결과를 고려하여 이론을 선택하는 것 | 절대 기준에 기초해서 이론 선택하기 | 경험주의 | 합리주의 | 경제 이론 선택과 인식론 선택 |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