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31217 | |
005 | 20200610151845 | |
007 | ta | |
008 | 200609s2019 hbka b 000c kor | |
020 | ▼a 9791157889051 ▼g 9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75.006 ▼2 23 |
085 | ▼a 375.006 ▼2 DDCK | |
090 | ▼a 375.006 ▼b 1998a ▼c RRI2019-4 | |
245 | 0 0 | ▼a 지능정보사회 교사 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n 2, ▼p 프로그램 현장 적용 / ▼d 홍선주 연구책임 ; ▼e 안지연 [외]공동연구 |
246 | 1 1 | ▼a The development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 competence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n 2, ▼p Focusing on the applicaton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
246 | 3 1 | ▼a Development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 competence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260 | ▼a 진천군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9 | |
300 | ▼a xvii, 251 p. : ▼b 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I 2019-4 |
500 | ▼a 공동연구: 이정찬, 최정순, 홍미영, 안태연, 박연정 | |
504 | ▼a 참고문헌: p. 237-246 | |
700 | 1 | ▼a 홍선주, ▼e 책임연구 |
700 | 1 | ▼a 안지연, ▼e 연구 |
700 | 1 | ▼a 이정찬, ▼e 연구 |
700 | 1 | ▼a 최정순, ▼e 연구 |
700 | 1 | ▼a 홍미영, ▼e 연구 |
700 | 1 | ▼a 안태연, ▼e 연구 |
700 | 1 | ▼a 박연정, ▼e 연구 |
830 | 0 |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I 2019-4 |
900 | 1 0 | ▼a Hong, Sun-joo, ▼e 책임연구 |
900 | 1 0 | ▼a Ahn, Ji-youn, ▼e 연구 |
900 | 1 0 | ▼a Lee, Jung-chan, ▼e 연구 |
900 | 1 0 | ▼a Choi, Jung-soon, ▼e 연구 |
900 | 1 0 | ▼a Hong, Mi-young, ▼e 연구 |
900 | 1 0 | ▼a Ahn, Tae-yeon, ▼e 연구 |
900 | 1 0 | ▼a Park, Yeon-jung, ▼e 연구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006 1998a RRI2019-4 | 등록번호 1118293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ㅣ1 Ⅱ. 2차년도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을 위한 관련 이론과 사례 탐색ㅣ7 1. 데이터로서의 학습자 변인ㅣ9 2. 맞춤형 학습 설계 지원 시스템ㅣ15 Ⅲ. 1차년도 예비 시행 결과 분석ㅣ33 1. 1차년도 예비 시행 개요ㅣ35 2. 1차년도 예비 시행 분석 결과ㅣ38 3. 1차년도 예비 시행 결과에 따른 연수 프로그램(안) 수정 및 보완ㅣ47 Ⅳ. 2차년도 연수 프로그램 설계ㅣ49 1. 방법 및 절차ㅣ51 2. 2차년도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방향ㅣ53 3. 강의 모듈 설계ㅣ60 4. 실습 모듈 설계: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습 설계·실행 실습 시스템ㅣ61 Ⅴ. 2차년도 연수 프로그램 개발ㅣ69 1. 방법 및 절차ㅣ71 2. 강의 개발ㅣ72 3.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습 설계‧실행 실습 시스템 개발ㅣ74 Ⅵ. 2차년도 연수 프로그램 실행ㅣ111 1. 방법 및 절차ㅣ113 2. 지능정보사회 교사 역량 강화 워크숍: 예비 교사ㅣ116 3. 지능정보사회 교사 역량 강화 워크숍: 초임 교사ㅣ154 4. 지능정보사회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 평가회ㅣ156 Ⅶ. 2차년도 연수 프로그램 실행 결과 분석 및 논의ㅣ159 1. 방법 및 절차ㅣ161 2. 자료 분석 방법ㅣ163 3. 설문 결과ㅣ166 4. 실습 시스템의 효과성ㅣ168 5. 연수의 적용 가능성ㅣ185 6. 논의ㅣ193 Ⅷ. 요약 및 정책 제언ㅣ205 1. 요약ㅣ207 2. 정책 제언ㅣ218 * 참고문헌ㅣ237 * ABSTRACTㅣ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