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1234 | |
005 | 20200611112414 | |
007 | ta | |
008 | 200609s2019 hbka b 000c kor | |
020 | ▼a 9791157888757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3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C2019-2 | |
245 | 0 0 | ▼a 학교기반의 건강교육 개선 방안 / ▼d 서지영 연구책임 ; ▼e 김기철 [외]공동연구 |
246 | 1 1 | ▼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
246 | 3 1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
260 | ▼a 진천군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9 | |
300 | ▼a xv, 324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C 2019-2 |
500 | ▼a 공동연구: 김상범, 조정환, 이미영 | |
500 | ▼a 부록: 1. 국내외 건강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나타난 동시 등장 단어 분석 (최소 5회 이상 동시에 등장하는 단어 분석), 2. 학교교육에서의 건강교육 실태 및 수요자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3종) | |
504 | ▼a 참고문헌: p. 279-293 | |
700 | 1 | ▼a 서지영, ▼e 책임연구 |
700 | 1 | ▼a 김기철, ▼e 연구 |
700 | 1 | ▼a 김상범, ▼e 연구 |
700 | 1 | ▼a 조정환, ▼e 연구 |
700 | 1 | ▼a 이미영, ▼e 연구 |
830 | 0 |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9-2 |
900 | 1 0 | ▼a Seo, Ji-young, ▼e 책임연구 |
900 | 1 0 | ▼a Kim, Ki-chul, ▼e 연구 |
900 | 1 0 | ▼a Kim, Sang-bum, ▼e 연구 |
900 | 1 0 | ▼a Cho, Jung-hwan, ▼e 연구 |
900 | 1 0 | ▼a Lee, Mi-young, ▼e 연구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006 1998a RRC2019-2 | 등록번호 1118293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 론ㅣ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ㅣ3 2. 연구 내용ㅣ8 3. 연구 방법ㅣ10 Ⅱ. 건강교육에 대한 이해와 건강교육 동향 탐색ㅣ13 1. 건강의 개념과 건강교육의 방향ㅣ15 2. 국내외 건강교육 연구 동향 분석ㅣ26 3. 국외 건강교육 정책 동향 분석ㅣ54 Ⅲ. 학교교육 내 건강교육의 실태 및 요구 분석ㅣ119 1. 우리나라 학교에서의 건강교육ㅣ121 2. 학교교육에서의 건강교육 실태 및 수요자 요구 분석ㅣ141 Ⅳ. 학교기반의 건강교육 방안 설계ㅣ187 1. 학교교육에서의 건강교육의 방향과 세부 과제ㅣ189 2. 건강교육 설계를 위한 지표 설정과 관련 교육 내용의 구성ㅣ196 3. 교과 학습 활동 기반의 교수·학습 방안 예시ㅣ212 Ⅴ. 요약 및 정책 제언ㅣ257 1. 요약ㅣ259 2. 학교기반의 건강교육 개선 방안의 정책화 제언ㅣ262 * 참고문헌ㅣ279 * ABSTRACTㅣ295 * 부록ㅣ299 1. 국내외 건강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나타난 동시 등장 단어 분석 (최소 5회 이상 동시에 등장하는 단어 분석)ㅣ301 2. 학교교육에서의 건강교육 실태 및 수요자 요구 조사를 위한 설문(3종)ㅣ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