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화 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문화 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혜욱 , 鄭惠旭, 1966-
서명 / 저자사항
문화 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 정혜욱
발행사항
서울 :   도서출판3,   2020  
형태사항
349 p. : 삽화 ; 22 cm
ISBN
9791187746379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7-345)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Butler, Judith,   195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2697
005 20200616104756
007 ta
008 200615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91187746379 ▼g 93160
035 ▼a (KERIS)BIB000015604945
040 ▼a 211059 ▼c 211059 ▼d 211009
082 0 4 ▼a 418.02 ▼2 23
085 ▼a 418.02 ▼2 DDCK
090 ▼a 418.02 ▼b 2020z1
100 1 ▼a 정혜욱 , ▼g 鄭惠旭, ▼d 1966-
245 1 0 ▼a 문화 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 ▼d 정혜욱
260 ▼a 서울 : ▼b 도서출판3, ▼c 2020
300 ▼a 349 p. : ▼b 삽화 ; ▼c 22 cm
504 ▼a 참고문헌(p. 327-345)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5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5S1A6A4A01012006)
600 1 0 ▼a Butler, Judith, ▼d 1956-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20z1 등록번호 1118296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1년의 9/11 사태를 전후하여 버틀러는 젠더구분을 너머서 모든 취약하고 위태로운 삶들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오늘날과 같은 불안과 혐오의 시대에 사람들은 “내 삶도 힘들고 고달픈데 왜 가난한 이웃까지 돌보아야하는가?”라고 외치기 쉽지만, 버틀러는 “나의 고달픈 삶, 혹은 나의 삶의 고난과 위기가 다른 상처받은 이웃과 어떻게 이어져있는가”에 대해 성찰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내 고단한 삶의 프레임을 너와 더불어 깨뜨리기 위하여, 화석화된 문화 규범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다시 쓰고자하는 것이 문화번역의 과제다. 문화번역이 버틀러의 저작 속에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번역의 의미와 그 과제는 무엇인지를 살피는 책이다. 문화번역이 기존의 번역연구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1장과 2장에서 번역과 문화번역의 역사와 의미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1990)을 출판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기에, 주로 페미니즘이나 젠더이론가로 분류된다. 그러나 버틀러가 ‘젠더와 성’에만 관심 있는 학자로서 생각하는 것은 그녀의 이론의 절반만을 이해하는 것이다. 2001년의 9/11 사태를 전후하여 버틀러는 젠더구분을 너머서 모든 취약하고 위태로운 삶들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오늘날과 같은 불안과 혐오의 시대에 사람들은 “내 삶도 힘들고 고달픈데 왜 가난한 이웃까지 돌보아야하는가?”라고 외치기 쉽지만, 버틀러는 “나의 고달픈 삶, 혹은 나의 삶의 고난과 위기가 다른 상처받은 이웃과 어떻게 이어져있는가”에 대해 성찰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내 고단한 삶의 프레임을 너와 더불어 깨뜨리기 위하여, 화석화된 문화 규범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다시 쓰고자하는 것이 문화번역의 과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문화번역이 버틀러의 저작 속에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번역의 의미와 그 과제는 무엇인지를 살폈고, 문화번역이 기존의 번역연구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1장과 2장에서 번역과 문화번역의 역사와 의미를 간략하게 소개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혜욱(지은이)

현재 부경대에서 미국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문화번역과 주디스 버틀러의 이론적 프레임』, 『번역과 문화연구: 반복을 거부하는 합일』, 『세계문학 속의 여성』(공저), 『상처와 치유의 서사』(공저), 『미국근현대소설』(공저) 등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 『탈식민 페미니즘과 탈식민페미니스트들』(공역), 『인터넷 상에서』, 『군서치요』(공역) 등이 있다. 현재 상처받은 몸들의 정동과 연대의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 11
1. 번역과 번역학 … 21
2. 문화번역이란 무엇인가? … 67
3.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번역의 개념 … 89
4. 버틀러의 보편과 보편의 번역 … 115
5. 버틀러가 읽는 벤야민의 번역가의 과제 … 133
6. 레비나스의 요구는 왜 번역을 필요로 하는가? … 155
7. 스피박과 버틀러의 문화번역 … 181
8. ‘우리’의 번역: 집회와 몸들의 연대 … 203
9. 지젝과 버틀러: 번역을 둘러싼 시차적 관점 … 247
10. 헤겔의 상호인정을 넘어서: 후기 푸코의 자아 만들기 … 257
11. 사이드와 더불어 번역의 윤리를 생각하기 … 273
12. 초기작의 문제들: 젠더, 몸, 우울증 … 285
|저서소개 … 299 |용어해설 … 307
|참고문헌 … 327 |찾아보기 … 34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