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옥태, 저 김경수, 저 김국현, 저 김민수, 저 김현수, 저 김혜진, 저 박균열, 저 박형빈, 저 배문규, 저 변창호, 저 손병욱, 저 신호재, 저 심성보, 저 안성규, 저 윤영돈, 저 윤용남, 저 이두연, 저 이상호, 저 이영경, 저 이인재, 저 이인태, 저 이철주, 저 장승희, 저 홍석영, 저 황종환, 저
단체저자명
한국윤리교육학회, 편
서명 / 저자사항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 강옥태 [외]공저 ; 한국윤리교육학회 편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20  
형태사항
430 p. ; 26 cm
ISBN
9788925414799
일반주기
공저자: 김경수, 김국현, 김민수, 김현수, 김혜진, 박균열, 박형빈, 배문규, 변창호, 손병욱, 신호재, 심성보, 안성규, 윤영돈, 윤용남, 이두연, 이상호, 이영경, 이인재, 이인태, 이철주, 장승희, 홍석영, 황종환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30859
005 20200602130757
007 ta
008 200602s2020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14799 ▼g 93370
035 ▼a (KERIS)BIB000015596623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0.114 ▼2 23
085 ▼a 370.114 ▼2 DDCK
090 ▼a 370.114 ▼b 2020
245 0 0 ▼a 유덕한 시민을 위한 인성교육론 : ▼b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을 지향하는 인성교육 / ▼d 강옥태 [외]공저 ; ▼e 한국윤리교육학회 편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0
300 ▼a 430 p. ; ▼c 26 cm
500 ▼a 공저자: 김경수, 김국현, 김민수, 김현수, 김혜진, 박균열, 박형빈, 배문규, 변창호, 손병욱, 신호재, 심성보, 안성규, 윤영돈, 윤용남, 이두연, 이상호, 이영경, 이인재, 이인태, 이철주, 장승희, 홍석영, 황종환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강옥태, ▼e
700 1 ▼a 김경수, ▼e
700 1 ▼a 김국현, ▼e
700 1 ▼a 김민수, ▼e
700 1 ▼a 김현수, ▼e
700 1 ▼a 김혜진, ▼e
700 1 ▼a 박균열, ▼e
700 1 ▼a 박형빈, ▼e
700 1 ▼a 배문규, ▼e
700 1 ▼a 변창호, ▼e
700 1 ▼a 손병욱, ▼e
700 1 ▼a 신호재, ▼e
700 1 ▼a 심성보, ▼e
700 1 ▼a 안성규, ▼e
700 1 ▼a 윤영돈, ▼e
700 1 ▼a 윤용남, ▼e
700 1 ▼a 이두연, ▼e
700 1 ▼a 이상호, ▼e
700 1 ▼a 이영경, ▼e
700 1 ▼a 이인재, ▼e
700 1 ▼a 이인태, ▼e
700 1 ▼a 이철주, ▼e
700 1 ▼a 장승희, ▼e
700 1 ▼a 홍석영, ▼e
700 1 ▼a 황종환, ▼e
710 ▼a 한국윤리교육학회,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14 2020 등록번호 1118291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성교육은 좋은 인간과 도덕성 함양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좋은 시민과 시민성 함양을 지향하는 민주시민교육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서양의 풍부한 문화적.윤리적 자산을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은 ‘건강한 시민성’, ‘유덕한 시민성’을 기르는 데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인성교육이란 먼저, 학습자로 하여금 ‘참다운 인생의 성공’을 위해서 갖추어야 할 조건이 무엇인지를 알도록 하는 교육이다. 다음으로, 참다운 성공의 조건을 갖추는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좋은 인성을 구비하게 되는 까닭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끝으로, 학습자가 이러한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것을 실천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다.
인성교육은 민주시민교육의 기반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럴 때에 비판적인 시민성뿐만 아니라 건강하고 유덕한 시민성까지 담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인성교육은 좋은 인간과 도덕성 함양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그것은 좋은 시민과 시민성 함양을 지향하는 민주시민교육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서양의 풍부한 문화적.윤리적 자산을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은 ‘건강한 시민성’, ‘유덕한 시민성’을 기르는 데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영경(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며, 한국윤리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율곡의 윤리사상』, 『다산의 윤리학』, 『인성교육의 철학적 성찰』(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율곡의 교사론」, 「퇴계 수양론의 윤리교육적 의미」 등이 있다.

