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은하
서명 / 저자사항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 / 장은하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푸른사상,   2020  
형태사항
205 p. ; 24 cm
총서사항
한국어학총서
ISBN
9791130816708
서지주기
참고문헌(p. 183-201)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2577
005 20220124173007
007 ta
008 200615s2020 ulk b 001c kor
020 ▼a 9791130816708 ▼g 937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95.7 ▼2 23
085 ▼a 497 ▼2 DDCK
090 ▼a 497 ▼b 2020z6
100 1 ▼a 장은하
245 1 0 ▼a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 / ▼d 장은하 지음
260 ▼a 파주 : ▼b 푸른사상, ▼c 2020
300 ▼a 205 p. ; ▼c 24 cm
490 1 0 ▼a 한국어학총서
504 ▼a 참고문헌(p. 183-201)과 색인수록
830 0 ▼a 한국어학총서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 2020z6 등록번호 1118574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5.7 2020z4 등록번호 151350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5.7 2020z4 등록번호 151350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 2020z6 등록번호 1118574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5.7 2020z4 등록번호 1513505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5.7 2020z4 등록번호 151350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푸른사상 한국어학 총서. 장은하 고려대 초빙교수의 저서이다. 저자는 언어가 정신세계를 반영한다는 훔볼트와 바이스게르버의 동적언어이론을 바탕으로 남북한 맞춤법의 통일 문제, 개화기 시대 이후 문장의 문체,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제시된 어휘와 그 상징성 연구, <신체> 관련 관용어의 표현, <뼈>의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을 탐색하고 있다.

한국어 어법과 어휘로 살펴본 한국인의 세계관

국어학자 장은하 교수의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는 우리의 모국어인 한국어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규명한 책이다. 언어는 객관세계에 대한 모국어적 정신세계의 표현이며 문화의 한 부분이다. 한 민족의 모국어는 그 민족의 객관세계인 사물에 대하여 관조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정신세계가 반영된 것이다. 예의를 중시하는 한국에서 발달한 경어법 체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훔볼트와 바이스게르버의 동적언어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우리말은 분단 이후 남과 북의 서로 다른 맞춤법 규정과 변화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1장에서는 남북의 맞춤법 규정 중 ‘소리’에 관한 부분에 주목하여 그에 따른 변천 과정과, 현 시점에서 남과 북의 맞춤법 통일 방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2장에서는 북한의 수장인 김정일에 대한 칭호 및 존칭어와 북한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예절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신문과 잡지, 소설 등에 나타난 국한문체, 한글체 표현을 중심으로 한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와 그 변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에 나타난 작가의 고유한 언어 선택과 그 어휘의 상징성을 탐색하였다. 아울러 언어공동체의 사용빈도가 높고, 비유적 기능이 강한 신체 관련 관용어를 통해 모국어 화자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우리말의 어휘체계를 이해하고자 했다. 5장에서는 <뼈>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을 고찰하여 모국어를 향한 언중의 태도를 살펴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장은하(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현대국어의 신체 명칭 분절구조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남북한 맞춤법의 분화와 통일」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 연구」 「「한중록」에 나타난 혜경궁 홍씨의 어휘 특징」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우리말 신체 명칭과 한국적 세계관』 『남북한 맞춤법과 한국어 어휘 연구』가 있다. 고려대학교와 여러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과 한국어문학에 관해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창의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 책머리에

제1장 남북한의 맞춤법
1. 남한의 맞춤법
1) 제1기(1933~1980:통일안 시대)
2) 제2기(1980~현 시점:새 규범 시대)

2. 북한의 맞춤법
1) 제1기(1933~1954:통일안 시대)
2) 제2기(1954~현 시점:새 규범 시대)

3.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1) 체재의 통일성
2) 용어의 통일성
3) 내용의 통일성

제2장 북한의 언어예절
1. 언어례절
1) 이야기를 듣는 사람에 대한 례절관계 표현수법
2) 이야기에 오른 사람에 대한 례절관계 표현수법
3) 위대한 수령님에 대한 언어례절
4)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에 대한 존경과 흠모의 정을 나타내는 어휘와 표현 및 위 대한 수령님의 교사와 로작 전문을 전달하는 화술
5) 일상 사회생활에서의 언어례절

2. 계칭 범주
3. 김정일에 대한 칭호 및 존칭어
4. 생활과 언어례절
1) 청년과 언어례절
2) 로인들에 대한 언어례절

제3장 현대국어 문장의 문체 연구
1. 문체와 국한문체, 한글체의 표현
2. 광복 이후 문장의 문체 (1945~2000)
3. 2000년대 이후의 문장의 문체

제4장 『한중록』의 어휘와 신체 관련 관용어에 대한 연구
1. 어휘분절구조이론과 인지언어학

2. 은유의 개념과 종류
1) 개념적 은유이론
2) 영상도식 이론
3) 개념적 혼성이론

3. 어휘 대립의 중화 현상
1) 상하대립
2) 단계적 대립(계단대립)
3) 등치적 대립
4) 유무적 대립
5) 중화

4. 『한중록』의 어휘와 중화 현상

5. 신체 관련 관용어가 포함된 문장의 문체 연구
1) 신체명칭 ‘손’
2) 신체명칭 ‘발’
3) 신체명칭 ‘입’

제5장 현대국어의 〈뼈〉 명칭 어휘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1. 〈뼈〉 명칭의 기본구조
2. 〈두개:頭蓋〉 명칭에 반영된 한국인의 세계관
3. 〈목〉의 분절구조
4. 〈몸통〉의 분절구조
5. 〈팔, 다리〉의 분절구조

■ 참고문헌
■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홍종선 (202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23)
이관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