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2435 | |
005 | 20200615155520 | |
007 | ta | |
008 | 200612s2018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96451400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4941747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55.0330519 ▼2 23 |
085 | ▼a 355.033053 ▼2 DDCK | |
090 | ▼a 355.033053 ▼b 2018 | |
245 | 0 0 | ▼a 자립안보와 평화체제 추진전략 : ▼b 한미동맹과 베트남통일 교훈을 중심으로 = ▼x Strategy for self-reliant security and peace regime : lesson from ROK-US alliance and the Vietnam unification / ▼d 정경영 [외]공저 |
260 | ▼a 서울 : ▼b KCP7·27, ▼c 2018 | |
300 | ▼a 343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오홍국, 장삼열, 정지웅, 최용호 | |
504 | ▼a 참고문헌: p. 330-340 | |
536 | ▼a 이 책은 (주)우일씨앤텍의 재정지원으로 출간되었음 | |
700 | 1 | ▼a 정경영, ▼g 鄭京泳, ▼e 저 |
700 | 1 | ▼a 오홍국, ▼g 吳洪國, ▼e 저 |
700 | 1 | ▼a 장삼열, ▼g 張三烈, ▼e 저 |
700 | 1 | ▼a 정지웅, ▼g 鄭智雄, ▼e 저 |
700 | 1 | ▼a 최용호, ▼g 崔容鎬, ▼e 저 |
900 | 1 0 | ▼a Chung, Kyung-young, ▼e 저 |
900 | 1 0 | ▼a Oh, Hong-guk, ▼e 저 |
900 | 1 0 | ▼a Jang, Sam-yeol, ▼e 저 |
900 | 1 0 | ▼a Jung, Ji-ung, ▼e 저 |
900 | 1 0 | ▼a Choi, Yong-ho,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5.033053 2018 | Accession No. 1118295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자주국방과 한미동맹 그리고 베트남전쟁과 통일의 교훈을 중심으로 우리의 자립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체제 추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연구 산물이다. 외세 의존하는 안보로 국가가 소멸된 교훈을 감안할 때 과도하게 동맹에 의존하는 안보에서 떨쳐 일어나, 우리의 의지와 전략, 능력으로 이 나라를 지키는 자립안보로 거듭나야 한다.
이 책은 자주국방과 한미동맹 그리고 베트남전쟁과 통일의 교훈을 중심으로 우리의 자립안보전략과 한반도 평화체제 추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연구 산물이다.
외세 의존하는 안보로 국가가 소멸된 교훈을 감안할 때 과도하게 동맹에 의존하는 안보에서 떨쳐 일어나, 우리의 의지와 전략, 능력으로 이 나라를 지키는 자립안보로 거듭나야 한다.
한반도의 통일은 점진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남북 간 합의에 의해 추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추구해야 할 통일전략이다. 동시에 예기치 않은 우발사태 또는 북한이 감행하는 전면전의 위협에도 대비해야 한다. 어떠한 유형의 통일이든 중심축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안보가 무너지면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통일은 불가능하다.
이 책은 외세에 의존하는 것이 통일에 도움이 되는가, 국민통합과 국제협력 없이 통일이 가능한가, 통일에 있어서 군의 역할은 무엇인가와 강력한 안보태세로 국민과 함께 하는 국방이 되기 위한 자립안보 추진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반도 평화체제는 북핵폐기, 평화협정, 군축, 국민통합과 전작권 전환, 동북아 안보협력레짐이 상호 연계되어 추진될 때 가능하다는 인식하에 평화체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통일한국의 비전을 구현해나가는 정부, 분단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로 뭉친 국민, 선열들의 혼백이 어려 있는 조국강토를 되찾겠다는 정신으로 무장한 군의 삼위일체 안보태세가 통일의 구심력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 우리 연구진의 메시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최용호(지은이)
국제정치학박사 전 전쟁과평화연구소 소장, 현 한중7·27평화교류 대표 저서 : 『6·25전쟁의 실패사례와 교훈』 등 20여 권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등 20여 권 논문 : “한국과 베트남의 역사적 유사성과 교훈” 등 30여 편 영상 :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3부작 등
정경영(지은이)
- 현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겸 AKU교수협회 학술연구원장 - 육군사관학교 졸업, 미 육군지휘참모대 군사학 석사, 미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대학원 체계경영학 석사, 미 University of Maryland 대학원 국제정치학 박사 - 서부-중부-동부전선 지휘관, 군단-야전군 작전계획 수립, 미8군-주한미군사지원단-한미야전사-한미연합사 연합 작전 및 작전계획 수립, 합참 군사협력, 육군본부 군사외교, 국방대-가톨릭대 초빙교수,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 자문위원, (사)동북아공동체연구원 부설 동아시아국제전략연구소 소장, 국방안보전문가포럼 대표 역임 - 저서: 『민족분단의 현장에 서서』(1990), 『변화시대의 한국군』(2000), 『통일을 향한 한국군의 도전과 결기』(2017), 『피스 크리에이션: 한미동맹과 평화창출』(2020), South Korea: The Korean War, Armistice Structure, and A Peace Regime(2020).
