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6941 | |
005 | 20200709144132 | |
007 | ta | |
008 | 200709s2017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1146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478694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71.1 ▼2 23 |
085 | ▼a 371.1 ▼2 DDCK | |
090 | ▼a 371.1 ▼b 2017z2 | |
100 | 1 | ▼a 오영범 |
245 | 1 0 | ▼a 교사 전문성과 수업 : ▼b 질적 연구를 통한 실천적 접근 / ▼d 오영범 지음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7 ▼g (2018 3쇄) | |
300 | ▼a 394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1 2017z2 | Accession No. 11183064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7-07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과 집단의 노력, 최근 유용한 수업개선 방법으로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 그리고 실제 교실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방법에 대한 풍부한 사례를 보여준다. 제1부를 통해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과 집단의 노력을 담았다. 제2부에서는 최근의 유용한 수업개선의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을 다루고 있으며, 제3부에서는 학습동기, 스마트폰, 프로젝트 수업, 개별화 수업을 중심으로 수업 연구를 담았다.
이 책은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과 집단의 노력, 최근 유용한 수업개선 방법으로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 그리고 실제 교실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방법에 대한 풍부한 사례를 보여준다. 제1부를 통해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과 집단의 노력을 담았다. 구체적으로 한 저경력 교사의 실천적 지식 속에 담겨진 의미를 탐색하였고, 소규모 학교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교사들의 혁신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대안적인 교사학습공동체로 자리 잡고 있는 온라인 교사공동체를 통한 전문성 신장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교육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대응전략과 유형 연구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정책을 단순히 수용하는 기계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신들이 처한 교육적 맥락 속에서 교육정책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자율적인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제2부에서는 최근의 유용한 수업개선의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을 소개하면서 수업컨설팅 적용 사례, 수업컨설팅 실천 원리, 그리고 현장의 실천력 있는 수업컨설턴트를 양성하기 위해 메타수업컨설팅 연수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제시하였다. 제3부에서는 학습동기, 스마트폰, 프로젝트 수업, 개별화 수업을 중심으로 수업 연구를 담았다. 먼저, 교사들이 수업에서 활용하고 있는 동기전략의 양상을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1인 미디어 시대를 열고 있는 스마트폰을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최근 배움중심 수업을 효과적으로 구현해 주는 프로젝트 수업과 개별화 수업에 대한 사례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오영범(지은이)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자랐다. 교사의 꿈을 가지고 진주교육대학교에 진학하였고, 2000년에 첫 발령을 받았다. 지속적 배움에 대한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한국교원대학교와 부산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론과 실제를 연계하고 실천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다채로운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다. 2017년에는 개인 연구물들을 모아 「교사 전문성과 수업: 질적 연구를 통한 실천적 접근」을 출판하여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우수도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글쓰기는 교사 전문성으로 이끌어주는 토대가 된다는 인식을 몸소 느끼고 현장 기반 글쓰기를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저서] 2012 공저.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학지사. 2016 공저. 좌충우돌 행복학교 이야기. 아카데미프레스. 2016 공저. 질적자료분석: 파랑새2.0 소프트웨어. 아카데미프레스. 2017 개인. 교사 전문성과 수업: 질적 연구를 통한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18 공저. 자기수업컨설팅. 학지사. [논문]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으로서 스마트폰: 아동들의 교육적 경험. 한국교육, 42(1), 167-195. 2016. 희망이의 성장 이야기: 개별화 수업 사례 연구. 한국교육, 43(4), 5-32. 2016. 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담긴 의미 탐색: L교사의 교육 이야기. 평생학습사회, 11(4), 83-113. 2016. 학습동기를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9(1), 71-79. 2017.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탐색. 한국교육, 44(1), 5-32. 외 KCI 등재지 20여 편 게재 및 출판

Table of Contents
머리말 3 추천의 글 6 제1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과 집단의 노력 11 chapter_1 실천적 지식의 의미와 중요성 15 1. 들어가며 15 2. 이론적 배경 18 3. 연구 방법 22 4. L교사의 교육적 실천의 의미 28 5. 나가며 43 chapter_2 단위학교 공동체에서의 교육 혁신 51 1. 들어가며 51 2. 이론적 배경 53 3. 연구 방법 58 4.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혁신 사례 66 5. 나가며 79 chapter_3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전문성 발달 87 1. 들어가며 87 2. 이론적 고찰 89 3. 연구 방법 94 4. 온라인 교사공동체 발달적 특징에 대한 사례 98 5. 나가며 109 chapter_4 SNS를 활용한 학교공동체 운영 115 1. 들어가며 115 2. 이론적 배경 117 3. 연구방법 121 4. 교사들의 ‘밴드’ 사용의 특징 126 5. 나가며 138 chapter_5 교육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유형과 대응전략 147 1. 들어가며 147 2. 혁신학교 현황 149 3. 연구 방법 151 4.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유형과 대응전략 156 5. 나가며 170 제2부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 개선 177 chapter_6 수업컨설팅 사례 179 1. 들어가며 179 2. 이론적 배경 181 3. 연구 방법 185 4. 사례분석 결과 189 5. 나가며 199 chapter_7 수업컨설팅 실천 원리 207 1. 들어가며 207 2. 수업컨설팅의 목적 208 3. 수업컨설턴트의 핵심 역량 211 4. 수업컨설팅의 저항과 그 요인별 해결방안 216 5. 수업컨설팅 실천원리: TEACHER 원리 220 6. 나가며 222 chapter_8 액션러닝을 활용한 메타수업컨설팅 227 1. 들어가며 227 2. 이론적 배경 229 3. 연구 방법 및 절차 235 4. 연구 결과 242 5. 나가며 253 제3부 수업 261 chapter_9 수업에서의 학습동기 263 1. 들어가며 263 2. 이론적 배경 266 3. 연구 방법 269 4. 학습동기를 강화하는 초등 교사들의 수업방법 273 5. 나가며 285 chapter_10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 ‘스마트폰’ 293 1. 들어가며 293 2. 이론적 배경 296 3. 연구 방법 300 4. 초등학교 아이들의 스마트폰의 일상적 경험의 특징 304 5. 스마트폰의 교육적 경험을 기초로 한 학교교육과정과 수업의 설계 312 6. 나가며 320 chapter_11 프로젝트 수업 327 1. 들어가며 327 2. 이론적 배경 329 3. 연구 방법 333 4. 프로젝트 수업 사례 337 5.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345 6. 나가며 353 chapter_12 개별화 수업 359 1. 들어가며 359 2. 연구 방법 363 3. 희망이를 위한 개별화 수업 방법 369 4. 희망이의 교육적 성장 379 5. 나가며 386 찾아보기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