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 (3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영숙, 朴英淑, 1955- Glenn, Jerome Clayton, 1945-, 저
서명 / 저자사항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 = The millennium project / 박영숙, 제롬 글렌 지음
발행사항
파주 :   교보문고,   2020  
형태사항
591 p. ; 23 cm
ISBN
9791159099878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7054
005 20220713144839
007 ta
008 200709s2020 ggk 000c kor
020 ▼a 9791159099878 ▼g 03320
035 ▼a (KERIS)BIB000015605119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303.490905 ▼2 23
085 ▼a 303.490905 ▼2 DDCK
090 ▼a 303.490905 ▼b 2020
100 1 ▼a 박영숙, ▼g 朴英淑, ▼d 1955- ▼0 AUTH(211009)32570
245 1 0 ▼a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 = ▼x The millennium project / ▼d 박영숙, ▼e 제롬 글렌 지음
246 3 1 ▼a Millennium project
260 ▼a 파주 : ▼b 교보문고, ▼c 2020
300 ▼a 591 p. ; ▼c 23 cm
700 1 ▼a Glenn, Jerome Clayton, ▼d 1945-, ▼e
900 1 0 ▼a 글렌, 제롬,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118318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1183721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212536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310546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의학교육학 303.490905 2020 등록번호 931002738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513513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118318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1183721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4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212536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310546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의학교육학 303.490905 2020 등록번호 931002738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3.490905 2020 등록번호 1513513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십수 년 전부터 유망 기술로 소개된 유전자 편집 기술은 개량을 지속해 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를 탄생시키며, 실제로 특정 유전자를 잘라낸 아이를 출생시키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동안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양자컴퓨터가 ‘양자 우위’를 달성하며 마침내 현실에 발을 내딛었다. 제2의 지구를 찾아 헤매던 우주학자들이 드디어 지구와 가장 유사한 별 케플러-1649c를 찾아냈다.

미래는 한 걸음씩 착실하게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물론 예상치 못한 미래도 불시에 찾아온다. 2020년, 전 세계를 멈추게 한 코로나19 사태가 그렇다. 아이러니하게도 세계가 멈춰 섰는데 미래는 더 앞당겨졌다. 그동안 제도의 테두리 안에 묶여 있던 첨단 기술들이 위기 상황에서 제한적이나마 제 몫을 해내면서 주목받은 것이다.

코로나19의 유행을 가장 먼저 감지하고 경고한 인공지능, 거리를 소독하고 감염자를 찾아내며 정보 및 의약품과 식료품을 전달하는 드론, 감염자를 돌보고 병원을 소독하는 로봇, 감염자의 이동 경로를 찾고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해주는 스마트 위치 기반 기술, 코로나19의 게놈을 해독하고 공유한 집단지성 등, 첨단 기술은 전 세계적 위기 사태에서 능력을 발휘했다.

시대의 변화에 앞서가려면, 미래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해준 계기다.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는 코로나19로 인한 미래 예측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전작 출간 후 3년 동안 미래에 얼마나 가까워졌고 또 어떤 새로운 미래가 찾아왔는지 각 분야별로 나눠서 살펴본다.

전 세계 미래학자와 전문가들의 최신 연구 성과를 담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예측한 종합 전망서

■ 이 책의 특징

십수 년 전부터 유망 기술로 소개된 유전자 편집 기술은 개량을 지속해 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를 탄생시키며, 실제로 특정 유전자를 잘라낸 아이를 출생시키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동안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양자컴퓨터가 ‘양자 우위’를 달성하며 마침내 현실에 발을 내딛었다. 제2의 지구를 찾아 헤매던 우주학자들이 드디어 지구와 가장 유사한 별 케플러-1649c를 찾아냈다.
미래는 한 걸음씩 착실하게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물론 예상치 못한 미래도 불시에 찾아온다. 2020년, 전 세계를 멈추게 한 코로나19 사태가 그렇다. 아이러니하게도 세계가 멈춰 섰는데 미래는 더 앞당겨졌다. 그동안 제도의 테두리 안에 묶여 있던 첨단 기술들이 위기 상황에서 제한적이나마 제 몫을 해내면서 주목받은 것이다. 코로나19의 유행을 가장 먼저 감지하고 경고한 인공지능, 거리를 소독하고 감염자를 찾아내며 정보 및 의약품과 식료품을 전달하는 드론, 감염자를 돌보고 병원을 소독하는 로봇, 감염자의 이동 경로를 찾고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해주는 스마트 위치 기반 기술, 코로나19의 게놈을 해독하고 공유한 집단지성 등, 첨단 기술은 전 세계적 위기 사태에서 능력을 발휘했다.
시대의 변화에 앞서가려면, 미래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해준 계기다.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는 코로나19로 인한 미래 예측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전작 출간 후 3년 동안 미래에 얼마나 가까워졌고 또 어떤 새로운 미래가 찾아왔는지 각 분야별로 나눠서 살펴본다.

