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성우 엄기호, 1971-, 저
서명 / 저자사항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김성우, 엄기호
발행사항
서울 :   따비,   2020  
형태사항
295 p. ; 22 cm
ISBN
9788998439798
일반주기
Literacy  
여전히 읽고 쓰는 두 사람이 멀티미디어 시대, 새로운 리터러시를 이야기하다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4-295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23681
005 20210902111251
007 ta
008 200409s2020 ulk b 000c kor
020 ▼a 9788998439798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02.2244 ▼a 302.231 ▼2 23
085 ▼a 302.2244 ▼2 DDCK
090 ▼a 302.2244 ▼b 2020
100 1 ▼a 김성우
245 1 0 ▼a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b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 / ▼d 김성우, ▼e 엄기호
260 ▼a 서울 : ▼b 따비, ▼c 2020
300 ▼a 295 p. ; ▼c 22 cm
500 ▼a Literacy
500 ▼a 여전히 읽고 쓰는 두 사람이 멀티미디어 시대, 새로운 리터러시를 이야기하다
504 ▼a 참고문헌: p. 294-295
700 1 ▼a 엄기호, ▼d 1971-, ▼e▼0 AUTH(211009)78215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1182748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212529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310543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03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1182748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2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212529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310543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독서클럽 회원전용(3층 전자정보자료실)/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6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244 2020 등록번호 1513503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근 몇 년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읽기 영역에서 한국 학생들의 순위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거나 ‘문해가 매우 취약한 수준’의 비율(38%)이 OECD 국가 중 하위권(2018년 조사)이라는 수치가 제시된다. “우리 아이가 책은 안 읽고 스마트폰만 들여다본다.” “학생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학부모와 교사들의 경험도 근거가 된다. 과연 젊은 세대의 문해력 수준이 떨어진 것일까? 이것을 문해력의 위기라 할 수 있을까?

삶이 말에 스며드는 방식에 천착해온 문화연구자 엄기호와 말이 삶을 빚어내는 모습을 탐색해온 응용언어학자 김성우가 문해력/리터러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지금 리터러시의 상황을 ‘위기’로 부르는 평가가 정당한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인간의 몸과 사고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리터러시를 경쟁의 도구가 아닌 공공의 인프라로 만들어갈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한 기록이 도서출판 따비의 신간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에 담겼다.

힘의 과시가 아니라 이해를 위한 다리로
경쟁의 도구가 아니라 공동체의 역량으로
읽기와 쓰기뿐 아니라 듣기와 보기의 가능성까지

문화연구자 엄기호와 응용언어학자 김성우가 함께 나눈
좋은 삶을 가꾸는 리터러시


궁금한 것이 있을 때 책을 읽는 것도 아니고 인터넷 지식검색을 하는 것도 아니다. 유튜브 동영상을 찾아보며 유튜브 채팅 기능으로 소통한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의 정의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정치적 입장에 따라, 세대에 따라, 성에 따라, 서로에게 ‘난독증이냐’며 비아냥거리는 댓글을 단다.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려는 낌새만 보여도 ‘꼰대’가 ‘가르치려 든다’고 경계한다. 리터러시가 혐오를 정당화하는 무기가 아니라 성찰의 도구가 될 수는 없을까?


젊은 세대의 읽기 능력이 떨어졌다고 걱정하는 소리가 높다. 최근 몇 년간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읽기 영역에서 한국 학생들의 순위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거나 ‘문해가 매우 취약한 수준’의 비율(38%)이 OECD 국가 중 하위권(2018년 조사)이라는 수치가 제시된다. “우리 아이가 책은 안 읽고 스마트폰만 들여다본다.” “학생들이 교과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학부모와 교사들의 경험도 근거가 된다. 과연 젊은 세대의 문해력 수준이 떨어진 것일까? 이것을 문해력의 위기라 할 수 있을까?
삶이 말에 스며드는 방식에 천착해온 문화연구자 엄기호와 말이 삶을 빚어내는 모습을 탐색해온 응용언어학자 김성우가 문해력/리터러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지금 리터러시의 상황을 ‘위기’로 부르는 평가가 정당한지,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인간의 몸과 사고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리터러시를 경쟁의 도구가 아닌 공공의 인프라로 만들어갈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한 기록이 도서출판 따비의 신간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 삶을 위한 말귀, 문해력, 리터러시》에 담겼다.


