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1227 | |
005 | 20200611095520 | |
007 | ta | |
008 | 200609s2019 hbkd b 000c kor | |
020 | ▼a 9791157889570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3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E2019-12 | |
245 | 0 0 | ▼a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평가 방안 탐색 / ▼d 진경애 연구책임 ; ▼e 손민정 [외]공동연구 |
246 | 1 1 | ▼a Exploring student assessment strategies in light of high school reform policies |
260 | ▼a 진천군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9 | |
300 | ▼a xix, 255 p. : ▼b 도표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E 2019-12 |
500 | ▼a 공동연구: 시기자, 신호재, 서보억, 권경필, 전경희, 김태호 | |
500 | ▼a 부록: 1. 교사용 설문지, 2. 장학사용 설문지, 3. 대학입학사정관용 설문지 | |
504 | ▼a 참고문헌: p. 211-215 | |
700 | 1 | ▼a 진경애, ▼e 책임연구 |
700 | 1 | ▼a 손민정, ▼e 연구 |
700 | 1 | ▼a 시기자, ▼e 연구 |
700 | 1 | ▼a 신호재, ▼e 연구 |
700 | 1 | ▼a 서보억, ▼e 연구 |
700 | 1 | ▼a 권경필, ▼e 연구 |
700 | 1 | ▼a 전경희, ▼e 연구 |
700 | 1 | ▼a 김태호, ▼e 연구 |
830 | 0 |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E 2019-12 |
900 | 1 0 | ▼a Jin, Kyung-ae, ▼e 책임연구 |
900 | 1 0 | ▼a Son, Min-jung, ▼e 연구 |
900 | 1 0 | ▼a Si, Ki-ja, ▼e 연구 |
900 | 1 0 | ▼a Shin, Ho-jae, ▼e 연구 |
900 | 1 0 | ▼a Suh, Bo-euk, ▼e 연구 |
900 | 1 0 | ▼a Kwon, Gyeong-pil, ▼e 연구 |
900 | 1 0 | ▼a Kyong, Hee-chon, ▼e 연구 |
900 | 1 0 | ▼a Kim, Tae-ho, ▼e 연구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006 1998a RRE2019-12 | Accession No. 11182932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ㅣ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ㅣ3 2. 연구 내용ㅣ6 3. 연구 추진 방법ㅣ7 Ⅱ. 학생평가의 최근 동향 탐색ㅣ11 1.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평가의 방향ㅣ13 2. 해외 학생평가 동향ㅣ14 Ⅲ.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평가의 쟁점ㅣ25 1. 성취평가제ㅣ27 2. 교사별 평가ㅣ33 3. 과정 중심 평가ㅣ38 Ⅳ.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평가 실태 분석ㅣ49 1. 설문 조사 개요ㅣ51 2. 학생평가 실태ㅣ60 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평가 방안ㅣ112 4.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대입 전형 변화 예측ㅣ130 Ⅴ.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평가 방안ㅣ145 1. 성취평가제 운영 질 제고를 위한 지원ㅣ147 2. 과정 중심 평가 개념 탐색 및 운영 방안ㅣ157 3. 교사별 평가 개념 탐색 및 운영 방안ㅣ163 Ⅵ. 결론 및 정책 제언ㅣ175 1. 결론ㅣ177 2. 정책 제언ㅣ180 * 참고문헌ㅣ211 * ABSTRACTㅣ216 * 부 록ㅣ219 [부록 1] 교사용 설문지ㅣ221 [부록 2] 장학사용 설문지ㅣ238 [부록 3] 대학입학사정관용 설문지ㅣ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