▸ 70년간 세계를 이끌어온 질서를 무너뜨린 코로나 사태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는 이전과 다른 새로운 질서를 만들었다. 그로부터 70년이 지난 2020년, 코로나19는 제2차 세계대전만큼이나 큰 충격을 몰고 왔다. 세상은 결코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하며, 이제 완전히 다른 세상을 위한 새로운 질서가 만들어질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가장 먼저 준비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에는 코로나19로 인해 5~10년 앞당겨진 미래의 모습이 사회, 경제, 도시, 개인의 삶 등 전반에 걸쳐 소개되며, 향후 50년을 지배할 유망 기술 및 그로 인한 사회와 경제의 변화를 함께 점검한다. 아울러 건강과 의료, 경제와 일자리, 도시와 주거의 변화, 교육을 비롯한 각종 제도의 변화, 기후 변화와 환경, 그 밖의 첨단기술과 인류의 우주 진출도 살펴볼 것이다.
이 책의 제목(2035-2055)과 달리 책 속에서 다루는 많은 기술과 그로 인한 사회와 경제, 환경의 변화는 향후 10년 안팎으로 집중된다. 그 이유는 우리가 가까운 미래를 건너뛰고 먼 미래를 보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그것은 공상과학 소설을 읽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까운 미래의 기술과 사회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더 먼 미래를 상상할 수 있다. 2020~2030년의 기술 발전 추이를 통해 2035~2055년의 사회와 우린 삶을 예측해볼 수 있도록 이 책이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 코로나19가 바꾼 풍경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예측한다
책의 내용은 총 9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다. 1부에서는 현재 우리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코로나19 관련해 다각도로 점검한다.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한 상황에서 사람들의 관심은 이 사태가 언제 종식될지, 그 뒤 사회와 경제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에 쏠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코로나바이러스의 백신 개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분석해보고, 개발에 속도를 붙여줄 첨단기술과 각종 사회적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백신 개발의 미래를 예측한다. 또한 다음에 다가올 전염병 대유행을 막기 위해 기술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사람들의 생활과 의식을 어떻게 바꾸는지도 설명해준다.
인공지능이 전문가 수십 명을 투입한 것보다 더 빠르게 코로나19에 효과적인 약물을 찾아내며, 집단지성이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관련 지식을 교환해 약물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일상에서는 비대면 접촉이 늘어나면서 온라인 쇼핑을 비롯해 드론, 로봇의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원격근무, 원격수업 등의 필요성이 대두된 만큼 ICT 역시 진화하고 있다.
코로나19는 기술에 따른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많은 학자들과 사회적 리더들이 보편적 기본소득의 도입을 주장해왔고 일부 선진국에서 실험적으로 적용해보기도 했지만 성공적인 결과를 얻지는 못했다. 그동안 보편적 기본소득은 ‘교환 가치’를 바탕으로 성립된 경제 체제에서 노동과 교환 없이 화폐가 주어진다는 점에서 ‘복지’의 연장이라는 인식이 깊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이런 경제의 오래된 고정관념을 바꿔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보편적 기본소득이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해주는 복지가 아니라 소비를 활성화시켜 경제를 돌아가게 하는 수단이라는 점도 확인되었다. 시각을 약간만 바꾸면 일자리나 경제, 사회에 대한 모든 것이 코로나19를 계기로 완전히 뒤바뀔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우리에게 어떤 미래가 찾아올지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전한다.

