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7001 | |
005 | 20200709172756 | |
007 | ta | |
008 | 200709s2015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94445892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3793348 | |
040 | ▼a 211014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1 ▼2 23 |
085 | ▼a 371.1 ▼2 DDCK | |
090 | ▼a 371.1 ▼b 2015z3 | |
110 | ▼a Education International | |
245 | 1 0 | ▼a 교사의 전문성, 어떻게 만들어지나 : ▼b 세계의 선생님들이 바라본 교사의 역할과 가능성 : ▼b 국제교원노조연맹 보고서 / ▼d 국제교원노조연맹 ; ▼e 김석규 옮김 |
246 | 1 1 |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15 | |
300 | ▼a 385 p. ; ▼c 23 cm | |
500 | ▼a 이 책은 '교사에 관한 회의 Teachers summit'에서 2011, 2012, 2013년에 국제교원노조연맹이 발표했던 세 편의 원고를 번역·편집한 것임 | |
500 | ▼a 부록: 교원 평가와 전문성 표준에 관한 설문조사 : 교사라는 전문 직업에 관한 국제회의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석규, ▼e 역 |
910 | 0 | ▼a 국제교원노조연맹, ▼e 저 |
910 | 0 | ▼a EI,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1 2015z3 | Accession No. 1118306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세 편의 보고서를 담고 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교사에 관한 회의(Teachers Summit)’에 제출되었던 국제교원노조연맹 EI(Education International)의 보고서는 21세기 세계 사회에서 교원들이 직면한 현실과 고민, 그 해결 방안을 교원 전문성의 측면에서 바라본다.
교사를 통제와 관리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을 거부하고 교사들의 자존감, 자기 효능감, 지도력을 중시하는 것은 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사 입장을 표현하는 출발점이다. 2011년 열린 최초의 ‘교사에 관한 회의’에서 국제교원노조연맹이 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지도력을 중요한 영역으로 제시한 것도 그런 입장에서 나왔다.
교사는 실천적 전문가다!
자기 효능감, 지도력, 교원 평가에 관한 세계 선생님들의 보고서!
교사 전문성을 새롭게 규정하려는 국제적 교원단체들의 공동 노력
『교사의 전문성, 어떻게 만들어지나』는 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세 편의 보고서를 담고 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교사에 관한 회의(Teachers Summit)’에 제출되었던 국제교원노조연맹 EI(Education International)의 보고서는 21세기 세계 사회에서 교원들이 직면한 현실과 고민, 그 해결 방안을 교원 전문성의 측면에서 바라본다.
교사를 통제와 관리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을 거부하고 교사들의 자존감, 자기 효능감, 지도력을 중시하는 것은 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사 입장을 표현하는 출발점이다. 2011년 열린 최초의 ‘교사에 관한 회의’에서 국제교원노조연맹이 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지도력을 중요한 영역으로 제시한 것도 그런 입장에서 나왔다.
