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미령
서명 / 저자사항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 이미령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샘터,   2017  
형태사항
292 p. ; 21 cm
기타표제
이미령의 위로하는 문학
ISBN
9788946420687
일반주기
부록: 인용한 책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0929
005 20200603164506
007 ta
008 200603s2017 ulk 000c kor
020 ▼a 9788946420687 ▼g 03800
035 ▼a (KERIS)BIB000014614676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028.1 ▼2 23
085 ▼a 028.1 ▼2 DDCK
090 ▼a 028.1 ▼b 2017z25
100 1 ▼a 이미령
245 1 0 ▼a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 ▼d 이미령 지음
246 0 3 ▼a 이미령의 위로하는 문학
260 ▼a 서울 : ▼b 샘터, ▼c 2017
300 ▼a 292 p. ; ▼c 21 cm
500 ▼a 부록: 인용한 책6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28.1 2017z25 등록번호 1513503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불교계에서 다독가이자 애독가로 알려진 북칼럼니스트 이미령이 작품 속 인물을 중심으로 그들이 우리에게 건네는 위로에 대해 풀어낸 독서 에세이. '우리는 왜 문학을 읽는가?'라는 물음에 저자는 '위로'라는 화두를 붙들고 문학 속 인물을 좇는다.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작품 속에서 인간의 고통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으며, 그들이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사유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문학작품 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삶의 고통과 대면하며 치열하게 살아간다. 그들의 웃고 우는 모습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고 사유하는 힘에 대해 말한다.

북칼럼니스트 이미령의 인간적인 책 읽기
불교계에서 다독가이자 애독가로 알려진 북칼럼니스트 이미령이 작품 속 인물을 중심으로 그들이 우리에게 건네는 위로에 대해 풀어낸 독서 에세이. ‘우리는 왜 문학을 읽는가?’라는 물음에 저자는 ‘위로’라는 화두를 붙들고 문학 속 인물을 좇는다.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작품 속에서 인간의 고통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으며, 그들이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사유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문학작품 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삶의 고통과 대면하며 치열하게 살아간다. 그들의 웃고 우는 모습 속에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고 사유하는 힘에 대해 말한다.

존재하지 않는 타인에게 위로받는 시간
불교학을 전공하고 글과 강의로 불교 세계를 알리는 일을 하는 저자는 ‘삶이 고통’이라는 불교적 사유를 바탕으로 문학작품 속 인물들이 맞닥뜨린 삶의 고통을 하나하나 불러낸다. 저자가 불러낸 문학 속 인물의 자화상은 우리가 잊거나 외면한 인간 본연의 고통과 맞닿아 있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자신만의 가치를 지키려 고군분투하는 인간의 모습, 무소불위의 권력 앞에서 나약해질 수밖에 없는 범부의 속성, 허술하기 짝이 없는 현대의 익명성에 묻힌 자존감을 지키려는 노력 등 문학이 그려낸 삶의 다양한 모순은 우리의 현실과 너무도 닮아 있다.

저자는 “책 속 세상에는 영웅도 악한도 모두가 저마다 자기 사연을 늘어놓습니다. 거인처럼 여겨졌던 이들에게도 탄식이 쏟아지고, 위선으로 똘똘 뭉친 악인에게도 수줍음이 있으며, 세상에서 가장 선량한 자에게도 교활한 눈빛이 숨어 있고, 명석한 철인에게도 생명에 대한 무지가 서려 있음을 알게 됩니다”라고 말한다. 책 속 세상이 하나같이 ‘작고 여린 존재’의 울림과도 같단다. 비록 작품 속 인물이지만 그들이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치열하게 살아내는 삶과 마주하는 것은 그 자체로 우리들에게 위로가 된다. 이 책은 “각박한 일상을 살아가느라 딱딱하게 굳은 감성을 어루만지고 엄숙한 철학을 논하느라 지쳐버린 이성을 부드럽게 녹여내는” 문학 읽기의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미령(지은이)

