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탐색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탐색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노은희, 책임연구 이광우, 연구 김진숙, 연구 신항수, 연구 변희현, 연구 주형미, 연구 김영은, 연구 지영래, 연구
서명 / 저자사항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탐색 / 노은희 연구책임 ; 이광우 [외]공동연구
발행사항
진천군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형태사항
xix, 299 p.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RRC 2019-3
ISBN
9791157889075
일반주기
공동연구: 김진숙, 신항수, 변희현, 주형미, 김영은, 지영래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79-28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1236
005 20200611113559
007 ta
008 200609s2019 hbk b 000c kor
020 ▼a 9791157889075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5.006 ▼2 23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C2019-3
245 0 0 ▼a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안 탐색 / ▼d 노은희 연구책임 ; ▼e 이광우 [외]공동연구
246 1 1 ▼a A study o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course comple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246 3 1 ▼a tudy o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course comple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260 ▼a 진천군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9
300 ▼a xix, 299 p.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C 2019-3
500 ▼a 공동연구: 김진숙, 신항수, 변희현, 주형미, 김영은, 지영래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279-283
700 1 ▼a 노은희, ▼e 책임연구
700 1 ▼a 이광우, ▼e 연구
700 1 ▼a 김진숙, ▼e 연구
700 1 ▼a 신항수, ▼e 연구
700 1 ▼a 변희현, ▼e 연구
700 1 ▼a 주형미, ▼e 연구
700 1 ▼a 김영은, ▼e 연구
700 1 ▼a 지영래, ▼e 연구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9-3
900 1 0 ▼a Noh, Eun-hee, ▼e 책임연구
900 1 0 ▼a Lee, Kwang-woo, ▼e 연구
900 1 0 ▼a Kim, Jin-sook, ▼e 연구
900 1 0 ▼a Sin, Hang-su, ▼e 연구
900 1 0 ▼a Byun, Hee-hyun, ▼e 연구
900 1 0 ▼a Joo, Hyung-mi, ▼e 연구
900 1 0 ▼a Kim, Young-eun, ▼e 연구
900 1 0 ▼a Ji, Young-rae, ▼e 연구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6 1998a RRC2019-3 등록번호 1118293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ㅣ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ㅣ3
2. 연구 내용ㅣ7
3. 연구 추진 방법ㅣ 9


Ⅱ.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대한 이론적 검토ㅣ15
1. 학점제 및 교과 이수 기준 관련 선행 연구 분석 ㅣ17
2. 교과 이수 기준 개념 및 특성ㅣ25

Ⅲ.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ㅣ33
1. 국외 사례 분석ㅣ35
  가. 핀란드ㅣ35
  나. 호주ㅣ37
  다. 캐나다ㅣ41
  라. 미국ㅣ44
  마. 독일ㅣ47
2. 국내 사례 분석ㅣ49
  가. 교과 성적 산출 및 성취평가ㅣ50
  나. 2018학년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사례ㅣ52
3. 시사점ㅣ56

Ⅳ.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및 개발ㅣ59
1.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향 탐색ㅣ61
  가.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향 도출을 위한 절차ㅣ61
  나. 설문 조사 결과ㅣ61
  다. 전문가 및 정책 협의회 결과ㅣ69
  라. 델파이 조사 결과ㅣ72
  마.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방향 및 개발 절차ㅣ73
2. 국어과 교과 이수 기준(안) 개발ㅣ112
  가. 공통 과목 <국어>ㅣ112
  나. 일반 선택 과목 <독서>ㅣ120
3. 수학과 교과 이수 기준(안) 개발ㅣ125
  가. 공통 과목 <수학>ㅣ125
  나. 일반 선택 과목 <수학Ⅰ>ㅣ135
4. 영어과 교과 이수 기준(안) 개발ㅣ141
  가. 공통 과목 <영어>ㅣ141
  나. 일반 선택 과목 <독해와 작문>ㅣ152
5. 사회과 교과 이수 기준(안) 개발ㅣ159
  가. 공통 과목 <통합사회>ㅣ159
  나. 일반 선택 과목 <사회・문화>ㅣ170
6. 과학과 교과 이수 기준(안) 개발ㅣ177
  가. 공통 과목 <통합과학>ㅣ177
  나. 일반 선택 과목 <물리학Ⅰ>ㅣ192
7. 종합 논의ㅣ199

Ⅴ.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및 지원ㅣ207
1.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및 지원 방향 탐색ㅣ209
  가.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및 지원 방향 도출을 위한 절차ㅣ209
  나. 설문 조사 결과ㅣ209
  다.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및 지원 방향ㅣ221
2.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방안ㅣ223
  가. 교과 이수 기준(안)의 근거 마련ㅣ223
  나. 학업 성취율 적용(안)의 근거 마련ㅣ224
  다. 과목 출석률 적용(안)의 근거 마련ㅣ225
3. 교과 이수 기준 적용에 따른 지원 방안ㅣ227
  가. 미이수 예방 방안(안)ㅣ227
  나. 미이수 후속 지원 방안(안)ㅣ229

Ⅵ. 결론 및 정책 제언ㅣ239
1. 결론ㅣ241
  가. 교과 이수 기준에 대한 이해ㅣ241
  나. 교과 이수 기준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ㅣ243
  다. 교과 이수 기준 설정 및 개발ㅣ245
  라.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및 지원ㅣ248
2. 정책 제언ㅣ252
  가. 교과 이수 기준 관련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ㅣ253
  나. 교과 이수 기준 적용 및 후속 지원을 위한 정책 추진 여건 조성ㅣ263
  다. 교과 이수 적용 및 후속 지원 방안의 학교 실행력 강화ㅣ269

* 참고문헌ㅣ279
* ABSTRACTㅣ285
* 설문지 부록ㅣ28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