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명장면으로 한국영화 읽기

명장면으로 한국영화 읽기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강호
Title Statement
명장면으로 한국영화 읽기 / 신강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Physical Medium
xi, 567 p. : 삽화 ; 19 cm
ISBN
9791128860508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558-56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7583
005 20200721114247
007 ta
008 200720s2020 ulka b 000c kor
020 ▼a 9791128860508 ▼g 93680
035 ▼a (KERIS)BIB000015594332
040 ▼a 225007 ▼c 225007 ▼d 211009
082 0 4 ▼a 791.4309519 ▼2 23
085 ▼a 791.430953 ▼2 DDCK
090 ▼a 791.430953 ▼b 2020z1
100 1 ▼a 신강호
245 1 0 ▼a 명장면으로 한국영화 읽기 / ▼d 신강호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20
300 ▼a xi, 567 p. : ▼b 삽화 ; ▼c 19 cm
504 ▼a 참고문헌: p. 558-567
536 ▼a 이 저서는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5S1A6A4A01013418)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0953 2020z1 Accession No. 11183119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영화사 초창기에서 2019년까지 개봉한 한국 장편 극영화 60편을 분석했다. 각 시기를 대표하는 한국영화를 통해 그 영화가 한국영화사적인 맥락에서 어떠한 가치와 의미가 있는지 설명했다. 영화에 담긴 삶의 은유와 시대의 상징을 읽을 수 있다. 또 영화 속 명장면들의 비평적 분석을 통해 다양한 영화 기법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검토했다. 영화 연구의 방법론 중 신형식주의, 역사적 시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신형식주의는 영화 이론, 영화 분석, 영화사의 세 분야로 서로 밀접하게 엮어 있다.

한국 영화사의 재발견

누구나 영화를 보고 그 영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가질 수 있다. 같은 영화를 보더라도 그 영화의 감독이나 장르, 또는 영화의 촬영, 편집 기법, 주제나 스토리 등 특정한 측면에 더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영화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고 평가하는 일은 간단하지 않다. 감상자의 미적인 태도, 사회적인 경험, 세계에 대한 인식 등의 폭과 깊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영화를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인식하려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비평 과정에 가담하게 된다. 비평적 영화 분석은 영화의 기능, 효과, 의미 등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하게 해주고 관객의 마음속에 그만큼 새로운 정서적 체험을 간직하고 개발되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영화 연구의 여러 방법론 중 신형식주의, 역사적 시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신형식주의, 역사적 시학은 영화 이론과 영화 분석, 영화사의 통합을 추구했다. 여기서 신형식주의는 영화 이론, 영화 분석, 영화사의 세 분야로 서로 밀접하게 엮여 있다. 부분적으로는 서로 독립적이지만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신형식주의와 역사적 시학은 모두 세 가지 넓은 연구 영역으로 세분될 수 있다. ‘분석적 시학’은 특정 효과를 노리는 영화의 구조를 연구한다. ‘역사적 맥락’은 영화의 형식과 소재를 형성하는, 역사적으로 구축된 인과적 요인을 다룬다. 그리고 ‘효과’는 영화가 만들어낸 반응과 관객의 수용에 집중한다.
이 책은 한국영화사 초창기에서 2019년까지 개봉한 현존하는 한국 장편 극영화 60편을 분석했다. 선정 기준은 당대의 대중 의식을 반영했거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등 영화사적 연구 가치가 높은 작품, 예술, 장르, 스타라는 관점에서 완성도가 높은 작품, 당대 새로운 경향을 보여준 작품, 주제와 소재 면에서 한국사회에 영향을 미친 작품, 평단과 대중으로부터 주목을 받은 작품,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발굴할 필요성이 있는 영화라고 판단되는 한국영화들이다.
이 책을 통해 당대의 인간과 사회를 들여다봄으로써 한국영화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신강호(지은이)