동국대학교에서 불교를 전공했다. 여고 시절부터 ‘나는 누구인가’를 고민했으며, 고(故) 고익진 교수의 법회에 참여한 인연으로 지금까지 경전을 읽는 행복한 삶을 살아오고 있다. 동국역경원에서 숱한 경전들을 번역?윤문하는 일을 하면서 경전이 얼마나 재미있고 깊이 있는 텍스트인지를 절감했으며, 이런 경전 읽기의 즐거움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자 경전 관련 강의와 칼럼 집필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2007년 행원문화재단 행원문화상(역경 분야)을 수상했다. 현재 다양한 불교 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불교 교양대학에서 강사로 활동 중이며, 불교서적읽기 모임인 ‘붓다와 떠나는 책 여행’을 비롯한 책읽기 모임과 경전 읽기 모임을 이끌고 있다. 저서로는 붓다의 지혜를 일상의 이야기와 함께 엮은 『그리운 아버지의 술 냄새』, 관세음보살보문품을 풀어서 쓴 『고맙습니다 관세음보살』, 경전 수행에 관한 입문서 『간경 수행 입문』, 책 이야기를 담은 책 『이미령의 명작산책』,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사랑의 마음을 들여다보다』 등이 있고, 공저로는 『붓다에게는 어머니가 있었다』, 『붓다의 길을 걷는 여성』, 『절에 가는 날』 등이 있다. 번역서로는 『직지』, 『대당서역기』, 『붓다의 삶이 내게 가르쳐 준 것들』, 『행복의 발견-에세이로 읽는 반야심경』, 『기적의 관음경』, 『경전의 성립과 전개』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프롤로그 _작고 여린 것들을 위한 책 읽기 / 세상에서 한 걸음 비켜선 시인의 눈물 /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 간격, 인내, 책임, 세속을 살아가는 세 가지 힌트 / 손해만 계산할 줄 알았던 인생을 향한 슬픈 연주 / 누구와 싸우는지 모르는 우리 모두는 미생의 범부 / 쉽게 열광하고 쉬이 잊어버리는 세상을 향한 처절한 용서 / 어둠 속에서 마음으로 가는 길을 찾다 / 익명의 낙원 잃고 휘청거린 하루의 기록 / 도긴개긴 인생, 반짝이는 구두가 자존심 세워줄까 / 갑작스레 닥친 재난에 대처하는 자세 / 무지가 낳은 죄, 알고 지은 죄보다 가벼울까 / 아는 것과 본 것, 삶을 뒤바꿀 엄청난 괴리 / ‘착함’을 강요하는 세상에서 ‘저항’하는 도둑으로 살아남기 / 자연을 파괴하는 오만한 현실에 사랑의 자리는 없다 / 소통이 불가능한 세상을 향한 어느 필경사의 외침 / 사랑이란 변할 순 있지만 늙진 않는 것 / 빚과 소비의 굴레에 묶인 사람들의 처절한 몸부림 / 폭력으로 무장한 권력은 두려움을 먹고 자란다 / 흥청거리던 불빛은 영원한 사랑의 신호였다 / 고독한 양치기 사내가 빚어낸 푸른 생명 / 진저리 치고 소름 돋는 시대지만 누군가는 기록해야 했다 / 탄광촌 소년의 잔인했던 어느 하루 / 쪼그라든 세상에서 만난 운명의 지배자 / 범죄를 저지르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집요한 추적 / 출가자의 걸음에 담긴 맨발의 서정 / 돈보다 중요한 사람대접의 가치 / 믿을 수 없는 현실과 믿고 싶은 이야기 / 모순과 편견으로 가득한 세상, 무고한 앵무새를 죽이다 / 뱀장어와 잔등불에 담긴 증오와 연민 / 불행이 넘쳐나는 시대에 ‘행운아’가 되는 법 / 불확실한 희망에 대처하는 인간의 자세 / 에이즈보다 무서운 것, 근거 없는 편견과 두려움 / 눈보라 속 살아남은 생명은 우리가 잃어버린 희망이었다 / 가장 낮은 소리로 재구성한 역사의 현장 / 에필로그 _작고 낡은 가죽가방에서 꺼낸 문학 이야기 / 부록 _인용한 책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