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수업-평가 연계 강화를 통한 서·논술형 평가 내실화 방안

수업-평가 연계 강화를 통한 서·논술형 평가 내실화 방안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혜영, 책임연구 김성숙, 연구 김경희, 연구 이명진, 연구 김광규, 연구 김지영, 연구
Title Statement
수업-평가 연계 강화를 통한 서·논술형 평가 내실화 방안 / 박혜영 연구책임 ; 김성숙 [외]공동연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진천군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Physical Medium
xiv, 383 p. : 삽화 ; 26 cm
Series Statement
연구보고 ;RRE 2019-6
ISBN
9791157889136
General Note
공동연구: 김경희, 이명진, 김광규, 김지영  
부록: 1. FGI 설문지, 2. 수업-평가 연계를 위한 서 논술형 평가 절차와 관련 지침, 3. 피드백 기록지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21-333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1229
005 20200611104558
007 ta
008 200609s2019 hbka b 000c kor
020 ▼a 9791157889136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5.006 ▼2 23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E2019-6
245 0 0 ▼a 수업-평가 연계 강화를 통한 서·논술형 평가 내실화 방안 / ▼d 박혜영 연구책임 ; ▼e 김성숙 [외]공동연구
246 1 1 ▼a Substantializing methods of restricted and extended response essay assessment through enforcing the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260 ▼a 진천군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9
300 ▼a xiv, 383 p. : ▼b 삽화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E 2019-6
500 ▼a 공동연구: 김경희, 이명진, 김광규, 김지영
500 ▼a 부록: 1. FGI 설문지, 2. 수업-평가 연계를 위한 서 논술형 평가 절차와 관련 지침, 3. 피드백 기록지 외
504 ▼a 참고문헌: p. 321-333
700 1 ▼a 박혜영, ▼e 책임연구
700 1 ▼a 김성숙, ▼e 연구
700 1 ▼a 김경희, ▼e 연구
700 1 ▼a 이명진, ▼e 연구
700 1 ▼a 김광규, ▼e 연구
700 1 ▼a 김지영, ▼e 연구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E 2019-6
900 1 0 ▼a Park, Hye-young, ▼e 책임연구
900 1 0 ▼a Kim, Sung-sook, ▼e 연구
900 1 0 ▼a Kim, Kyung-hee, ▼e 연구
900 1 0 ▼a Lee, Myung-Jin, ▼e 연구
900 1 0 ▼a Kim, Kwang-kyu, ▼e 연구
900 1 0 ▼a Kim, Ji-young, ▼e 연구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6 1998a RRE2019-6 Accession No. 1118293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ㅣ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ㅣ3
2. 연구 내용ㅣ9
3. 연구 방법ㅣ12


Ⅱ. 서·논술형 평가 재조명ㅣ15
1. 교육과정 문서 및 학생평가 정책에서 서·논술형 평가의 의미ㅣ17
2. 서·논술형 평가 개념화ㅣ27
3. 서·논술형 평가에서 수업-평가 연계 강화의 의미ㅣ43

Ⅲ. 서·논술형 평가 현황 및 요구 분석ㅣ65
1. 시·도 교육청 및 단위학교의 서·논술형 평가 현황 조사ㅣ67
2. 단위학교의 서·논술형 평가 실태 및 요구 분석ㅣ76
3. 단위학교 서·논술형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요구ㅣ91

Ⅳ. 수업­평가의 연계를 강화한 서·논술형 평가 설계 및 적용ㅣ95
1. 서·논술형 평가 절차와 지침ㅣ97
2. 수업-평가 연계 강화를 위한 서·논술형 평가 설계ㅣ112
3. 교과별 서·논술형 평가 적용 예시ㅣ119
4. 서·논술형 평가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ㅣ180

Ⅴ. 단위학교 서·논술형 평가 내실화 방안ㅣ185
1. 서·논술형 평가의 내실화 안착을 위한 수업-평가 연계 강화 방안ㅣ188
2. 서·논술형 평가 시행의 공정성 및 효율성 확보 방안ㅣ228
3. 채점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 채점의 신뢰도 제고 방안ㅣ237

Ⅵ. 결론ㅣ259
1. 연구 요약ㅣ261
2. 정책 제언ㅣ269

* 참고문헌ㅣ321
* ABSTRACTㅣ335
* 부록ㅣ343
  1. FGI 설문지ㅣ345
  2. 수업-평가 연계를 위한 서‧논술형 평가 절차와 관련 지침ㅣ356
  3. 피드백 기록지ㅣ365
  4. 서·논술형 평가 채점 지원 프로그램 사용자 매뉴얼ㅣ36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