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우봉, 鄭雨峰, 1961-, 저 문희순, 文姬順, 1963-, 저 김하라, 金何羅, 1975-, 저 김경미, 金庚美, 1960-, 저 고순희, 高淳姬, 1957-, 저 천혜숙, 千惠淑, 1954-, 저 박애경, 朴愛景, 1965-, 저 이형대, 李亨大, 1962-, 저 홍인숙, 洪仁淑, 1973-, 저 장유정, 張攸汀, 1972-, 저 성민경 成珉京, 저 이정원, 李政沅, 1971-, 저 이지영, 李智瑛, 1971-, 저 류정월, 柳正月, 1973-, 저
Corporate Author
한국고전여성문학회
Title Statement
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 = Choseon women on the edge of a road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소명출판,   2020  
Physical Medium
473 p. : 삽화, 가계도 ; 23 cm
ISBN
9791159054945
General Note
필자: 정우봉, 문희순, 김하라, 김경미, 고순희, 천혜숙, 박애경, 이형대, 홍인숙, 장유정, 성민경, 이정원, 이지영, 유정월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23052
005 20230907131926
007 ta
008 200406s2020 ulkaj 000c kor
020 ▼a 9791159054945 ▼g 03810
035 ▼a (KERIS)BIB000015548859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82 0 4 ▼a 895.7099287 ▼2 23
085 ▼a 897.099287 ▼2 DDCK
090 ▼a 897.099287 ▼b 2020
110 ▼a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AUTH(211009)85561
245 1 0 ▼a 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 = ▼x Choseon women on the edge of a road / ▼d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편
260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20
300 ▼a 473 p. : ▼b 삽화, 가계도 ; ▼c 23 cm
500 ▼a 필자: 정우봉, 문희순, 김하라, 김경미, 고순희, 천혜숙, 박애경, 이형대, 홍인숙, 장유정, 성민경, 이정원, 이지영, 유정월
700 1 ▼a 정우봉, ▼g 鄭雨峰, ▼d 1961-, ▼e▼0 AUTH(211009)126625
700 1 ▼a 문희순, ▼g 文姬順, ▼d 1963-, ▼e▼0 AUTH(211009)131085
700 1 ▼a 김하라, ▼g 金何羅, ▼d 1975-, ▼e▼0 AUTH(211009)11932
700 1 ▼a 김경미, ▼g 金庚美, ▼d 1960-, ▼e▼0 AUTH(211009)140103
700 1 ▼a 고순희, ▼g 高淳姬, ▼d 1957-, ▼e▼0 AUTH(211009)20587
700 1 ▼a 천혜숙, ▼g 千惠淑, ▼d 1954-, ▼e▼0 AUTH(211009)53030
700 1 ▼a 박애경, ▼g 朴愛景, ▼d 1965-, ▼e▼0 AUTH(211009)36210
700 1 ▼a 이형대, ▼g 李亨大, ▼d 1962-, ▼e▼0 AUTH(211009)68432
700 1 ▼a 홍인숙, ▼g 洪仁淑, ▼d 1973-, ▼e▼0 AUTH(211009)133302
700 1 ▼a 장유정, ▼g 張攸汀, ▼d 1972-, ▼e▼0 AUTH(211009)2222
700 1 ▼a 성민경 ▼g 成珉京, ▼e
700 1 ▼a 이정원, ▼g 李政沅, ▼d 1971-, ▼e▼0 AUTH(211009)118325
700 1 ▼a 이지영, ▼g 李智瑛, ▼d 1971-, ▼e▼0 AUTH(211009)76006
700 1 ▼a 류정월, ▼g 柳正月, ▼d 1973-, ▼e▼0 AUTH(211009)3452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099287 2020 Accession No. 1118271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근대시기의 조선 여성들이 '전통'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근대'라는 낯선 시공간을 어떻게 체험하고, 기록하고, 부딪혀 왔는지 그 지난한 자취를 살펴본다. 수동적 모습의 조선 여성이 아닌, 능동적이고 급진적인 모습을 다양한 텍스트들을 통해서 알아 볼 수 있다.

조선 여성, 신작로에서 감정을 터뜨리다

『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은 한국고전여성문학회에서 ‘고전여성문학’이라는 틀로 근대의 다층성에 접근하기 위해 시도된 책이다. 근대를 둘러싼 말의 성찬이 넘쳐 나고 있는 현재, 굳이 ‘근대’를 화두로 삼은 이유는 ‘전통’이라는 틀에 갇혀 있던 조선 여성이 ‘근대’라는 낯선 시·공간을 어떻게 체험하고, 기록하고, 부딪혀 왔는지, 그 지난한 자취를 탐색하고자 하는 의욕 때문이다.
그동안 ‘조선 여성’은 ‘전근대적’이라는 말로 간단하게 경계 밖 존재로 치부되어 왔다. 이에 이 책은 ‘전근대’라는 말로 배제되었던 ‘조선 여성’이 거쳐 온, ‘또 다른 근대’의 상을 모색하였다. 수동적 모습의 조선 여성이 아닌, 능동적이고 급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그들은, 그들만의 방법으로 근대라는 경계의 안으로 들어가고자 하였다. 이 책을 통해 우리 할머니 또 그 선대의 할머니들이기도 한 조선 여성들이 갔던 길 혹은 가지 않은 길을 좀 더 촘촘하게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 여성의 자취를 찾아가는 14편의 글

이 책은 총 14편의 글이 주제별로 묶여,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여성이 기록한 여성의 삶’에는 양반가 여성에서부터 중인, 하층 여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여성들의 삶의 체험을 모았다. 전란, 망명, 몰락 등 이들이 겪었던 체험은 주권 왕조에서 식민지로 급전직하했던 역사적 시간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개입하고, 각인되었는지를 생생하게 증명하고 있다.

