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25111 | |
005 | 20200417113311 | |
007 | ta | |
008 | 200416s2020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57336700 ▼g 93680 | |
035 | ▼a (KERIS)BIB000015546327 | |
040 | ▼a 011005 ▼c 011005 ▼d 011005 ▼d 221016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791.4301 ▼2 23 |
085 | ▼a 791.4301 ▼2 DDCK | |
090 | ▼a 791.4301 ▼b 2020 | |
100 | 1 | ▼a Aumont, J. ▼q (Jacques), ▼d 1942- |
245 | 1 0 | ▼a 영화작품 분석의 전개 : ▼b 1934~2019 / ▼d 자크 오몽, ▼e 미셸 마리 지음 ; ▼e 이윤영 옮김 |
246 | 1 9 | ▼a L'analyse des films ▼g (4e éd.) |
246 | 3 9 | ▼a Analyse des films |
260 | ▼a 파주 : ▼b 아카넷, ▼c 2020 | |
300 | ▼a 430 p. : ▼b 삽화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393-41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Motion pictures |
650 | 0 | ▼a Film criticism ▼x Philosophy |
700 | 1 | ▼a Marie, Michel, ▼d 1945-, ▼e 저 |
700 | 1 | ▼a 이윤영, ▼d 1968-, ▼e 역 |
900 | 1 0 | ▼a 오몽, 자크, ▼e 저 |
900 | 1 0 | ▼a 마리, 미셸,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20 | 등록번호 1118275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8년 출간된 후 프랑스 영화학계에서 이미 고전의 자리를 차지한 이 저작은 ‘영화작품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영화작품을 대상으로 어떻게 논문을 쓸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가장 신뢰할 만한 저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초판본은 2020년에 완전한 다시 쓰기를 거쳐 내용의 70~80%가 변형된 완전수정판(4판)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영화작품 분석의 전개(1934-2019)>는 이 4판의 번역본이다.
새로운 판본은 기존의 목차를 전면적으로 수정하면서 새로운 관점에서 이루어진 분석들을 대폭 반영했고, '러시아 방주'(알렉산드르 소쿠로프, 2002)와 같은 원테이크 영화, 미술관에서 상영되는 '리바이어던'(루시엔 캐스탱-테일러 & 베레나 파라벨, 2012)과 같은 예술가 영화 등에 대한 분석 등을 추가했다. 또한 이른바 ‘거대이론의 몰락’ 이후 등장한 발생론적 분석, 문화연구적 접근, 젠더 연구, 형상성 연구 등 새로운 분석 경향들도 명료하게 정리해서 제시했다.
또한, 4판에서는 어떤 분석들이 삭제되고 다른 분석들의 양이 줄어들면서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경향의 영화작품 분석들이 대폭 추가되었다. 그런데 추가 된 것은 단지 1988년 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분석만은 아니다. 예컨대 영화작품에 대한 구조분석의 신기원을 이룬 레이몽 벨루의 '새'(알프레드 히치콕, 1963)의 분석(1969)이나 다큐멘터리에 대한 논의가 비중 있게 첨가된 것도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중요한 영화작품 분석을 가급적 빠짐없이 제시하고자 하는 저자들의 태도를 보여준다.
1988년 출간된 후 프랑스 영화학계에서 이미 고전의 자리를 차지한 이 저작은 ‘영화작품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영화작품을 대상으로 어떻게 논문을 쓸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가장 신뢰할 만한 저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초판본은 2020년에 완전한 다시 쓰기를 거쳐 내용의 70~80%가 변형된 완전수정판(4판)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영화작품 분석의 전개(1934-2019)』는 이 4판의 번역본이다.
새로운 판본은 기존의 목차를 전면적으로 수정하면서 새로운 관점에서 이루어진 분석들을 대폭 반영했고, 〈러시아 방주〉(알렉산드르 소쿠로프, 2002)와 같은 원테이크 영화, 미술관에서 상영되는 〈리바이어던〉(루시엔 캐스탱-테일러 & 베레나 파라벨, 2012)과 같은 예술가 영화 등에 대한 분석 등을 추가했다. 또한 이른바 ‘거대이론의 몰락’ 이후 등장한 발생론적 분석, 문화연구적 접근, 젠더 연구, 형상성 연구 등 새로운 분석 경향들도 명료하게 정리해서 제시했다.
또한, 4판에서는 어떤 분석들이 삭제되고 다른 분석들의 양이 줄어들면서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경향의 영화작품 분석들이 대폭 추가되었다. 그런데 추가 된 것은 단지 1988년 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분석만은 아니다. 예컨대 영화작품에 대한 구조분석의 신기원을 이룬 레이몽 벨루의 〈새〉(알프레드 히치콕, 1963)의 분석(1969)이나 다큐멘터리에 대한 논의가 비중 있게 첨가된 것도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중요한 영화작품 분석을 가급적 빠짐없이 제시하고자 하는 저자들의 태도를 보여준다.