▸ ‘수명 탈출 속도’를 뒷받침해줄 의료혁명과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스마트 시티
코로나19가 건강에 관한 이슈이기에 대중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다. 2부 ‘건강과 수명 연장’ 편에서 의료의 미래를 점검한다. 발명가이자 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은 “살아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해마다 수명을 1년 연장할 수 있는 시점”인 ‘수명 탈출 속도’를 언급하며 그 시점이 10~12년 남았다고 했다. 어떤 기술들이 이 환상적인 ‘수명 탈출 속도’를 뒷받침해줄까? 이 책에서는 개량을 거듭해 마침내 유전성 빈혈 질환 치료에 성공적 결과를 낸 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를 소개하며, 인체에서 그들만의 생태계를 이루어 살고 있는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의 비밀을 밝혀 각종 병증의 치료제를 인간 몸속에서 찾고자 하는 새로운 학문도 소개한다. 그 밖에 장수로 인해 찾아오는 ‘저주’라고 불리는 치매를 극복할 기술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의 발달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한편 코로나19와 관련해 급격히 다가온 원격진료의 현황과 미래를 살펴보고, 신약 개발에 평균 12년이 걸리는 이유와 과정, 이를 앞당길 인공지능의 역할 등도 점검한다.
3부 ‘스마트 시티&라이프’ 편에서는 우리 삶으로 한걸음 성큼 다가온 ‘스마트 시티’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로 예측해본다. 더욱 편리한 삶은 기본이며,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스마트 시티를 위해 어떤 신기술들이 적용되는지 살펴보고, 또 여기에서 파생되는 사생활 보호 이슈도 점검한다. 한편 수직농장, 3D 음식 프린터, 블록체인으로 관리되는 식자재 등 신기술이 적용된 식생활과 함께 환경 파괴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축산업의 종말과 이를 대체하는 줄기세포 기술 등 미래에 찾아올 음식 혁명을 소개한다. 또 스마트 시티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교통 혁명도 집중적으로 다룬다. 자율주행차의 보편화는 자동차 소유를 없애고 새로운 대중교통 문화를 정착시킬 것이다. 특히 비행기를 취급하는 기업들이 관심을 갖는 비행자동차의 기술과 인프라가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일각에서 주장하는 자율주행차보다 비행자동차의 도입이 더 앞설 것이라는 예측도 소개한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도심 항공 이동수단Urban Air Mobility, UAM 사업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현대차가 이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 경험 경제, 순환 경제, 제로의 시대, 그리고 우주 시대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는 그 밖에도 경제와 일자리, 거버넌스, 교육, 첨단기술 등 대중의 관심이 높은 분야와 함께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환경과 에너지, 우주 개발 분야도 살펴본다. 그중에서도 주목해볼 만한 트렌드가 몇 가지 있다. 더욱 바빠지는 인간의 삶에서 쇼핑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스마트하게 변하며, 여기에서 ‘경험 경제’가 기업의 성패를 가를 열쇠가 될 것이다. 또한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전 세계가 실감하는 지금, 기술과 결합해 세계적 트렌드로 다가오는 ‘제로의 시대’와 함께 환경 보전을 우선하는 ‘순환 경제’의 도래도 예측하고 있다. 한편 항공우주 분야에서 최근 민간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유인우주선을 발사해 우주정거장과 도킹에 성공한 것이 이슈가 되었다. 이로써 민간 우주 탐사시대가 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우주로 가는 길에 얼마나 진척이 있는지, 또 다른 지구를 찾는 모험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살펴본다.