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목소리, 지도력
영국의 존 뱅스와 데이비드 프로스트 교수(John Bangs and David Frost)가 발표한 「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목소리, 지도력」은 교사들이 자기 효능감(자기실현)을 가지는 것이 학생들이 행복한 질 높은 교육의 선결 조건이며, 학교와 교육정책 운영이 관리자 중심에서 교사의 지도력이 보장되는 분권형 지도력을 형성하고 교육정책과 전문성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자신감을 가진 교사들이 전문가로서 학교 안에서 서로 협력하는 문화를 만들 경우에 교사와 학생 모두가 행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때 교장과 관리자들은 교사들이 교수학습, 교과과정 개발, 학부모/지역사회와의 협력 등에 있어서 지도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이런 종류의 지도력을 ‘수평적 리더십’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권한을 나눠 가진다는 의미에서 ‘분권형 지도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두 용어에 표현된 방식으로 교사 지도력이 발휘되려면, 학교의 의사결정 구조가 민주적이어야 하고 교사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자유와 통로가 보장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런 환경에서 교사들이 전문가로서 서로 협력하는 문화를 만들고 서로의 수업까지 공개하며 전문적인 학습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교사라는 전문 직업의 미래
「교사라는 전문 직업의 미래」는 존 맥베스 교수가 2012년 회의에 제출한 논문으로, 전 세계적으로 교사들에게 불어닥쳤던 교원의 정체성 위기의 배경이 되었던 주요 정책의 변화와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한 지난한 과정을 현란한 비유와 해법으로 보여준다. 교사가 교육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하는 사회정치적 환경과 학교교육제도의 역사를 살펴보고 있다.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흐름은 자유주의적인 교사의 교육 방식과 교육과정을 개편하기 위한 과정에서 교육 성취도에 대한 학교의 효과성을 묻고, 나아가서 이에 관한 교원 개개인의 성과를 추궁하는 정책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영?미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교원들은 ‘화려한 신화’ 시대의 자존감과 정체성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과정을 이 논문을 통해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흐름과 미래 사회의 학교 역할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학교의 역할을 재구성하고 교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교사들의 집단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제출한다.
현직 교사인 옮긴이가 보기에, 이러한 상황은 우리 교육의 모습에서도 발견된다.
“전문가로서 가져야 할 자율성, 자기 효능감,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제 강화, 역할에 대한 과부하, 탈전문화, 학생의 일탈 행동을 들고 있는데,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 놀랍다. 상황이 이렇게 된 배경으로 ‘학교 효과성’ 개념이 등장한 역사를 분석하고, 이에 반대하고 그 대안으로 방과 후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했다는 점이 우리나라 대안학교운동의 등장을 보는 듯하다. 그리고 미래 사회의 학교가 요구하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동료 간 협력과 학교-지역사회 협력이 그 중심 주제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귀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교원노조가 여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측도 현실성이 있어 보인다.”
교원 평가의 활용과 오용
국제교원노조연맹의 연구소 자문위원인 로라 피가졸로가 작성한 「교원 평가의 활용과 오용」은 전 세계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원평가제도에 대해 교원노조의 입장에서 제출한 최초의 국제 비교 보고서이다.
교육의 효과를 좌우하는 가장 큰 변수로 교사 효과를 들면서 교원평가제도를 중시하지만 평가의 기준과 방법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크다는 점을 지적한다. 즉,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체크리스트 몇 가지 항목으로 협소하게 정의하고, 학생의 시험 성적과 같은 수치에 근거하여 등급으로 서열을 만들며, 평가 결과를 성과급과 같은 금전적 보상과 연계시킬 때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례를 제시한다. 그리고 ‘성과향상도 평가방법’이 수업을 시험문제 풀이 위주로 변화시키거나 부자 동네 학교의 교사들이 좋은 등급을 받는 현상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낸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 대안으로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말하는데, 평가과정을 설계하는 데 교사들이 참여하고, 체크리스트보다는 자기 성찰의 기록과 동료 관찰을 활용하여 평가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 사교육비 경감 방안의 일환으로 이른바 교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평가제도라는 명목으로 새로운 교원 평가를 도입하려 했던 정부에 대항하여 지금도 시행령 수준의 법적 근거를 가지고 실시되는 교원평가제도의 본질과 문제점을 객관화하는 데 이 논문은 많은 시사점을 보여준다.
