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22168 | |
005 | 20200330142355 | |
007 | ta | |
008 | 200103s2020 ulk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3 ▼c 808 | |
100 | 1 | ▼a 김진영 |
245 | 1 0 | ▼a 수학영재의 성격유형별 소집단 구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과 수학적 창의성 분석 : ▼b 창의적 산출물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 ▼d 김진영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0 | |
300 | ▼a v, 84 p.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황우형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수학교육전공, ▼d 2020. 2 |
504 | ▼a 참고문헌: p. 57-60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수학적 창의성 ▼a 창의적 산출물 ▼a 수학영재 | |
776 | 0 | ▼t 수학영재의 성격유형별 소집단 구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과 수학적 창의성 분석 ▼w (DCOLL211009)000000128224 |
900 | 1 0 | ▼a 황우형, ▼e 지도교수 |
945 | ▼a KLPA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수학영재의 성격유형별 소집단 구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과 수학적 창의성 분석 : 창의적 산출물 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112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 Call Number 0510 6M3 808 | Accession No. 1630782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 Call Number 0510 6M3 808 | Accession No. 1630782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K교육지원청 수학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중학교 1학년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MBTI 검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격유형을 나누고 이에 따라 소집단을 구성하였다. 성격유형별 소집단의 구성이 수학영재의 탐구 활동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탐구 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창의적 산출물에서 나타나는 창의성 요소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성격유형은 ENTJ 성격의 학생 2명과 ENFP 성격 1명, INTP 성격 1명이다. 소집단은 2인 1조로 구성하였고, ENTJ 성격의 학생을 각 소집단에 한 명씩 배치하여 비교의 기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ENTJ-ENFP로 구성된 조를 모둠1, ENTJ-INTP로 구성된 조를 모둠2라 칭하였다. 창의적 산출물 생산을 위한 탐구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과정은 모둠별로 분리하여 녹음하였고, 이를 전사하였다. 전사된 대화 과정은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양적으로는 대화에서 나타난 각 요소의 빈도수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이를 모둠별로 비교하였으며, 질적으로는 대화의 내용과 분위기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탐구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창의적 산출물은 MG-CPS 모델의 인지능력 요소 중 창의성을 기준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성격유형에 따라 구성한 두 모둠에서의 대화 과정을 양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측면이 정의적 측면의 상호작용 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나타났고, 각 세부범주 별로 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에서는 모둠1과 모둠2는 차이가 있었다.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모둠1은 ENTJ 유형인 학생의 주도 하에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상대의 의견이나 설명에 대해 반론을 하는 형태가 빈번하게 나타났고, 모둠2는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주로 INTP 유형의 학생이 자신이 조사한 정보를 설명하는 분위기로 흘러갔다. 이러한 대화 내용의 질적 분석을 통해 영재 학생의 성격유형이 대화의 흐름과 내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두 모둠의 창의적 산출물을 분석한 결과 모둠2보다 모둠1에서 창의적인 요소를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각 학생의 성격유형의 특성과 비교해 본 결과 창의성도 성격유형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집단 활동을 마친 후 학생의 소감에서도 성격유형의 특성이 반영되었다. 질적으로 유의한 대화가 이루어지거나 창의성이 높은 산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성격유형이 고려된 소집단의 구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4.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9 1. 추론 방법 9 2. 과제의 인지적 난이도 수준 18 3. 추론 과정 구성요소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1. 연구 대상 27 2. 질적 내용분석법 30 3. 연구 절차 32 4. 분석틀 34 1) 예비 연구1 34 2) 예비 연구2 42 Ⅳ. 연구 결과 47 1. 추론 과제 추출 47 2. 추론 과제의 인지적 난이도 수준 51 3. 인지적 난이도 수준에 따라 분류된 추론 과제의 추론 과정 구성요소 59 Ⅴ. 요약 및 결론 69 1. 요약 69 1) 추론 과제 추출 69 2) 추론 과제의 인지적 난이도 수준 70 3) 인지적 난이도 수준에 따라 분류된 추론 과제의 추론 과정 구성요소 71 2.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4 ABSTRACT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