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1233 | |
005 | 20200611111854 | |
007 | ta | |
008 | 200609s2019 hbkd b 000c kor | |
020 | ▼a 9791157889341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3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C2019-7 | |
245 | 0 0 | ▼a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국가 수준의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 / ▼d 이승미 연구책임 ; ▼e 이병천 [외]공동연구 |
246 | 1 1 | ▼a National curriculum design for elementary and lower secondary school in compliance with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autonomy policy |
260 | ▼a 진천군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9 | |
300 | ▼a xv, 433 p. : ▼b 도표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C 2019-7 |
500 | ▼a 공동연구: 백경선, 배화순, 이경남, 김선희, 김희경, 이영아, 오수정 | |
500 | ▼a 부록: 1. 설문 조사 문항, 2. 설문 조사 결과, 3. 델파이 조사②의 결과 | |
504 | ▼a 참고문헌: p. 362-383 | |
700 | 1 | ▼a 이승미, ▼e 책임연구 |
700 | 1 | ▼a 이병천, ▼e 연구 |
700 | 1 | ▼a 백경선, ▼e 연구 |
700 | 1 | ▼a 배화순, ▼e 연구 |
700 | 1 | ▼a 이경남, ▼e 연구 |
700 | 1 | ▼a 김선희, ▼e 연구 |
700 | 1 | ▼a 이영아, ▼e 연구 |
700 | 1 | ▼a 오수정, ▼e 연구 |
830 | 0 |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9-7 |
900 | 1 0 | ▼a Lee, Seung-mi, ▼e 책임연구 |
900 | 1 0 | ▼a Lee, Byeong-cheon, ▼e 연구 |
900 | 1 0 | ▼a Baek, Kyeong-sun, ▼e 연구 |
900 | 1 0 | ▼a Bae, Hwa-soon, ▼e 연구 |
900 | 1 0 | ▼a Lee, Gyeong-nam, ▼e 연구 |
900 | 1 0 | ▼a Kim, Sun-hee, ▼e 연구 |
900 | 1 0 | ▼a Kim, Hee-kyong, ▼e 연구 |
900 | 1 0 | ▼a Lee, Young-a, ▼e 연구 |
900 | 1 0 | ▼a Oh, Soo-jung, ▼e 연구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C2019-7 | Accession No. 1118293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ㅣ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ㅣ3 2. 연구 내용ㅣ9 3. 연구 추진 방법ㅣ12 Ⅱ. 이론적 탐색 및 본 연구의 범위ㅣ21 1. 교육과정 설계 이론ㅣ23 2. 교육 자치에 따른 국가 교육과정의 설계 범위ㅣ26 3.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국가 수준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의 주요 이슈ㅣ35 Ⅲ.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기본 교육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ㅣ41 1. 기본 교육을 반영한 국내‧외의 교육과정 설계 분석ㅣ43 2. 기본 교육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요구 분석ㅣ67 3. 기본 교육을 반영한 국가 수준의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ㅣ86 Ⅳ.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 개선 방안ㅣ127 1. 핵심역량을 반영한 국내‧외의 교육과정 설계 분석ㅣ129 2. 핵심역량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개선 요구 분석ㅣ153 3. 핵심역량을 반영한 국가 수준의 초‧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개선 방안ㅣ193 Ⅴ.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성취기준 설계 및 교육과정 재구성 개선 방안ㅣ205 1. 성취기준 설계 및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국내‧외의 사례 분석ㅣ207 2. 성취기준 설계 및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개선 요구 분석ㅣ226 3. 국가 수준의 초‧중학교 성취기준 설계 및 교육과정 재구성 개선 방안ㅣ272 Ⅵ. 요약 및 제언ㅣ309 1. 요약ㅣ311 2. 정책 제언ㅣ315 * 참고문헌ㅣ362 * ABSTRACTㅣ384 * 부록ㅣ387 부록 1. 설문 조사 문항ㅣ389 부록 2. 설문 조사 결과ㅣ404 부록 3. 델파이 조사②의 결과ㅣ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