▸ 우리가 모두 미래학자가 되어야 하는 이유
현재를 살기에 급급한 우리에게 미래까지 살피는 일은 좀처럼 쉽지 않다. 이번 코로나19 사태 때 방역을 포함해 우리나라의 대처는 훌륭했지만, 미래 지향적이라고 말하기는 힘들 것이다. 중국처럼 방역과 대인 커뮤니케이션 등에 드론이나 로봇을 사용한 사례는 드물었다. 원격수업은 쌍방향 지원 플랫폼을 갖추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접속 폭주로 수업에 접근조차 못 해서 교사와 학생, 학부모 모두를 진땀 빼게 했다. 원격진료 역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해 전문가들의 반발을 샀다. 결국 신기술의 힘을 빌려 방역 전쟁을 치른 것이 아니라, 의지와 집념으로 치러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성과 역시 무시할 수 없지만, 여기에 신기술이 더해지면 우리는 훨씬 더 좋은 결과를 얻었을지도 모른다.
이것이 우리가 미래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다. 이뿐만이 아니다.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 알아야 비즈니스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고, 새로운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의 삶의 방식을 바꿀 수 있으며, 또 미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대체로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미래를 보는 데 집중하지만, 코로나19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미래는 예측하지 못한 돌발 상황과 함께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암울한 미래도 얼마든지 올 수 있다. 그럴 때 당황하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도 《세계미래보고서 2035-2055》의 중요한 역할이다. 미래의 돌발 상황에 지금보다 더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가오는 미래를 그저 받아들이기보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롬 글렌(지은이)

미래학자이자 밀레니엄 프로젝트 회장. 밀레니엄 프로젝트 및 세계 미래연구기구협의회 회장이다. 40년 이상 미래학을 연구하면서 각국 정부 기관, 국제 기구, 기업 등과 함께 과학 기술 정책, 환경 안전 보장, 경제, 교육, 국방, 우주, 미래연구방법론, 국제 통신,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부 부처, 대학, 유엔 기구 및 각종 비정부 기구, 기업 등 다양한 기관에서 주최하는 국제 회의에서 미래에 대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그가 발명한 ‘퓨처스 휠Futures Wheel’이라는 미래 예측 기법은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예측의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뉴욕 타임스〉 〈리더스〉 〈퓨처리스트〉 등에 미래 사회에 관한 글을 기고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미래의 다양한 가능성을 각국 정부와 기업인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박영숙(지은이)

세계적인 미래 연구 기구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한국 지부 (사)유엔미래포럼 대표. 20여 년간 주한 영국대사관, 10년간 호주대사관 홍보실장, 수석보좌관으로 활동하며 정부 미래 예측 기법을 접했다. 이후 글로벌 미래 예측 전문가 집단에 합류해 현재는 밀레니엄 프로젝트를 비롯해 인공일반지능(AGI)학회, 오픈코그, 싱귤래리티넷 등 미래연구 국제기구와 미래부상기술기업의 한국 대표를 맡고 있다. 또한 전 세계의 미래학자와 테크기업인들과 교류하며 IEEE의 글로벌 AI표준 위원장 투피 살라바의 하이퍼사이클을 지원하는 등 AGI의 도래를 대비하고 있다. 현재 유튜브 ‘박영숙미래TV’를 운영 중이며, AI넷·블록체인AI뉴스 편집인이자 국방부 국방개혁자문위원, 육군미래혁신자문위원, 국군의무사령부 미래위원 등 정부 기관의 자문위원을 겸하고 있다.경북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했고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를, 성균관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저서로는 14년 연속 경제경영 베스트셀러로 누적 80만 부가 판매된 《세계미래보고서》 시리즈를 비롯해 《인공지능혁명 2030》 《AI세계미래보고서 2023》 《블록체인 혁명 2030》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저자 서문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 스스로 미래학자가 되어야 하는 이유
● FUTURE ISSUE 미래의 길을 만드는 주요 기술 변화 예측

PART 1 앞당겨진 미래
1. 전 세계 코로나19 대응의 중간 평가 및 점검
2. 과거 전염병이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3.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4. 코로나19 이후 4가지 시나리오
5. 전염병의 대유행 끝에 보는 희망
6. 첨단 기술의 활약상
7. 다음 단계로 변화의 움직임은 이미 시작되었다
8. 집단지성이 전염병을 극복하는 7가지 방법
9. 코로나19 극복에 뛰어든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
10. 디지털 학습은 여전히 차선책인가
11. 예상을 웃도는 자동화의 속도
12. 인간을 돌보는 로봇의 ‘티핑 포인트’
13. 5년 앞당겨진 로봇의 대중화
14. 다시 논의되는 보편적 기본소득
15. 재난 기본소득과 디지털 통화
16. 암호화폐가 다시 주목받는다
17. 전염병을 이기는 스마트 시티 기술
18. 능력을 아직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드론
19. 전염병이 바꾼 쇼핑의 미래
20. 개인 데이터의 중요성과 활용법
21. 코로나19에 등장한 인기 아이템 10가지