이렇게 추가된 내용은 주로 초판 이후 새롭게 나타나거나 다시 부각된 현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에세이 영화에 대한 논의가 그렇고, 이전의 실험영화 전통을 계승하는 ‘예술가 영화’ 항목도 주목할 만하다. 실제로 영화관이 아닌 미술관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경향은 21세기 들어와서 괄목할 만하게 확대된 것으로서 전 세계의 현대미술 비엔날레나 현대미술 전문 갤러리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저자들은 〈리바이어던〉(루시엔 캐스탱-테일러 & 베레나 파라벨, 2012)을 예로 들어 이런 ‘예술가 영화’를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를 직접 보여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자크 오몽(지은이)
프랑스 영화학자. 영화이론가. 자크 오몽은 파리 3대학(소르본 누벨) 영 화학과 교수로서 여기서 25년 이상 영화미학과 영화이론을 강의했고, 고등사회과학연구소(EHESS) 및 프랑스국립미술학교 등의 교수직도 역임했다. 에이젠슈테인(『몽타주 에이젠슈테인』, 1979)에 대한 저작을 시작으로 『멈추지 않는 눈』(1989), 『이미지』(1990), 『영화 속의 얼굴』(1992), 『영화미학』(미셸 마리 등과 공저, 1994), 『영화감독들의 영화이론』(2002), 『잉마르 베리만』(2004), 『영화와 미장센』(2006), 『픽션의 한계』(2014), 『영화적 픽션』(2018) 등과 같이 영화이론과 영화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서른 권 남짓한 저작을 출간했다.
미셸 마리(지은이)
프랑스 영화학자. 영화사가. 미셸 마리는 파리 3대학(소르본 누벨) 영화학과 교수로서 영화미학과 영화사를 강의했으며, 오랫동안 이 학과의 학과장을 역임하면서 프랑스 대학에 영화학을 정착시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했다. 나탕(Nathan) 출판사와 아르망 콜랭(Armand Colin) 출판사에서 ‘영화와 이미지’ 총서를 맡아서 백여 권 가까운 영화이론 책을 기획했다. 또한 'M', '경멸', '네 멋대로 해라', '뮤리엘' 등의 영화 작품 분석에 바친 저작을 포함하여 스무 권 남짓한 저작을 출간했다. 본서 이외에도, 자크 오몽과 공저로 <영화미학>(1994), <영화이론과 비평사전>(2001)을 출간했다.
이윤영(옮긴이)
영화학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영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 『영화작품 분석의 전개』 『환송대』 『비장소』(공역), 『영화의 실천』 『시네마토그라프에 대한 노트』 등이, 엮고 옮긴 책으로 『사유 속의 영화』가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 11 서문 | 21 CHAPTER 1 분석의 방식 | 27 1. 영화에 대한 다른 담론들과 분석 | 30 1.1 개별영화에 대한 담론, 집합으로서의 영화에 대한 담론 | 30 1.2 분석과 비평 | 33 1.3 분석과 이론 | 36 2. 누가 영화작품을 분석하는가? | 38 2.1 분석의 민주성 | 38 2.2 전문화된 활동으로서의 분석 | 39 3. 분석의 효과와 목표 | 42 3.1 영화작품의 이해 | 42 3.2 폭로로서의 분석 | 46 3.3 이론과 양식의 문제 | 48 3.4 고유한 실천으로서의 분석 | 50 4. 결론: 영화작품 분석의 정의를 위해 | 53 CHAPTER 2 분석할 만한 대상, 분석의 도구 | 57 1. 대상의 크기와 유형 | 59 1.1 단편(?片): 개념의 모호성 | 60 1.2 시퀀스와 분절체 | 64 1.3. 원테이크 영화(one take film)의 경우 | 71 1.4 많은 영화의 분석 | 79 1.5 영상, 서사, 분석의 대상 | 81 1.6 분석의 길이 | 82 2. ‘기술적인’ 도구 | 85 2.1 관람, 전사(??), 분석 | 85 2.2 데쿠파주: 묘사의 도구 | 88 2.3 ‘도구들’ | 94 2.4 인용의 문제 | 102 2.5 ‘주변 텍스트’: 외적 도구들 | 106 3. 묘사의 문제 | 109 CHAPTER 3 내러티브 사실의 분석 | 115 1. 이야기와 그 반향 | 118 1.1 이야기의 중요성 | 118 1.2 이야기, 픽션, 핍진성 | 123 1.3 등장인물, 행위, 성격 | 127 1.4 윤리와 이데올로기 | 133 2. 서사: 서사학적 관점과 수사학적 관점 | 137 2.1 서사의 요소들: 구조적 시도 | 137 2.2 의미론적 분석과 서사의 유형들 | 143 2.3 왜 영화의 시작 부분을 분석하는가? | 147 2.4 영상으로 된 서사, 내러티브 목소리, 동일시 | 150 2.5 영화와 그 관객과의 관계 | 160 2.6 픽션(과 그 주변부)의 문제 | 162 2.7 픽션의 주변부들 | 167 CHAPTER 4 시청각 매체 | 175 1. 영화 이미지 분석 | 177 1.1 시각적 유사체로서의 이미지 | 178 1.2 의미의 담지체로서의 이미지 | 182 1.3 이미지의 권능 | 194 2. 사운드 트랙 분석 | 202 2.1 사운드 트랙이란 개념과 그 한계 | 202 2.2 영화음악 분석 | 205 2.3 현실적인 소리(소음, 앰비언스, 대사)의 분석 | 208 2.4 대화와 목소리의 문제 | 211 CHAPTER 5 분석의 간략한 역사 | 217 1. 영화의 유파들과 분석의 도가니로서 영화비평 | 219 1.1 교육자 감독들이 제시한 최초의 분석들: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 219 1.2 바쟁과 시네클럽의 영화기록 카드 | 226 1.3 작가 정책과 해석적 분석 | 230 2. 텍스트 분석과 정지화면 | 233 2.1 영화텍스트 분석과 구조주의 | 233 2.2 정지화면 | 236 3. 탈구조주의적 분석들 | 240 3.1 영화와 정신분석 | 240 3.2 젠더 연구 | 245 3.3 형상성 분석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