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형법강론 = 제3판 (2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李相暾, 1961-
서명 / 저자사항
형법강론 = Criminal law / 이상돈
판사항
제3판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0  
형태사항
xviii, 999 p. ; 26 cm
기타표제
한자표제: 刑法講論
ISBN
9791130335827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25562
005 20200422114238
007 ta
008 200422s2020 ulk 001c kor
020 ▼a 9791130335827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5.519 ▼2 23
085 ▼a 345.53 ▼2 DDCK
090 ▼a 345.53 ▼b 2020z4
100 1 ▼a 이상돈, ▼g 李相暾, ▼d 1961-
245 1 0 ▼a 형법강론 = ▼x Criminal law / ▼d 이상돈
246 0 ▼i 한자표제: ▼a 刑法講論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20
300 ▼a xviii, 999 p. ; ▼c 26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 2020z4 등록번호 11182783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5-16 예약 예약가능(4명 예약중)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 2020z4 등록번호 111828276 도서상태 예약서가비치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3판을 내면서 너무 학술적인 논증이나 자세한 사례설명을 지양하고, 설명의 효율성을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그동안 쌓인 법령개정의 내용과 2020. 1.까지의 대표판례들을 반영하였다.

제3판 머 리 말

형법강론이 세상에 나온 지 5년이 되었다. 그동안 이 책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강의하면서 이 책이 교과서나 학습서로서 갖는 단점을 많이 깨달았다. 너무 학술적인 논증이나 자세한 사례설명은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 느껴졌다. 그래서 제3판을 내면서 설명의 효율성을 도모하여 그런 단점을 최대한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형법총론과 각론의 방대한 내용과 1,300개에 달하는 사례문제를 모두 담고도 1천 쪽이 못 되는 제법 슬림한 사이즈가 되었다. 공부할 것이 너무나 많은 법학도들에게 반가운 일일 듯하다. 그들의 소중한 시간과 노력을 조금이나마 아낄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당연한 점이지만 이번에 개정판을 내면서도 그동안 쌓인 법령개정의 내용과 2020. 1.까지의 대표판례들을 반영하였다.
이 책을 공부하는 법학도들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공동체를 세우는 법률가로 성장하고, 옳고, 좋으며, 아름다운 형법적 정의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자기 정신의 한 부분으로 내면화하기를 기대해본다.
끝으로 이 책의 교정에 참여해준 김문정 박사와 신효성 강사의 노고에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2020년 봄을 바라보며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연구실에서
이 상 돈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편 형법총론

제1장 형법의 기초
제2장 구성요건론
제3장 위법성
제4장 책임론
제5장 미수론
제6장 공범론
제7장 죄수론
제8장 형벌론

제2편 형법각론

제9장 생명과 신체에 관한 죄
제10장 자유에 관한 죄
제11장 명예에 관한 죄
제12장 사생활의 평온에 관한 죄
제13장 재산에 관한 죄
제14장 공공의 안전과 평온에 관한 죄
제15장 공공의 신용에 관한 죄
제16장 공중의 건강에 관한 죄
제17장 사회의 윤리에 관한 죄
제18장 국가의 존립과 권위에 관한 죄
제19장 국가의 기능에 관한 죄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