PART 2 건강과 수명 연장
1. 장수1: 과학이 매년 1년씩 당신의 삶을 연장한다
2. 장수2: 노화는 치료 가능한 질병이다
3. 장수3: 고령화와 의료 트렌드 변화
4. 장수4: 마이크로바이옴이 이끄는 수명 연장
5. 의료1: 3세대 유전자 가위가 가져오는 의료 혁명
6. 의료2: 가상현실, 증강현실, 원격의료의 미래
7. 의료3: 예방적 의료가 주목받는다
8. 치매 극복1: 뇌의 비밀이 밝혀지다
9. 치매 극복2: 신경회로 고장을 수리하는 신기술
10. 치매 극복3: 뇌 기능 보완하는 인공 신경세포의 개발
11. 치매 극복4: 인간과 기계의 연결
12. 인간의 몸에서 전기가 할 수 있는 일
13. 미래 인류 최대의 적, 전염병
14. 코로나19 백신이 늦게 나오는 이유
15. 신약 개발까지 10년, 인공지능이 앞당긴다
16. 피부에서 장기까지, 줄기세포가 완성하는 이식의 미래

PART 3 스마트 시티 & 라이프
1. 새로운 녹색 트렌드 ‘스마트’
2. 스마트 시티를 미리 가보다
3. 식생활의 미래1: 첨단 기술로 변하는 음식의 미래
4. 식생활의 미래2: 환경 파괴하는 축산업의 종말
5. 식생활의 미래3: 유전자 변형에서 유전자 편집으로
6. 교통의 미래1: 전기차, 자율주행차, 비행자동차
7. 교통의 미래2: 항공운송이 더 가까워진다
8. 교통의 미래3: 자율주행차와 사생활 보호
9. 교통의 미래4: 대중교통의 진화
10. 교통의 미래5: 안전 운전의 가이드 스마트 로드

PART 4 경제와 일자리
1. 주 15시간 근무하는 미래?
2. 경험 경제와 구독 경제
3. 로봇이 일자리를 빼앗는가
4. 보편적 기본소득이 도입될 수밖에 없는 이유
5. 신기술이 만드는 10년 후 직업
6. 미래의 일자리 경쟁력 5
7. 일자리 500만 개 소멸, 1억 3,300만 개 탄생
8.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오는 혁신의 파도

PART 5 거버넌스
1. 초연결사회와 세계 시민권
2. 급변하는 세계와 그에 따른 거버넌스의 출현
3. 조직을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블록체인
4. 블록체인에 기반한 국가 거버넌스 2.0 시대
5. 인공지능이 의회에 입성하다
6. 인공지능이 국회의원보다 잘할 수 있다

PART 6 교육
1. 학위 대신 주목해야 할 성과 31
2. 가난한 나라의 교육이 중요해지는 이유
3. 첨단 기술이 교육의 약점을 공략한다
4. 지식을 뇌로 업로드하는 미래

PART 7 환경과 에너지
1. 기후 변화의 경고 메시지
2. 국가와 문화유산이 물속으로 사라진다
3. 제로의 시대가 다가온다
4. 2030 이후, 세상을 바꿀 순환 경제
5. 생물다양성을 복원하는 최신 기술들
6. 기후 변화를 해결할 7가지 키워드
7. 석유화학제품이 사라진다
8.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배양육
9. 밤에도 에너지 생산하는 태양광
10. 세계에서 가장 작은 원자력 발전소

PART 8 기술
1. 양자컴퓨팅, 이론에서 현실로
2. 양자컴퓨터의 상용화를 위한 온도 극복 과제
3. 나노제조기가 만드는 부족함 없는 미래
4. 인공지능의 주목해야 할 3년
5. 뇌를 번역하는 인공지능
6. 안드로이드에 더욱 가까워지는 로봇
7. 암호가 아닌 새로운 보안 기술

PART 9 우주
1. 제2의 지구를 찾는 모험
2. 점점 현실이 되어가는 우주여행
3. 시동을 거는 화성 식민지 프로젝트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규연 (2023)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