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현대문학사 / 3판

한국 현대문학사 / 3판 (4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영민
서명 / 저자사항
한국 현대문학사 / 권영민
판사항
3판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2020  
형태사항
2책 ; 24 cm
ISBN
9788937420382 (v.1) 9788937420399 (v.2) 9788937420405 (세트)
일반주기
부록수록  
내용주기
v.1. 1896~1945 (701 p.) -- v.2. 1945~2010 (718 p.)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4623
005 20200701153308
007 ta
008 200701s2020 ulk b 001c kor
020 ▼a 9788937420382 (v.1) ▼g 04810
020 ▼a 9788937420399 (v.2) ▼g 04810
020 1 ▼a 9788937420405 (세트)
035 ▼a (KERIS)BIB000015565642
040 ▼a 211048 ▼c 211048 ▼d 211040 ▼d 211009
082 0 4 ▼a 895.709004 ▼2 23
085 ▼a 897.09006 ▼2 DDCK
090 ▼a 897.09006 ▼b 2020
100 1 ▼a 권영민
245 1 0 ▼a 한국 현대문학사 / ▼d 권영민
250 ▼a 3판
260 ▼a 서울 : ▼b 민음사, ▼c 2020
300 ▼a 2책 ; ▼c 24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05 0 ▼a v.1. 1896~1945 (701 p.) -- v.2. 1945~2010 (718 p.)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09006 2020 1 등록번호 111830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09006 2020 2 등록번호 1118304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문학 연구는 문학의 본질과 그 가치의 미학적 특성에 관심을 두지만, 문학사 연구는 역사적 실체로서의 문학 텍스트의 존재 방식과 그 시대적 의미에 관심을 기울인다. 역사의 본질이 바로 변화를 의미하는 것처럼 문학사에서도 문학의 역사적 변화를 중시한다. 그러므로 문학사 연구는 특정 시대의 문학 텍스트의 존재 방식과 의미에 대해 질문하면서 그 의미가 어떻게 당대의 문학 속에 구현되는가를 논의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문학 텍스트의 시대적 문맥이 문학사 속에서 재창조되며, 그 문학적 가치와 역사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미의식이 서로 통합된다. 물론 문학사 연구는 문학 텍스트가 구현하는 의미의 본질이 역사적 맥락을 언제나 초월할 수 있는 것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이 책에서는 한국 현대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개화계몽 시대의 문학, 일본 식민지 시대의 문학, 민족 분단 시대의 문학이라는 세 개의 단계로 구분한다. <한국 현대문학사 1>은 국어국문운동이라는 사회 문화적 실천운동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한문학이 붕괴되고 문학 양식이 새롭게 분화되는 근대문학의 기점을 시작으로 일본 식민지 시대까지의 한국 현대문학의 전개 양상을 다룬다.

19세기 후반 개화계몽 시대부터 일본 식민지 시대까지의 문학

문학 연구는 문학의 본질과 그 가치의 미학적 특성에 관심을 두지만, 문학사 연구는 역사적 실체로서의 문학 텍스트의 존재 방식과 그 시대적 의미에 관심을 기울인다. 역사의 본질이 바로 변화를 의미하는 것처럼 문학사에서도 문학의 역사적 변화를 중시한다. 그러므로 문학
사 연구는 특정 시대의 문학 텍스트의 존재 방식과 의미에 대해 질문하면서 그 의미가 어떻게 당대의 문학 속에 구현되는가를 논의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문학 텍스트의 시대적 문맥이 문학사 속에서 재창조되며, 그 문학적 가치와 역사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미의식이 서로 통합된다. 물론 문학사 연구는 문학 텍스트가 구현하는 의미의 본질이 역사적 맥락을 언제나 초월할 수 있는 것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이 책에서는 한국 현대문학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개화계몽 시대의 문학, 일본 식민지 시대의 문학, 민족 분단 시대의 문학이라는 세 개의 단계로 구분한다. 『한국 현대문학사 1』은 국어국문운동이라는 사회 문화적 실천운동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한문학이 붕괴되고 문학 양식이 새롭게 분화되는 근대문학의 기점을 시작으로 일본 식민지 시대까지의 한국 현대문학의 전개 양상을 다룬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영민(지은이)

충남 보령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 한국문학 초빙교수,도쿄 대학교 한국문학 객원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버클리 대학교 겸임교수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우리 문장 강의』, 『서사 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한국 계급문학 운동 연구』,『한국 민족문학론 연구』,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이상 문학의 비밀12』, 『오감도의 탄생』, 『정지용 전집』 1, 2, 3, 『정지용 시 126편 다시 읽기』, 『문학사와 문학 비평』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 김환태평론문학상,만해대상 학술상, 세종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서설: 한국 현대문학사의 논리와 형태

1장 한국 근대문학의 성립
1 국어국문운동과 근대문학의 등장
2 서사의 분화와 근대소설의 성립
3 전통시가의 근대적 변혁
2장 식민지 상황과 문학의 근대적 인식
1 식민지 현실과 문학의 대응
2 소설과 식민지 현실의 발견
3 민족 정서와 개성의 표현
4 근대적 극문학의 성립
3장 문학과 이념의 대립
1 문학·민족·계급
2 계급소설과 리얼리즘의 성과
3 계급시와 이념적 지향
4 프로연극운동과 계급의식
4장 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
1 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
2 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
3 시정신과 언어 감각
4 극문학의 사실주의와 대중성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