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음악과 수학. 제1부, 헬라스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ittler, Friedrich A., 1943-2011 박언영, 역
Title Statement
음악과 수학. 제1부, 헬라스 / 프리드리히 키틀러 ; 박언영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매미,   2019-  
Physical Medium
책 : 삽화 ; 24 cm
Varied Title
Musik und Mathematik. 1, Hellas
ISBN
9791196839512 (v.1)
General Note
부록수록  
Content Notes
1. 아프로디테, Aphrodite (581 p.)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Music --Mathematics Music --History and criticism Music --Philosophy and aesthetic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28535
005 20200520102413
007 ta
008 200519m20199999ulka 000c kor
020 ▼a 9791196839512 (v.1) ▼g 93900
035 ▼a (KERIS)BIB000015469643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781.2 ▼2 23
085 ▼a 781.2 ▼2 DDCK
090 ▼a 781.2 ▼b 2019 ▼c 1
100 1 ▼a Kittler, Friedrich A., ▼d 1943-2011
245 1 0 ▼a 음악과 수학. ▼n 제1부, ▼p 헬라스 / ▼d 프리드리히 키틀러 ; ▼e 박언영 옮김
246 1 9 ▼a Musik und Mathematik. ▼n 1, ▼p Hellas
260 ▼a 서울 : ▼b 매미, ▼c 2019-
300 ▼a 책 : ▼b 삽화 ; ▼c 24 cm
500 ▼a 부록수록
505 1 0 ▼n 1. ▼t 아프로디테, Aphrodite ▼g (581 p.)
650 0 ▼a Music ▼x Mathematics
650 0 ▼a Music ▼x History and criticism
650 0 ▼a Music ▼x Philosophy and aesthetics
700 1 ▼a 박언영, ▼e
740 2 ▼a Aphrodite
900 1 0 ▼a 키틀러, 프리드리히,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1.2 2019 1.1 Accession No. 1118285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근대화라는 이름 아래 급격하게 우리에게 들이닥쳤으며 세계화라는 이름과 함께 더욱더 곳곳에 스며든, 서구의 문화와 학문이란 무엇이며 또 그 시초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독일의 매체학자 프리드리히 키틀러는 후기작 <음악과 수학 : 제1부 헬라스 제1권 아프로디테>에서 유럽의 시원으로서의 고대 그리스를 생생하고도 새롭게 우리에게 펼쳐 보여준다.

그는 호메로스의 음악과 피타고라스학파의 수학에서 시작함으로써, 아테네의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로 시작하는 정규 철학사와 인문학이 사유하기를 포기하는 수학을 근본적인 학문으로 내세울 뿐 아니라 시에서조차 사라져 버린 음악을 다시 문화와 예술의 근원으로 끌어올린다. 그리고 음악과 수학이 시작되는 그 순간에 언제나 함께 했던 여자와 남자라는 이중 원천에 주의를 기울이며, 이 둘 사이에 사랑을 일으키는 여신 아프로디테에게 유럽의 시원에 대한 사유를 담은 자신의 첫 책을 바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프리드리히 키틀러(지은이)

