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중세 국어의 이해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나찬연, 1960-
서명 / 저자사항
중세 국어의 이해 / 나찬연
발행사항
서울 :   경진출판,   2020  
형태사항
478 p. : 삽화 ; 26 cm
ISBN
9788959967353
일반주기
부록: 1. 15세기 국어의 연결 어미, 2. 15·16세기에 간행된 한글 문헌  
서지주기
참고문헌(p. 465-468)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8325
005 20200728143830
007 ta
008 200728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88959967353 ▼g 93710
035 ▼a (KERIS)BIB00001558918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7 ▼2 23
085 ▼a 497.702 ▼2 DDCK
090 ▼a 497.702 ▼b 2020
100 1 ▼a 나찬연, ▼d 1960-
245 1 0 ▼a 중세 국어의 이해 / ▼d 나찬연
260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20
300 ▼a 478 p. : ▼b 삽화 ; ▼c 26 cm
500 ▼a 부록: 1. 15세기 국어의 연결 어미, 2. 15·16세기에 간행된 한글 문헌
504 ▼a 참고문헌(p. 465-468)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702 2020 등록번호 11183134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0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교 문법의 내용에 따라서 15세기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을 종합적으로 해설한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고등학교 문법≫(2010)과 ≪언어와 매체≫(2019)에 기술된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훈민정음과 표기법,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의미론’ 등의 15세기 국어의 언어 현상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15세기 중세 국어의언어 현상(훈민정음과 표기법,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의미론)을종합적으로 고찰

≪중세 국어의 이해≫는 학교 문법의 내용에 따라서 15세기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을 종합적으로 해설한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고등학교 문법≫(2010)과 ≪언어와 매체≫(2019)에 기술된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훈민정음과 표기법,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어휘론, 의미론’ 등의 15세기 국어의 언어 현상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이 책에서는 15세기 국어의 언어 현상과 이론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제1부에서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제자 원리와 표기법을 다루었으며, 제2부에서는 ‘음운 체계ㆍ음절 체계ㆍ음운의 변동’ 등 중세 국어에 나타나는 기본적인 음운 현상을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품사론’과 ‘단어 형성법’ 등 형태론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제4부에서는 ‘문장 성분, 문장의 짜임, 문법 요소’ 등 통사론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5부에서는 15, 16세기 동안 국어의 어휘 체계와 개별 단어의 의미가 변화한 통시적 현상을 다루었다. 끝으로 [부록]에서는 15세기 국어에 쓰인 연결 어미 목록과 15ㆍ16세기에 간행된 한글 문헌에 대한 해제를 실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법≫(2010)이나 그 이후에 간행된 ≪독서와 문법≫(2014), ≪언어와 매체≫(2019) 등의 교과서에는 중세 국어 관련 교육 내용이 너무 적다. 따라서 이러한 학교 문법의 교과서를 통하여 중세 국어의 언어 현상을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그리고 이론 문법 학자들이 지은 중세 국어 관련 저서 중에서 학교 문법의 관점에서 중세 국어의 이론을 객관적으로 기술한 책도 극히 드물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직의 국어과 교사나 국어국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학교 문법을 바탕으로 하여 중세 국어의 이론을 익히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 책에서는 중세 국어, 특히 15세기 국어학의 내용을 학교 문법의 관점에서 충실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특정한 학자의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중세 국어의 이론을 객관적으로 다루려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지은이는 이 책과 함께 ≪중세 국어 강독≫과 ≪근대 국어 강독≫도 간행하였다. 이들 책에서는 15ㆍ16세기의 중세 국어의 대표적인 한글 문헌과 함께 17ㆍ18ㆍ19세기의 근대 국어의 한글 문헌을 선정하여, 이들 문헌의 내용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였다. ≪중세 국어 강독≫과 ≪근대 국어 강독≫에 수록된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텍스트를 강독함으로써, 중세와 근대 국어와 관련한 공시적ㆍ통시적 문법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나찬연(지은이)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오고(1986),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1993)와 문학 박사(1997)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국어학 분야의 강의를 맡고 있다. [주요 논저] 우리말 잉여 표현 연구(2004), 옛글 읽기(2011), 벼리 한국어 회화 초급 1, 2(2011), 벼리 한국어 읽기 초급 1, 2(2011), 제2판 언어・국어・문화(2013), 제2판 훈민정음의 이해(2013), 근대 국어 문법의 이해-강독편(2013), 표준 발음법의 이해(2013), 제5판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2017), 쉽게 읽는 월인석보 서, 1, 2, 4, 7, 8, 9, 10, 11, 12(2017~2022), 쉽게 읽는 석보상절 3, 6, 9, 11, 13, 19(2017~2019),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 2(2018), 한국 시사 읽기(2019), 한국 문화 읽기(2019), 국어 어문 규정의 이해(2019),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2019), 국어 교사를 위한 ≪고등학교 문법≫(2020), 중세 국어의 이해(2020), 중세 국어 강독(2020), 근대 국어 강독(2020), 길라잡이 현대 국어 문법(2021), 길라잡이 국어 어문 규정(2021), 중세 국어 서답형 문제집(202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이 책에 인용된 문헌 1~2

<1부 글자와 표기법>
1. 훈민정음
1.1. 제자의 일반 원리
1.2. 초성 글자의 제자 원리
1.3. 중성 글자의 제자 원리
1.4. 글자의 운용법
2. 표기법
2.1. 표음주의와 표의주의 표기법
2.2. 종성의 표기
2.3. 사잇소리의 표기
2.4. 한자어의 표기
2.5. 붙여쓰기

<2부 음운론>
1. 음운의 체계
1.1. 자음의 체계
1.2. 모음의 체계
2. 음절의 체계
3. 음운의 변동
3.1. 교체
3.2. 탈락
3.3. 첨가
3.4. 탈락과 첨가
3.5. 축약
3.6. 특수한 변동
3.7. 체언의 성조 바뀜

<3부 형태론>
1. 형태소와 단어
1.1. 형태소
1.2. 단어
2. 품사
2.1. 품사의 분류 기준
2.2. 체언
2.3. 관계언
2.4. 용언
2.5. 수식언
2.6. 독립언
3. 단어의 형성
3.1. 단어의 짜임새
3.2. 합성어
3.3. 파생어
3.4. 음운의 변동

<4부 통사론>
1. 문장 성분
1.1. 문장 성분의 개념
1.2. 문장 성분의 유형
2. 문장의 짜임
2.1. 이어진 문장
2.2. 안은 문장
3. 문법 요소
3.1. 종결 표현
3.2. 높임 표현
3.3. 시간 표현
3.4. 태도 표현
3.5. 화자 표현과 대상 표현
3.6. 피동 표현
3.7. 사동 표현
3.8. 부정 표현

<5부 어휘와 의미>
1. 어휘 체계의 변화
1.1. 한자어의 증가
1.2. 차용어의 유입
2. 단어의 의미 변화
2.1. 고유어의 의미 변화
2.2. 한자어의 의미 변화

<부록>
[부록 1] 15세기 국어의 연결 어미
1. 대등적 연결 어미
2. 종속적 연결 어미
3. 보조적 연결 어미
[부록 2] 15ㆍ16세기에 간행된 한글 문헌
1. 세종 때에 간행된 문헌
2. 세조 때에 간행된 문헌
3. 성종과 연산군 때에 간행된 문헌
4. 중종 때에 간행된 문헌
5. 선조 때에 간행된 문헌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