손병욱(지은이)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박사 한국윤리교육학회(KEEA) 회장 역임 사단법인 남명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 재임 중 논저 『서산, 조선을 뒤엎으려 하다』, 정보와사람, 2006.(저서) 『기학(氣學)-19세기 한 조선인의 우주론』, 통나무, 2013.(역서) 『21세기와 남명 조식』, 역락, 2018.(공저) 「일본 수험도(修驗道) 형성에 끼친 한국 고유사상의 영향」, 2019.(논문)

황종환(지은이)

고러대학교 철학과와 합동신학대학원 국민윤리교육학과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책으로 <생태윤리학> <윤리와 이념> 등이 있다.

박균열(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한국공공가치학회 회장 대한변호사협회 검사평가특별위원 미국 UCLA 한국학센터 방문학자 역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역임 육군3사관학교 윤리학과 교수 역임 국방부 대변인실 외신보도장교 역임 서부사하라 UN PKO 영어통역장교 역임 경상국립대학교 윤리교육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 박사)

홍석영(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교육학박사)

이상호(지은이)

경상대학교 문학박사 현재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주요 저서: 『동양고전의 향기』, 松雲文化, 2013. 『유교의 위기극복론』, 동인서원, 2005.

이인재(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부 연구윤리자문위원회 자문위원으로 있으며, 대학연구윤리협의회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있다.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연구윤리의 이해와 실천’, ‘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론과 초등 도덕교육적 함의’ 등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이철주(지은이)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 연구」)를 받았다. 전주교대와 대구교대 그리고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현재는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며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역서는 『철학의 과업』(공역, 인간사랑, 2010), 『도덕적 감정과 직관』(공역, 씨아이알, 2015) 등이 있다. 논문은 주로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에 관한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그 이외에 「초등도덕교육에서 도덕원칙의 적용에 관한 연구」(2016), “A Study on the Dialogue Learning of Stream of Meaning”(2015),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 탐구」(2014),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서의 불교의 적용가능성 탐구」(2014) 등이 있다.

윤영돈(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를 졸업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칸트에 있어서 도덕교육과 미적 도덕성의 문제』(지도교수: 박찬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범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도서관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다문화시대 도덕교육의 프리즘과 스펙트럼』(학술원 우수도서), 『인성건강과 인문치료』(인천대학교출판부) 등이 있다. 미학, 종교철학, 인문치료 등을 도덕교육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안성규(지은이)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경상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학과 박사과정 수료 현재 진주중학교 교사

장승희(지은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수

박형빈(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덕교육, 윤리교육, 인성교육, 신경도덕교육, 통일교육,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 AI윤리, 도덕심리, 윤리상담, 도덕교육신경과학, 도덕철학, 도덕심리학, 탈북학생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학교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 『가정생활 나라면 어떻게 할까?』, 『뇌 신경과학과 도덕교육』(2020세종우수학술도서), 『통일교육학: 그 이론과 실제』, 『도덕교육학: 그 이론과 실제』, 『인공지능윤리와 도덕교육』, 역서로는 『어린이 도덕교육의 새로운 관점(공역)』(2019세종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뉴럴링크와 인공지능 윤리」, 「사이코패스(Psychopath)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해와 치유 및 도덕 향상으로서의 초등도덕교육」,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등 다수가 있다.

김국현(지은이)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로 학교 안에서는 예비교사 시민교육역량강화 사업단장으로, 학교 밖에서는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청렴연수원 자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 심의위원으로 일한다. 2006-2015년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채점 부위원장과 교육학 논술 채점위원장으로 일했다.

