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상담사를 위한 신경과학 입문

상담사를 위한 신경과학 입문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cHenry, Bill, 1971- Sikorski, Angela M., 저 McHenry, Jim, 1937-, 저 김창대, 역 남지은, 역
서명 / 저자사항
상담사를 위한 신경과학 입문 / Bill McHenry, Angela M. Sikorski, Jim McHenry 공저 ; 김창대, 남지은 공역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0   (2021 2쇄)  
형태사항
205 p. : 삽화 ; 24 cm
원표제
A counselor's introduction to neuroscience
ISBN
9788999721045
서지주기
참고문헌(p. 181-197)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Neuropsychology Neurobiology Counsel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0862
005 20230103132914
007 ta
008 200602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88999721045 ▼g 93180
035 ▼a (KERIS)BIB000015596508
040 ▼a 244006 ▼c 24400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2.8 ▼2 23
085 ▼a 612.8 ▼2 DDCK
090 ▼a 612.8 ▼b 2020
100 1 ▼a McHenry, Bill, ▼d 1971-
245 1 0 ▼a 상담사를 위한 신경과학 입문 / ▼d Bill McHenry, ▼e Angela M. Sikorski, ▼e Jim McHenry 공저 ; ▼e 김창대, ▼e 남지은 공역
246 1 9 ▼a A counselor's introduction to neuroscience
246 3 9 ▼a Counselor's introduction to neuroscience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20 ▼g (2021 2쇄)
300 ▼a 205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181-197)과 색인수록
650 0 ▼a Neuropsychology
650 0 ▼a Neurobiology
650 0 ▼a Counseling
700 1 ▼a Sikorski, Angela M., ▼e
700 1 ▼a McHenry, Jim, ▼d 1937-, ▼e
700 1 ▼a 김창대, ▼e
700 1 ▼a 남지은,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 2020 등록번호 11182912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0-09-17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 2020 등록번호 111873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Bill McHenry(지은이)

텍사스 A&M 대학교(텍사캐나 캠퍼스)의 상담 및 심리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지난 10여 년간 전문상담사 교육에 전념했으며, 학교, 대학, 기관, 정신건강센터, 재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면에서 전문상담사로 근무했다.

Jim McHenry(지은이)

32년간 펜실베이니아주 에든버러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다가 현재는 완전히 은퇴하지는 않은 채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그는 학교에서 강의뿐 아니라 재활상담 프로그램의 운영자, 대학 내 장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책임자 그리고 장애학생들의 상담사로 봉사했다.

Angela Sikorski(지은이)

텍사스 A&M 대학교(텍사캐나 캠퍼스) 심리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경험에 의한 뇌 가소성과 학습 및 기억의 신경생물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위스콘신 대학교(밀워키 캠퍼스)에서 실험심리학 학위를 받은 후, 텍사스 대학교 생물학과에서 박사 후 과정을 완수했다.

김창대(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컬럼비아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 청소년상담원과 계명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9년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상담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 연구는 대인관계 및 성격문제, 집단상담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최근에는 애착 및 대인관계에서 내에서 겪는 거절경험의 심리사회적 영향력과 그 결과로 파생되는 정서적 문제의 조절과정 및 정서조절과정의 신경생물학적 기제에 대한 연구로 관심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저서로는 『카운슬링의 원리』,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특수아동상담』 등이 있고, 역서로는 『대상관계이론과 실제: 자기와 타자』, 『집단상담』 , 『인지부조화 이론』 등이 있다.

남지은(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박사, 미국 Wellesley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전문상담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일러두기: 신경학적 상담 용어 지침

제1장 신경생물학과 상담 분야의 밀접한 관계성
서론
첫 번째 세력: 정신분석
두 번째 세력: 행동주의
세 번째 세력: 인본주의
네 번째 세력: 다문화주의
다섯 번째 세력: 신경학적 상담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신경학적 상담
신경학적 상담의 추가적 특징: 아직은 절정이 아니다
복습을 위한 질문

제2장 뇌와 중추 신경계에 대한 개관
뇌 이해하기
신경계: 거시적 접근
뇌
반구 간 소통
엽
신경해부학
복습을 위한 질문

제3장 뇌의 발달과 가소성
뇌의 발달
출생부터 청소년기까지
가소성이란 무엇인가
뇌 가소성의 역사
결론
복습을 위한 질문

제4장 다양한 상담 접근법이 뇌에 미치는 차별화된 영향
신경가소성
일반적인 대인관계, 상담관계 그리고 대부분의 상담 접근에 내포된 핵심 개념
문제 고착상태/보속성
사회적 관심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EMDR)
인간중심 상담
해결중심 단기치료
애착과 삶의 단계
심상, 마음챙김 및 명상
인지행동치료
놀이/표현예술
결론
복습을 위한 질문

제5장 정신건강의 신경생물학 및 신경심리학적 측면
하향식 대 상향식 접근
신경가소성
우리는 어디쯤 도달했는가
결론
복습을 위한 질문

제6장 향정신성 약물
당신의 세계관과 약물 사용
약물 처방과 관련하여 내담자 자신의 옹호 역량 제고
약물은 누가 처방하는가
약물치료가 실제로 하는 일
향정신성 약물의 분류
약물 사용
자가치료
결론
복습을 위한 질문

제7장 뇌 기능의 평가
상담에서의 평가: 정신상태평가
신경기능 검사
자기보고식 척도와 뇌 기능 체크리스트
뇌 스캔
당신의 현재 가지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라
결론
복습을 위한 질문

제8장 뇌의 활약: 뇌의 관점에서 본 상담실제
수의 사례
조의 사례
알리의 사례
팀의 사례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Adee, Sally (2023)
McConell, Glenn (2022)
Hansen, Anders (2022)
Talus (2023)
Siddhartha, Bikram Panday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