1943년 독일 작센주 로흘리츠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동독에서 보냈다. 전후 교직에서 물러나야 했던 그의 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 키틀러는 자신의 아들을 열정적으로 가르쳤고, 프리드리히 키틀러는 “책처럼 말하는” 아버지를 기꺼이 흡수하여 일곱 살 때 이미 괴테의 파우스트를 암송할 정도였다. 자유로운 삶과 교육이 점점 더 어려워지자 키틀러 가족은 1958년 동독을 탈출하여 베를린을 거쳐 서독으로 이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정착하였다. 프리드리히 키틀러는 프랑스 국경 지방인 라르에서 김나지움을 다녔으며, 1963년부터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독일어문학, 로망스어문학, 철학을 공부하였다. 그의 1976년 박사 학위 논문은 이듬해 『꿈과 말: 콘라트 페르디난트 마이어의 통신 체계 분석』으로 출판되었으며, 1982년 독일문학사 전공 대학교수 자격 취득 논문으로 제출한 『기록시스템 1800/1900』은 긴 논란 끝에 통과하여 1985년에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기록시스템의 1900년대 부분을 확대하고 보완한 『축음기·영화·타자기』가 1986년에 출간된 후 “매체가 우리의 상황을 결정한다.”라는 첫 문장은 그의 이름에 따라다니는 매체 결정론의 유명한 명제가 된다. 그 외의 주요 저서로는 『어머니, 시인, 아이』(1991), 『드라큘라의 유산: 기술적 글들』(1993), 『헤벨의 상상력: 어두운 자연』(1999), 『문화학의 문화사』(2000), 『그리스로부터』(2001), 『광학적 미디어』(2002), 『불멸자들. 추모 글, 기억, 유령과의 대화』(2004), 『음악과 수학 제1권 헬라스 제1부 아프로디테』(2006), 『음악과 수학 제1권 헬라스 제2부 에로스』(2009) 등이 있다.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버클리 대학, 스탠포드 대학, 샌타바버라 대학의 방문 교수 자격으로 미국에 머물렀으며, 1987년부터 93년까지 독일 보훔 대학에서 현대독일문학 교수로 부임하였다. 1993년부터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 매체 미학 및 매체 역사의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들과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가르치며 매체사적 연구를 이어나가는 한편, 그리스어와 고대 그리스 문헌을 배우고 가르치며 유럽의 학문과 문화의 시원에 대한 사유를 발전시키며 저술을 이어나갔다. 2011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유골은 베를린 도로테엔슈타트 묘역에 안치되었다. 키틀러의 미발표 및 미완의 원고와 데이터들은 마르바흐 독일 문학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다.

박언영(옮긴이)

홍익대학교 예술학과에서 미술사와 예술 이론을 공부했으며 베를린 예술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과에서 시각 디자인과 실험 영상을 공부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0 사랑에 앞서
피에르 클로소프스키… | …그리고 우리 둘

1 음악
1.1 오디세우스는 고통받으며 배웁니다
두 섬, 일곱 신부 | 네 섬, 다섯 여자 | 불멸의 암컷 매 | 《태양의 심장부로 목표점을 설정하라》 | 아, 태양 아래 섬이여 | 님프들 사이의 나우시카아 | 하녀 오십 명, 탕녀 열두 명, 여자 한 명
1.2 노래하기와 글쓰기
무사와 가인 | 가인과 문자 | 미노스 선형문자 B | 추측해야 하는 자음문자 | 그리스의 알파벳이 노래합니다 | 오디세우스는 거짓말하며 노래합니다
1.3 미메시스
《그리고 신들은 사랑을 나눴다네》 |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 | 디오니소스와 아리아드네 | 한 젊은 남신이 뮤즈들의 합창을 지휘합니다 | 헤르메스 | 아폴론 | 어떻게 한 무사가 어느 다이몬에게서 호메로스를 수태하였을까요 | 스파르타의 코라이와 코로이
1.4 가인들이 신들을 부릅니다
사포와 멜로스 | 아리스토파네스와 희극 | 소포클레스와 가슴을 찢는 그 무엇
1.5 대大그리스에서
점거 | 키르케와 칼립소의 거친 아들들 | 오디세이아의 여파 | 도시, 제식, 학문을 세웁니다 | 크로톤 | 메타폰티온 | 타라스/타란토 | 수數 알파벳

2 음악이 수학을 부릅니다
2.1 피타고라스
삶과 죽음 | 피타고라스는 피타이스로부터 세상에 태어납니다 | 사모스섬에서 살다가 | 고대 동양으로 가서 | 사모스섬으로 되돌아옵니다 | 다시 극서로 떠나고 | 크로톤을 홀리며 | 메타폰티온으로 달아나서 죽습니다
가르침과 학파 | 배우기, 노래하기, 음악 만들기 | 아쿠스마타
2.2 피타고라스학파
청자 | 아크라가스의 엠페도클레스 | 에페소스의 헤라클레이토스
수학자 | 메타폰티온의 히파소스 | 크로톤의 필롤라오스 | 메타폰티온의 에우리토스 | 타라스의 아르키타스

0 부록
고맙습니다 | 도움말 | 책, 악보, 지도, 음반

/
인명 및 문헌 목록 | 옮긴이 후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