리터러시, 위기인가 변동인가

문해력, 혹은 문식성이라는 번역어가 널리 쓰이고 있지만,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환경 리터러시에서처럼 리터러시라는 외래어를 그대로 쓰는 빈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누군가에게는 매우 친숙한 이 단어는 누군가에게는 처음 들어보는 말이며, 이 말을 자연스럽게 꺼내는 사람들조차 제각기 다른 개념으로 사용한다. 이 문제적 단어, 리터러시(literacy)의 정의부터 먼저 살펴보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유네스코의 “다양한 맥락과 연관된 인쇄 및 필기 자료를 활용하여 정보를 찾아내고, 이해하고, 해석하고, 만들어내고, 소통하고, 계산하는 능력”이라는 정의다. 그러나 리터러시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그 방점이 다르게 찍혔다. 고대에는 ‘문학에 조예가 있는 학식 있는 사람’, 중세에는 ‘라틴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 그리고 종교개혁 이후에는 ‘자신의 모국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리터러시를 갖춘 사람이었다.
그렇다면, 리터러시를 둘러싼 지금의 환경은 어떨까? 초등학생들이 숙제를 할 때 책이나 백과사전, 심지어 검색엔진도 아닌 유튜브를 검색한다고 한다. 책을 만지기 전에 스마트폰이나 패드를 조작해본 디지털 네이티브가 늘어나고 있다. 교과서와 ‘전과’를 중심으로 기초교육을 받은 기성세대와는 판이하게 다른 정보 환경이 도래한 것이다. 저자들이 리터러시의 위기라기보다 ‘변동’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그러나 리터러시에 대한 평가는 디지털 네이티브에게 익숙한 이미지, 동영상이 아니라 여전히 기성세대에게 익숙한 문자매체에 기반해, 교과서와 선다형 시험을 통해 이뤄진다. 이런 평가는 젊은 세대(또한 문해력을 제대로 키울 기회가 없었던 노년 세대)에게 공정하지 않다. ‘공부할 시간을 반밖에 주지 않고 평가한 다음에 왜 이렇게밖에 못하냐고 비난’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리터러시를 정의하고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권력이다. 이 권력을 특정 세대, 특정 계층이 독점하고 있는 것이다.


문자에서 이미지로, 읽기에서 보기로

근대 이후 리터러시는 글을 읽고 쓰는 능력에 기반해왔다. 문자라는 매체와 읽기라는 행위는 사유의 길이와 스케일, 체계성을 획기적으로 키워주었으며, 그를 통해 ‘시민으로서의 개인, 개인으로서의 시민’이 탄생했다. 저자들은 읽기/쓰기 행위가 가진 이런 장점의 핵심인 ‘추상성’이라는 진입장벽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책이나 신문 등을 진득하게 읽어내고 거기에서 의미 있는 지식을 뽑아내는 데는 기호체계의 습득, 태도나 의지, 주의집중 등의 능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계급적으로 분배될 가능성이 높은 자원이다. 경제자본?문화자본이 풍부한 가정의 자녀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접하며 정보 습득, 학습, 엔터테인먼트 등을 위해 좋은 콘텐츠를 선별해서 활용하지만, ‘방치된’ 아이들은 웹을 떠돌며 시간을 하염없이 보내기 일쑤다.
한편, 리터러시가 무기처럼 휘둘러지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 최근 인터넷상의 논쟁이나 SNS의 댓글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문해력/리터러시다. 서로를 “이런 문해력 딸리는 것들” “독해도 안 되는 주제에”라는 말로 조롱한다. 리터러시가 상대방을 조롱하고 비판하기 위한 정치적 수사가 된 것이다. 리터러시가 있고 없음으로 혐오 또한 커진다. “노인네들 유튜브 그만 보고 책 좀 읽어라, 신문 좀 읽어라.” 같은 말에서 드러나듯이, 특정 집단의 지적 능력에 대한 비하를 통해 혐오를 정당화하는 무기가 되는 것이다. 저자들은 리터러시의 위기가 있다면 이런 성찰성의 위기라고 진단한다. 소통의 위기, 공동체의 위기, 나아가 민주주의의 위기다.


