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4214 | |
005 | 20211119110542 | |
007 | ta | |
008 | 200625s2020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62445242 ▼g 93710 | |
035 | ▼a (KERIS)REQ000050686508 | |
040 | ▼a 211015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chi |
082 | 0 4 | ▼a 495.755 ▼a 495.155 ▼2 23 |
085 | ▼a 497.55 ▼2 DDCK | |
090 | ▼a 497.55 ▼b 2020 | |
100 | 1 | ▼a 이천택, ▼g 李天擇 ▼0 AUTH(211009)144536 |
245 | 1 0 | ▼a 한중 시각 형용사의 의미 확장 및 분포 / ▼d 이천택 |
246 | 1 1 | ▼a The meaning extension and distribution of visual adjectives in Korean and Chinese |
246 | 3 1 | ▼a Meaning extension and distribution of visual adjectives in Korean and Chinese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0 | |
300 | ▼a 492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1. 한국어 단일어 형용사 목록, 2. 중국어 단일어 형용사 목록 | |
504 | ▼a 참고문헌: p. [485]-488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수록됨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5 2020 | 등록번호 1118300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5 2020 | 등록번호 5110493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55 2020 | 등록번호 1513584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5 2020 | 등록번호 1118300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5 2020 | 등록번호 5110493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97.55 2020 | 등록번호 1513584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중 시각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을 대조하였고 분포 양상도 제시하였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시각 형용사의 의미를 분석한 뒤 의미 확장의 일반적 원리에 의해 의미 파생 관계를 자세하게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시각 형용사의 의미를 상세하게 대조하였다.
한중 시각 형용사의 의미 확장 및 분포
본 서는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중 시각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을 대조하였고 분포 양상도 제시하였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시각 형용사의 의미를 분석한 뒤 의미 확장의 일반적 원리에 의해 의미 파생 관계를 자세하게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시각 형용사의 의미를 상세하게 대조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제1장 서론 ● 21 1.1. 연구 목적 21 1.2. 선행 연구 23 1.2.1. 한국어 시각 형용사에 대한 선행 연구 24 1.2.2. 중국어 시각 형용사에 대한 선행 연구 27 1.2.3. 한중 시각 형용사에 대한 대조 연구 28 1.3. 연구의 범위 30 1.4. 논의의 구성 35 제2장 시각 형용사의 개념과 의미 분석 ● 39 2.1. 시각 형용사의 개념 및 하위분류 39 2.2. 시각 형용사의 의미 분석 방법 42 2.3. 시각 형용사의 단의 분포 양상 60 제3장 한중 밝기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65 3.1. 명암(明暗) 66 3.1.1. 밝다/亮 66 3.1.2. 어둡다/暗 86 3.2. 청탁(靑濁) 104 3.2.1. 맑다/靑 105 3.2.2. 흐리다/渾 121 3.3. 농담(濃淡) 136 3.3.1. 짙다/濃 136 3.3.2. 옅다/淡 148 3.4. 밝기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165 제4장 한중 색채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169 4.1. 무채색(無彩色) 169 4.1.1. 흑색(黑色) 169 4.1.2. 백색(白色) 177 4.2. 유채색(有彩色) 185 4.2.1. 황색(黃色) 185 4.2.2. 홍색(紅色) 192 4.2.3. 청색(靑色) 201 4.3. 색채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212 제5장 한중 크기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215 5.1. 장단(長短) 216 5.1.1. 길다/長 216 5.1.2. 짧다/短 227 5.2. 고저(高低) 238 5.2.1. 높다/高 238 5.2.2. 낮다/低 258 5.3. 심천(深淺) 272 5.3.1. 깊다/深 273 5.3.2. 얕다/淺 287 5.4. 광협(廣狹) 299 5.4.1. 넓다, 너르다/寬 299 5.4.2. 좁다, 솔다/窄 314 5.5. 조세(粗細) 328 5.5.1. 굵다/粗 328 5.5.2. 가늘다/細 346 5.6. 후박(厚薄) 361 5.6.1. 두껍다/厚 361 5.6.2. 얇다, 엷다/薄 372 5.7. 대소(大小) 391 5.7.1. 크다/大 391 5.7.2. 작다/小 409 5.8. 크기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424 제6장 한중 모양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427 6.1. 정사(正斜) 428 6.1.1. 바르다, 곧다/正, 直 428 6.1.2. 비뚤다, 굽다/偏, 歪, 斜, 彎 446 6.2. 원형(圓形):둥글다/圓 465 6.2.1. ‘둥글다’ 465 6.2.2. ‘圓’ 468 6.2.3. ‘둥글다’와 ‘圓’의 대조 470 6.3. 모양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472 제7장 결론 ●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