심성보(지은이)

부산교대 명예교수

김혜진(지은이)

인천대학교 윤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이다.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고전과 윤리』, 『2015 개정 교육과정 범교과 학습 주제 교수학습 자료 인성교육』 개발 연구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였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등이 있다.

강옥태(지은이)

경상대학교 인재개발원 연구원

김경수(지은이)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겸임교수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경남연구원 경남학연구센터 비상임연구위원 겸 운영위원 한국국학진흥원 자문위원 의령의병박물관 자문위원 한국주역학회 학술이사 한국철학사연구회 학술이사 인제대학교 INJE 미래전략연구기획단 외부연구원 경북대학교 연구교수 역임 한국동양철학회 총무이사 역임 남명선생탄신500주년기념사업회 사무국장 역임 경상남도인재개발원 2015년도 베스트강사 제2회 도교학술상 수상 저서: &lt;북송초기의 삼교회통론&gt;, &lt;용의 등에 내려앉은 봉&gt;, &lt;덕천서원지&gt; 외 10여 권 논문: &lt;서유기&gt;에 나타난 유불도의 특징과 삼교회통론 외 40여 편

김민수(지은이)

동서울대학교 아동보육과/교양교육센터 교수

김현수(지은이)

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배문규(지은이)

창원명곡고등학교 교사

변창호(지은이)

웅상여자중학교 교사

신호재(지은이)

공주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윤용남(지은이)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이두연(지은이)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이인태(지은이)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강사

한국윤리교육학회(엮은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 2
서장: 성공하는 삶과 인성교육(손병욱) / 7

제1부 동서양 사상의 재구성을 통한 인성교육 / 25
1. 남명(南冥) 조식(曺植) 사상의 인성교육적 함의(이상호) ··············27
2. 율곡의 학교규범 정립과 인성교육론(이영경) ································41
3. 불교 인성론의 윤리교육적 함의: 대승기신론의 일심(一心)을 중심으로(장승희) ··········57
4. 충효(忠孝)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윤용남) ····································75
5. 아리스토텔레스 친애 사상의 현재적 의미 재구성과 인성교육(김민수) ·······················89
6. 칸트의 인성교육론(이두연) ··························································109
7. 키에르케고어의 인성교육(황종환) ···············································129

제2부 정의롭고 포용적인 시민적 인성교육 / 143
1. 도덕적 시민성과 정치적 시민성의 공존을 통한 시민적 인성교육의 모색(심성보) ·········································145
2. 시민적 인성교육이란 무엇인가: 민주시민교육과 인성교육의 조화 가능성 탐색(윤영돈) ·······························167
3.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시민 양성을 위한 도덕과 교육 방안: 볼테르의 ‘관용’을 중심으로(신호재) ·················183
4. 뉴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박형빈) ·······················203

제3부 도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의 방향 / 221
1.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목적(김국현) ························································223
2.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 방안(이인재) ········································239
3. 도덕과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효과성 검증 방법(박균열ㆍ이인태) ·····················265
4. 실천지향의 인성 개념 탐구(이철주) ···································································289
5.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과 도덕과 교육의 인성교육 현황 분석 및 향후 과제(김현수) ·································309

제4부 학교급별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 323
1.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중학교 자유학기 적용 사례연구(김혜진) ·····················325
2. 간화선 수행법과 인성교육적 함의(안성규) ························································347
3. 남명의 출처관을 통한 인성교육의 자아정체성 확립 방안: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의 청렴연수를 중심으로(김경수) ·········361
4. 화랑 풍월도에 나타난 청소년 인성교육 탐구(변창호) ······································377
5. 동학 윤리 사상의 인성교육 적용방법 모색: 경남교육청 인성교육 시행계획을 중심으로(배문규) ···································393
6.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강옥태ㆍ홍석영) ·······················407

찾아보기 / 422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