읽기에서 보기로? 멀티미디어 시대의 리터러시

유튜브로 대표되는 ‘짧은 동영상’에 빠진 어린 세대의 문해력 부족을 한탄하는 시선 반대쪽에는 읽고 쓰는 능력이 여전히 가치가 있느냐는 의문, 이제는 동영상 촬영과 편집까지 가르쳐야 하느냐는 조바심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매체가 몸과 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먼저 고찰해야 한다고 말한다.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책으로 읽을 때와 영화로 제작된 것을 볼 때 뇌가 활성화되는 방식이 다르다. 〈슬램덩크〉를 만화책으로 볼 때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것을 볼 때가 다르다. 이처럼 우리 뇌는 ‘같은 내용’뿐 아니라 ‘다른 매체성’을 경험한다.
다른 매체성은 ‘호흡’의 문제와 연결된다. 영상의 시대라고는 하지만, 텍스트를 읽는 양으로 보면 이전 시기보다 훨씬 많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텍스트가 탑재된 매체와 플랫폼은 책이 아니라 모바일이다. 기성세대는 10~20대가 유튜브 영상만 보고 책은 읽지 않는다고 비판하지만, 헤드라인만 보고 판단해버리거나 ‘세 줄 요약’만 읽고 내용을 다 알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40~50대 또한 마찬가지다.
문자를 중심에 둔 리터러시는 상상력의 크기와 추상성이라는 유익을 준 한편, 현실을 다루는 힘은 약화시키는 제약도 준다. 저자들은,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를 익히고 다루면서 균형을 자븐 것, 즉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ies)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멀티리터러시에는 미래에서 오고 있는 ‘보는 것’과 ‘가상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여전히 오고 있는 것, 끊임없이 올 수밖에 없는 것인 ‘말하고 듣는 것’의 리터러시, 즉 말귀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럴 때에야 리터러시를 앎의 문제가 아니라 다룸의 문제로 생각할 수 있게 되고, 다룸을 통해 타자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리터러시에 대해 이야기해야 할 때

저자들이 나눈 이야기는 ‘삶을 위한 리터러시’로 요약할 수 있다. 말과 글, 영상의 효과와 가치를 삶이라는 맥락 안에서 탐색하며, 탑처럼 쌓아올려 개인의 경쟁력과 권력으로 귀속되는 리터러시가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다리를 놓고 소통의 기반이 되는 리터러시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저자들은 그것이 가능하려면 리터러시가 개인의 역량이 아니라 ‘사회적 역량’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모든 이가 리터러시를 키울 수 있도록 제도적?환경적 인프라를 갖출 뿐 아니라 각자가 자신의 삶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리터러시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두 저자는 이런 ‘삶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가능한지, 학생들을 가르쳐온 자신의 사례와 일선 교육현장의 사례 등 구체적인 방법을 나누는 것으로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읽기/쓰기 행위가 단지 시험 대비로 그치지 않도록 수업의 호흡을 늘리고, 독서와 토론에 비경쟁 원리를 도입해 성과에 얽매이지 않게 해주는 것이다. 그래야만 텍스트와 이미지의 세계를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고 타인의 말과 생각을 굳이 반박하지 않고 의견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지금이 바로 리터러시의 변동과 그 영향에 대해 숙고해야 할 적기라고 강조한다. 이 책은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어진 교육의 성과와 과오를 검토하고 각자도생의 능력이 아니라 ‘좋은 삶’에 복무하는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여는 초대장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성우(지은이)

성찰과 소통, 연대를 꿈꾸며 삶을 위한 리터러시를 연구하는 응용언어학자이다. 『현대 영어교육학 연구의 지평』, 『한글, 문해력, 민주주의』, 『재난의 시대, 교육의 방향을 다시 묻다』 등에 필자로 참여했고,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를 공저하였으며, 『영어의 마음을 읽는 법』, 『단단한 영어공부』, 『어머니와 나』를 썼다. 현재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강사로 일하며 학생들과 함께 말과 삶, 교육과 사회가 엮이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엄기호(지은이)