2부 ‘여성에 대한 근대적 시선과 재현’에서는 신문, 잡지, 유성기 등 근대 매체에서 여성을 다루고 재현하는 방식을 문제 삼고 있다. 이를 통해 스스로 기록의 주체가 되지 못했던 여성 혹은 여성 집단의 면면이 어떻게 재구되는지, 그리고 왜곡되는지를 살피고 있다.

3부 ‘근대전환기 여성 형상의 변화’는 텍스트 안팎의 여성 형상들을 불러내어, 그 변화상을 포착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여성의 교양과 오락 그리고 일상을 구성하던 교훈서, 이야기, 소설이 시대와 매체를 달리하며 여성의 삶을 초점화하는 방식의 전환을 찾아보았다.

가을 바람 선 듯 부니 임 타신 차 총살갓치 신작로로 다라 갔네
삼밧머리 홀로 서서 멀리 큰길 바라보니 써린 눈물 앞을 가려
차는 고만 아니 뵈고 하늘만 빙빙 도라 무정한 임이건만
가고나니 더욱 서러
― <싀골색시설은타령> 중에서

‘신작로에 선 조선 여성’이라는 제목은 바로 이 장면에서 나왔다. 신여성과 정분이 난 서울 남편과 소박데기가 되어버린 시골 색시의 사연은 다른 지역, 어느 집안에도 있었을 법한 이야기이기도 했다. 신여성이 발화와 신체로 모더니티를 구현하고 있던 1930년대, 시골 색시는 배우지 못한 설움을 구송으로 풀어내고, 이를 듣고 필사하고 위로하던 이웃 아낙들과 또 다른 ‘눈물의 연대’를 만들어내고 있었던 것이다. 남이 볼까 부끄러워 설렘조차 드러내지 못했던 조선 여성이 자신의 감정을 터뜨렸던 신작로, 끝내 닿을 수 없었던 근대교육, 귀로 듣고 입에 붙은 규방가사라는 조합은 곧 다중적 시간이 존재하는 한국적 근대의 한 표상이기도 하다.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거론되던 제목은 이렇게 근대의 다층성, 복수의 근대를 상징하는 기표로 선택되었다.

정우봉(鄭雨峰, Chung, Woobong)_고려대학교 국문학과
문희순(文姬順, Moon, HeeSoon)_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김하라(金何羅, Kim, HaRa)_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김경미(金庚美, Kim, KyungMi)_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고순희(高淳姬, Ko, SoonHee)_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천혜숙(千惠淑, Chun, HyeSook)_안동대학교 민속학과
박애경(朴愛景, Park, AeKyung)_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형대(李亨大, Lee, HyungDae)_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홍인숙(洪仁淑, Hong, InSook)_선문대학교 교양학부
장유정(張攸汀, Zhang, EuJeong)_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교양교육대학 국어교과
성민경(成珉京, Sung, MinKyung)_이화인문과학원 박사후연구원
이정원(李政沅, Lee, JeongWon)_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지영(李智瑛, Yi, JiYoung)_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유정월(柳正月, Ryu, JeongWol)_홍익대학교 국어교육학과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여성이 기록한 여성의 삶
병인양요에 대한 기억-19세기 여성의 한글일기 ?병인양란록? 정우봉
근대격동기 몰락 양반가 여성 양주조씨 노년의 삶과 ‘화병’ 문희순
덴동어미가 걷던 길 김하라
20세기 초 강릉김씨 부인의 여행기, ?경성유록? 김경미
만주로 망명한 여성, 가사문학 「위모사」를 쓰다 고순희
근대기 반가 출신 옥성댁의 생애 경험과 기록 천혜숙

제2부 여성에 대한 근대적 시선과 재현
기생, 전통과 근대를 횡단하는 여성 박애경
근대계몽기의 노래와 신문에 포착된 과부들 이형대
여학교 주변의 여자들-신문ㆍ잡지에 나타난 제도교육 최초 형성기(1898∼1910)의 여성 재현에 대하여 홍인숙
화자와 주체로 본 유성기 음반(SP) 속 기생 장유정

제3부 근대전환기 여성 형상의 변화-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여훈서(女訓書)를 중심으로 성민경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이정원
20세기 초 ‘춘향 형상’의 변화 이지영
근대설화집의 여성 형상화-?온돌야화?, ?조선민담집?, ?조선동화대집?의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유정월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