오홍국(지은이)
비상대비 연구자, 국제군사사학회 회원, 국제정치학 박사로 작가이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서 해외파병과 베트남전쟁을 연구했다. 인도.파키스탄 정전감시단(UNMOGIP PKO), 駐이라크 자이툰사단, 레바논 동명부대에서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경기대.홍익대, Mkiss(국방부 장병자기계발 콘텐츠) 등에서 전쟁과 전략 등에 관한 강의를 담당했다. 주요 논문 및 저서는 '레바논 동명부대 민사작전 분석'(2009), '한국군의 베트남전쟁시 연합 및 합동작전'(2013), <카슈미르와 아르빌의 겨울은 따뜻했다>(2008), <지구촌에 남긴 평화의 발자국>(2012), <베트남전쟁과 한국군>(2014), <손자와 클라우제비츠에게 길을 묻다>(2015) 등이 있다. 2018년 현재는 (사)통일안보전략연구소 연구위원과 한국광물자원공사 비상안전보안실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위기.재난안전.안보 관련 저술과 강의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정지웅(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하였으나, 최전방에서의 군 복무가 계기가 되어 그의 화두가 된 통일문제를 연구하여 같은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적 여건 연구’라는 주제로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에서 박사후 과정을 이수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을 거쳐 (사)통일미래사회연구소장, 아신대 조교수, (사)코리아통합연구원 연구위원, 각종 단체의 자문위원을 역임하면서, 한반도 분단과 사회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분단통일국과 한반도 통일—힘과 통합이론의 관점에서”(박사논문), “German Reun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ory : From Functionalism to Neofunctionalism”, “통일추진 동력으로서의 민족주의”, “정경분리정책과 남북관계, 그 의의와 한계”,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방안과 유형의 모색”, “독일통일의 통합이론적 접근”, “독일통일과 예멘통일”, 『북한핵 프로그램』(역저), 『통일과 한국기독교』, 『통일학』, 『남북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공저), 『동북아 바둑판』 등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장삼열(지은이)
국제정치학박사 현 한미안보연구회 총무이사

Table of Contents
서장 안보의 대전환기, 도전과 과제 : 정경영 · 최용호 제1장 자주국방과 한미동맹 : 장삼열 제1절 한미동맹의 형성과 발전 제2절 자주국방의 부침(浮沈) 제3절 협력적 자주국방 제4절 동맹의존의 심화 제5절 평화체제와 동맹의 비전 제2장 북베트남 화전양면전략과 통일 교훈 : 오홍국 제1절 구국항쟁 제2절 평화협상 제3절 북베트남 무력통일 제4절 남베트남 패망 제5절 베트남 통일 교훈과 한반도 통일방략 제3장 베트남전쟁 승패요인 : 최용호 제1절 군사사상 제2절 군사전략 제3절 지도자 제4절 항불·항미·항중전쟁 제5절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제4장 자립안보와 전작권 전환 : 정경영 제1절 안보환경 평가 제2절 4·27판문점선언과 6·12공동성명의 과제와 도전 제3절 전작권 전환의 목적과 의의 제4절 전작권 전환 이후의 모습 제5절 전작권 전환 추진과 로드맵 제5장 통일비전과 평화체제 추진전략 : 정지웅 제1절 통일비전 제2절 국내정치 제3절 한반도 비핵화 제4절 한반도 평화체제 제5절 통일 로드맵 결론 자립안보 · 평화체제 추진전략 : 정경영 참고문헌 /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