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페스트 제국의 탄생 : 제3차 페스트 팬데믹과 동아시아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규환
Title Statement
페스트 제국의 탄생 : 제3차 페스트 팬데믹과 동아시아 / 신규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역사공간,   2020  
Physical Medium
336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메디토리문고 ;02
ISBN
979115707403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9-32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1084
005 20200605144844
007 ta
008 200605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91157074037 ▼g 93910
035 ▼a (KERIS)BIB000015596381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82 0 4 ▼a 610.95 ▼a 614.5732 ▼2 23
085 ▼a 610.95 ▼2 DDCK
090 ▼a 610.95 ▼b 2020
100 1 ▼a 신규환
245 1 0 ▼a 페스트 제국의 탄생 : ▼b 제3차 페스트 팬데믹과 동아시아 / ▼d 신규환 지음
260 ▼a 서울 : ▼b 역사공간, ▼c 2020
300 ▼a 336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메디토리문고 ; ▼v 02
504 ▼a 참고문헌(p. 309-329)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95 2020 Accession No. 1118292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95 2020 Accession No. 1212555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0.95 2020 Accession No. 1118292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0.95 2020 Accession No. 1212555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메디토리문고 시리즈 2권. 19-20세기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제3차 페스트 팬데믹(세계적인 유행)을 계기로 서구열강과 동아시아 각국이 의학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해 의과학 지식을 어떻게 구축하고, 그 지식이 국가건설과 방역체계의 수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제3차 페스트 팬데믹 당시
제국주의 열강과 동아시아 각국의 의학적 헤게모니 쟁탈전


이 책은 19-20세기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제3차 페스트 팬데믹(세계적인 유행)을 계기로 서구열강과 동아시아 각국이 의학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해 의과학 지식을 어떻게 구축하고, 그 지식이 국가건설과 방역체계의 수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페스트는 지난 2000년 동안 세 차례의 팬데믹으로 등장했다. 제1차 페스트 팬데믹은 6세기에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이라고 불리던 것으로 비잔틴 제국을 휩쓸었던 질병이었고, 제2차 페스트 팬데믹은 14세기 중반 이래 300년 동안 유럽을 강타하여 유럽 인구의 3분의 1을 몰살시켰다. 이 때의 페스트에 대한 트라우마는 현대 서양인들의 정신세계에 뿌리 깊이 각인되어 전염병(plague)이라고 하면 페스트(pest)와 동일시할 정도가 되었다. 제3차 페스트 팬데믹은 19세기 중반 남중국에서 등장했고, 20세기 초 북만주에서 유행했는데, 20세기 전후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페스트는 북미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제3차 페스트 팬데믹과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페스트의 실체에 대해서는 해외뿐만 아니라 한국 독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9-20세기 동안 페스트의 주요활동 무대는 동아시아였다. 중국 윈난(雲南)지역에서 시작된 페스트는 홍콩을 거쳐 대만, 일본, 만주, 러시아 등지에서 크게 유행했고, 태평양 건너 미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1894년 6월 홍콩에서 선페스트균이 처음 발견 및 분리되면서 그 실체가 확인되었지만, 페스트로 인한 사망자는 홍콩과 광둥(廣東)에서만 수만 명에 이를 정도로 2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여전히 예방과 치료가 불가능한 질병이었다. 더욱이 1910-1911년과 1920-1921년 두 차례에 걸친 만주 페스트는 폐페스트라는 새로운 형태의 페스트로 등장하여 최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페스트 방역대책의 수립과정에서 동아시아 각국은 근대국가 건설에 나섰으며, 서구 열강은 페스트 의학지식의 정립을 통해 제국의학의 권위와 의학적 헤게모니를 강화하고자 했다. 당시는 페스트에 관한 의과학 지식의 정립 여부가 제국이냐 식민지냐를 결정하는 단적인 지표로 작용할 수 있던 시기였다. 말하자면 당시 서구열강과 동아시아 각국은 페스트에 맞서 세균학에 기초한 제국의학을 건립하기 위한 열망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은 서구열강과 동아시아 각국이 제국의학의 건립을 위해 혹은 제국의 팽창과 주권의 유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경주했는지, 19-20세기 최신의 의과학을 바탕으로 방역행정이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되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신규환(지은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부교수 및 여성의학사연구소장, 의료역사연구회장이다. 저서로 『질병의 사회사』(2006), 『북경똥장수』(2014), 『세브란스,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2019), 『페스트 제국의 탄생』(2020), 『북경의 붉은 의사들』(2020)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5
일러두기 15

프롤로그 / 18

1부. 홍콩 페스트와 동아시아

1장 1894년 홍콩 페스트의 유행과 세균설 32
홍콩 페스트의 유행과 식민당국의 대응 36
정부공립의원의 설립과 발전 51

2장 홍콩 페스트와 동화의원 66
동화의원의 설립과 발전 70
동화의원의 공간구성과 서양의학 79

3장 전통적 질병관의 변화와 중국사회의 대응 92
중의학의 질병관과 운기설의 진화 97
광둥 페스트의 유행과 『서역휘편(鼠疫彙編)』 105
만주 폐페스트의 유행과 중서의학의 대응 115

4장 1890년대 대만과 일본의 페스트 유행 124
1896년과 1897년 대만의 페스트 유행과 방역 129
1899년 일본의 페스트 유행과 대응 144

2부. 만주 페스트와 제국의학

5장 제1차 만주 폐페스트의 유행과 제국주의의 각축 168
제국주의 각국의 페스트 인식과 방역대책 174
중국의 페스트 논쟁과 방역법규의 제정 189

6장 페스트의 유행과 식민지 조선의 대응 216
페스트의 확산과 북만주의 방역시스템 219
식민지 조선의 페스트 방역 226

7장 제2차 만주 폐페스트의 유행과 방역대책의 전환 234
하얼빈 정국의 변화와 공간재편 242
방역법규의 제정과 방역정책의 전환 248
우롄더의 방역보고 261

8장 1920년대 폐페스트의 유행과 일제의 방역행정 270
제1차 만주 폐페스트의 유행과 쥐잡기운동 273
방역법령의 정비와 1919-1920년 콜레라방역의 성과 283
제2차 만주 폐페스트의 유행과 폐페스트 인식의 변화 289

에필로그 / 302

참고문헌 / 309
찾아보기 / 33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히든그레이스. 데이터분석팀 (2022)
이충열 (2023)
강연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