교사, 교육제도와 정책의 주체로 서야
세 편의 논문은 각각의 영역을 다루지만 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학교와 교육제도 속에서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는 공통되고 일관된 입장을 견지한다. 그것은 교사는 교육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한 활동에서 자기 효능감을 느끼고 자신의 역할에 맞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교를 비롯한 교육제도와 정책에서 주체로서 위상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 사회에서 교사가 처한 현실에 대한 총체적인 조망을 바탕으로 집단적인 실천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역할은 조직화된 교사집단인 교원노조에게 부여된 사명임을 강조한다. 교원평가제도 역시 교원노조와 교사집단이 그 필요성과 내용을 동의하고 함께 설계했을 때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교원노조는 전문가로서 교사의 자율성과 지도력을 높일 조건을 마련하고 자신감을 더해줄 수 있다. 교원노조는 양질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성 개발을 위한 정책 분야에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다. 교원노조는 교과과정, 표준, 교수학습 방법, 평가와 같은 문제에 대해 실사구시의 정책을 제창할 수 있고, 조합원들이 이런 정책을 놓고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제공할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우리가 지금, 교사 전문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
국제교원노조연맹의 발표 원고만 꼼꼼히 읽어보아도 우리나라 교사 전문성 정책을 반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원단체 회원들은 교사들의 자발성을 기초로 하여 전문성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실천과 연구 방향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교사 전문성에 대해 새삼스럽게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진보 교육감의 대거 당선과 혁신학교운동의 확산에 있다. 혁신학교를 가능케 한 요인 중 하나가 교사들의 전문성이라는 점, 즉,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소속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집단지성을 발휘한 때문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국제교원노조연맹 보고서(지은이)
국제교원노조연맹은 170개 나라의 400여 교직원노조와 교원단체 조합원 3,000만 명을 대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노조연맹체이다. 국제교원노조는 양질의 공교육을 옹호하고, 교직원의 이익을 중심에 두고 상호 부조와 연대를 도모하며, 어떤 차별도 없는 정의로운 사회를 세계적 수준에서 실현하려고 투쟁하는 민주적인 조직이다.
김석규(옮긴이)
충북 괴산북중 교사. 1980년대 사범대학을 다니던 중 민주화 운동과 관련하여 제적당했다가 1995년 졸업했다. 대기업에 입사했으나 1998년 명퇴하고 캐나다로 유학을 가서 프레이리의 민중교육론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을 공부했다. 2003년 한국에 돌아와 서울의 중학교 교사로 일하며 짬짬이 한국의 민중교육에 관한 논문을 완성하여 2006년 토론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교조 참교육운동과 교사 주도 학습모임에 참여하며 평생학습 담론을 교직사회에 적용하려고 시도했지만, 대도시 대규모 학교의 한계점을 절실히 느끼고 2008년 충북 증평으로 이주하여 귀촌을 단행했다. 충북에서 혁신학교 운동에 참여하면서 붕괴하는 농촌마을을 살리는 교육을 절실하게 고민하고 있다. 농촌마을을 살리기 위해 풀무학교를 세웠던 김찬갑, 주옥로 선생님을 따라 배우는 교사가 더 많이 나타났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교사학습공동체부터 만들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추천의 글| 교사의 전문성 담론과 교원노조의 역할?한만중 옮긴이의 말 Ⅰ 교사의 자기 효능감, 목소리, 지도력: 국제교원노조연맹의 정책 방향 1장 자기 효능감, 행복, 교사의 지도력 2장 교사, 교원노조와 나눈 대화: 방법론 3장 교사의 견해와 관점 4장 교사들이 단결된 목소리를 내야 할 시기 5장 결론: 정책의 틀을 제시하며 Ⅱ 교사라는 전문 직업의 미래 1장 교사가 된다는 것 2장 불만족 요인을 이해하고 대처하기 3장 화려한 신화로부터 학교 효과성 논리의 탄생 4장 교수 활동을 측정할 수단 찾기 5장 변화에 대한 이야기 6장 생각 바꾸기: 전문 직업의 미래를 향하여 Ⅲ 교원 평가의 활용과 오용 1장 연구 배경 2장 OECD 국가들의 교원 평가 살펴보기 3장 새롭게 나타난 경향과 발전상 4장 결론 부록 교원 평가과 전문성 표준에 관한 설문 조사: 교사라는 전문 직업에 관한 국제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