대진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다.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석사학위(1988), 박사학위(1996)를 받았다. 한국영화학회 회장(2007∼2008),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회장(2009∼2010), 대한민국 영화대상(MBC) 조직위원(2006∼2010),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등급분류위원(2009∼20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영화 분야 중앙교육위원회 위원(2009∼2011),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자문위원(2010∼2013), 영화진흥위원회 예술영화인정 소위원회 위원장(2012∼201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국제영화제 평가위원(2013∼2014), 한국영화교육학회 회장(2012∼2013), 국제비평가연맹 한국본부 회장(2014∼2015), 한국영상자료원 이사(2015∼2018),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예술분과위원회 위원(2016∼2021)을 지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01 일제 강점기: 1919∼1945
〈미몽〉 (1936) 감독 양주남  
〈수업료〉 (1940) 감독 최인규  
〈반도의 봄〉 (1941) 감독 이병일  

02 해방과 전쟁, 그리고 1950년대: 한국영화 부흥의 시작
〈마음의 고향〉 (1949) 감독 윤용규  
〈자유부인〉 (1956) 감독 한형모  
〈돈〉 (1958) 감독 김소동  
〈지옥화〉 (1958) 감독 신상옥  
〈여사장〉 (1959) 감독 한형모  

03 한국영화 전성기: 1960년대
〈로맨스 빠빠〉 (1960) 감독 신상옥  
〈박서방〉 (1960) 감독 강대진  
〈하녀〉 (1960) 감독 김기영  
〈마부〉(1961) 감독 강대진  
〈오발탄〉 (1961) 감독 유현목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1961) 감독 신상옥  
〈삼등과장〉 (1961) 감독 이봉래  
〈돌아오지 않는 해병〉 (1963) 감독 이만희  
〈맨발의 청춘〉 (1964) 감독 김기덕  
〈갯마을〉 (1965) 감독 김수용  
〈안개〉 (1967) 감독 김수용  
〈휴일〉 (1968) 감독 이만희  

04 통제와 불황의 시대: 1972∼1979
〈별들의 고향〉 (1974) 감독 이장호  
〈바보들의 행진〉 (1975) 감독 하길종  
〈삼포 가는 길〉 (1975) 감독 이만희  
〈영자의 전성시대〉 (1975) 감독 김호선  

05 신군부의 문화통치와 새로운 영화문화: 1980∼1987
〈바람 불어 좋은 날〉 (1980) 감독 이장호  
〈최후의 증인〉 (1980) 감독 이두용  
〈티켓〉 (1986) 감독 임권택  
〈기쁜 우리 젊은 날〉 (1987) 감독 배창호  

06 새로운 한국영화의 움직임: 1988∼1995
〈칠수와 만수〉 (1988) 감독 박광수  
〈우묵배미의 사랑〉 (1990) 감독 장선우  
〈결혼이야기〉 (1992) 감독 김의석  
〈하얀 전쟁〉 (1992) 감독 정지영  
〈서편제〉 (1993) 임권택  

07 한국 영화 르네상스: 1996년∼현재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1996) 감독 홍상수  
〈8월의 크리스마스〉 (1998) 감독 허진호  
〈인정사정 볼 것 없다〉 (1999) 감독 이명세  
〈박하사탕〉 (1999) 감독 이창동  
〈엽기적인 그녀〉 (2001) 감독 곽재용  
〈살인의 추억〉 (2003) 감독 봉준호  
〈올드 보이〉 (2003) 감독 박찬욱  
〈그때 그 사람들〉 (2005) 감독 임상수  
〈달콤한 인생〉 (2005) 감독 김지운  
〈웰컴 투 동막골〉 (2005) 감독 박광현  
〈괴물〉 (2006) 감독 봉준호  
〈라디오 스타〉 (2006) 감독 이준익  
〈밀양〉 (2007) 감독 이창동  
〈우아한 세계〉 (2007) 감독 한재림  
〈추격자〉 (2008) 감독 나홍진  
〈마더〉 (2009) 감독 봉준호  
〈써니〉 (2011) 감독 강형철  
〈광해, 왕이 된 남자〉 (2012) 감독 추창민  
〈변호인〉 (2013) 감독 양우석  
〈국제시장〉 (2014) 감독 윤제균  
〈내부자들〉 (2015) 감독 우민호  
〈베테랑〉 (2015) 감독 류승완  
〈암살〉 (2015) 감독 최동훈  
〈밀정〉 (2016) 감독 김지운  
〈아가씨〉 (2016) 감독 박찬욱  
〈택시 운전사〉 (2017) 감독 장훈  
〈기생충〉 (2019) 감독 봉준호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
McCurdy, Jennett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