울산에서 나고 자랐다. 초등학교 2학년 때 폭력적이고 부패한 교사를 만나 교육과 학교에 대한 문제의식에 눈떴다. 전교협 해직교사들의 편지글 모음인 《내가 두고 떠나온 아이들에게》를 중학교 때 읽으며 다른 교육의 가능성을 갈망하게 되었다. 사회학과에 진학하였지만 학부 시절에는 거의 공부를 하지 않고 가톨릭학생회 동아리 활동에 푹 빠져 있었다. 대학원 석사과정에 진학하고서야 공부를 시작하였지만 곧 국제단체에서 일하자는 제안을 받고 국제가톨릭학생운동 아시아․태평양 사무국에 나갔다. 당시 한창 달아오른 반세계화 현장에 참가하며 주로 대학생들의 사회의식을 고양하는 양성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을 했다. 그 후 한국으로 돌아와 하자센터에서 글로벌학교 팀장을 하고 늦은 공부를 마무리하기 위해 문화학과 박사과정에 들어가 신자유주의와 청년 하위문화를 주로 연구하였다. 돌아보면 늘 교육의 언저리에서 살아온 셈이다. 성장이 불가능한 시대의 페다고지를 만드는 것을 삶의 화두로 삼고 있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교육공동체 벗’에서 발간하는 《오늘의 교육》 편집위원을 맡았다. 2013년 박사학위를 마치고 덕성여대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로 일하고 있다.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2018), 《공부 공부》(2017), 《나는 세상을 리셋하고 싶습니다》(2016), 《단속사회》(2014),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2013), 《우리가 잘못 산 게 아니었어》(2011),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2010), 《아무도 남을 돌보지 마라》(2009), 《닥쳐라, 세계화!》(2008)를 냈고, 이 외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공부 중독》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시작하며
지금 여기에서 ‘삶을 위한 리터러시’를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 / 김성우 8

Literacy 1
리터러시, 위기인가 변동인가 14
문해력? 리터러시? / 위기인가, 변동인가 / 문자로는 시험공부, 세상 보기는 영상으로 / 리터러시를 정의하는 권력 /
이모티콘과 느낌표가 내용보다 중요하다 / 리터러시를 보는 또 다른 렌즈 / 다른 사람의 난독증을 문제 삼는 것 /
리터러시는 스펙트럼이다 / 리터러시가 바벨탑이 아니라 다리가 되려면

Literacy 2
읽기는 여전히 유효한가 74
읽기는 혁명이었다 / 문자는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나 / 개인의 탄생과 읽기 / 글이 영상보다 자유로운 이유 /
읽기/쓰기로만 가능한 것과 그 대가 / 우리는 읽기/쓰기를 제대로 가르친 적이 없었다 /
‘시험을 위한 읽기’에서 ‘읽기를 돕는 시험’으로 / 리터러시의 불평등, 민주주의의 위기 / 사유역량은 읽기의 특권인가 /
텍스트의 아우라와 진입장벽 / 리터러시는 사회의 역량

Literacy 3
읽기에서 보기로, 미디어와 몸 140
다른 매체가 다른 신체를 구축한다 / 세 줄 요약과 읽기의 호흡 / 보기가 만들어내는 몸 / 검색하면 다 나온다? /
리터러시가 다룸의 역량이 되려면 / 앎이 삶을 방해하는 역설 / 리터러시는 어떻게 윤리적 주체를 세울 수 있는가 /
개운하지 않아도, 담아두고 숙성시키기

Literacy 4
리터러시, 어떻게 다리를 놓을 것인가 190
학교, 평가, 리터러시 / 공정성에 갇힌 평가, 시험 기술만 익히는 수업 / 평가의 공정성에서 배움의 공공성으로 /
미디어를 변환해보는 이유 / 과학 지식과 내러티브, 두 가지 앎 사이의 변환 / 삶을 두껍게 읽어내는 리터러시

Literacy 5
삶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을 향해 224
수업의 호흡이 길어진다면 / 독서토론으로 학교가 살아나다 / 자기 삶과 닿아 있을 때 글쓰기는 어떻게 바뀌는가 /
소통의 속도를 줄이고 리터러시의 방향을 잡다 / 성과로부터 자유로운 토론 / 자율성을 키워주는 구조화는 어떻게 가능할까 /
리터러시의 위기는 기쁨의 위기 / 조망, 일상, 반복, 관계, 윤리, 교차, 호흡 / 좋은 삶을 위한 리터러시

마치며
말 걸기에서 응답하기로, 삶을 향한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대담 / 엄기호 284

참고문헌 294

관련분야 신착자료

Pegrum, Mark (2022)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