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내러티브와 장르 : 미디어 분석의 핵심 개념들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acey, Nick, 1961- 임영호, 역
서명 / 저자사항
내러티브와 장르 : 미디어 분석의 핵심 개념들 / 닉 레이시 지음 ; 임영호 옮김
발행사항
부산 :   산지니,   2020  
형태사항
453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방송문화진흥총서 ;202
원표제
Narrative and genre : key concepts in media studies
ISBN
9788965456421
서지주기
참고문헌(p. 424-438)과 색인, 부록수록
일반주제명
Discourse analysis, Narrative Literary form Mass media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20824
005 20200316152504
007 ta
008 200313s2020 bnka b 001c kor
020 ▼a 9788965456421 ▼g 9333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401/.41 ▼2 23
085 ▼a 401.41 ▼2 DDCK
090 ▼a 401.41 ▼b 2020
100 1 ▼a Lacey, Nick, ▼d 1961-
245 1 0 ▼a 내러티브와 장르 : ▼b 미디어 분석의 핵심 개념들 / ▼d 닉 레이시 지음 ; ▼e 임영호 옮김
246 1 9 ▼a Narrative and genre : ▼b key concepts in media studies
260 ▼a 부산 : ▼b 산지니, ▼c 2020
300 ▼a 453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방송문화진흥총서 ; ▼v 202
504 ▼a 참고문헌(p. 424-438)과 색인, 부록수록
536 ▼a 이 도서는 방송문화진흥회의 저술 지원으로 제작되었음
650 0 ▼a Discourse analysis, Narrative
650 0 ▼a Literary form
650 0 ▼a Mass media
700 1 ▼a 임영호, ▼e
900 1 0 ▼a 레이시, 닉,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01.41 2020 등록번호 11182599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2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종이책에서 전자책으로, TV에서 넷플릭스로, 오늘날 미디어 매체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렇다면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는 어떨까? 놀랍게도 콘텐츠의 내용과 구조는 인간이 이야기를 기록한 이래 몇천 년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예컨대, 기원전 2천 년 경에 쓰인 '길가메시 서사시'의 고난 구조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의 플롯은 현재의 웹드라마와 장르 소설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이렇게 사람들을 다른 간접 경험의 세계로 빠지게 하는 이야기는 본능적으로 인류의 삶 속에 계속되고 있다.

영국 고등학교에서 미디어 개론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내러티브와 장르>는 인간과 함께해온 이야기 분석의 핵심이 되는 언어, 내러티브와 장르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달 관행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블라디미르 프로프, 롤랑 바르트를 포함한 주요 내러티브 이론가들의 이론을 다루고, 장르 기본 구조와 규칙, 등장인물의 성격 등을 통해 각 장르의 레퍼토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준다.

각 이론에는 저자 닉 레이시 특유의 위트가 곁들여진 설명이 함께하여 생생함을 더하고, 드라마, 영화, 소설, 신문 기사에 이르기까지 흥미롭고 풍부한 예시를 수록해 이해를 돕는다.

▶ 기원전 서사시부터 현대 SF 영화까지
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은
미디어의 핵심, 내러티브를 들여다보다


종이책에서 전자책으로, TV에서 넷플릭스로, 오늘날 미디어 매체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렇다면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는 어떨까? 놀랍게도 콘텐츠의 내용과 구조는 인간이 이야기를 기록한 이래 몇천 년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예컨대, 기원전 2천 년 경에 쓰인 ‘길가메시 서사시’의 고난 구조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의 플롯은 현재의 웹드라마와 장르 소설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이렇게 사람들을 다른 간접 경험의 세계로 빠지게 하는 이야기는 본능적으로 인류의 삶 속에 계속되고 있다.
영국 고등학교에서 미디어 개론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내러티브와 장르』는 인간과 함께해온 이야기 분석의 핵심이 되는 언어, 내러티브와 장르가 어떤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달 관행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블라디미르 프로프, 롤랑 바르트를 포함한 주요 내러티브 이론가들의 이론을 다루고, 장르 기본 구조와 규칙, 등장인물의 성격 등을 통해 각 장르의 레퍼토리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준다. 각 이론에는 저자 닉 레이시 특유의 위트가 곁들여진 설명이 함께하여 생생함을 더하고, 드라마, 영화, 소설, 신문 기사에 이르기까지 흥미롭고 풍부한 예시를 수록해 이해를 돕는다.

▶ 내러티브의 이론부터 실제까지
미디어의 핵심을 파헤치는 개론서


『내러티브와 장르』는 텍스트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내러티브 개념과 관련 이론 소개에서 시작해, 대중문화의 기본 장르 분류와 관련 이론을 해설한다. 1장에서는 내러티브의 개념을 소개하며 토도로프, 프로프, 레비스트로스, 바르트 등 주요 내러티브 이론가들의 이론을 설명한다. 2장에서는 내러티브의 역사를 소개하며 길가메시 서사시부터 포스트모더니즘까지 내러티브의 역사를 보여주고, 내러티브의 사회적 기능, 그리고 테크놀로지가 내러티브 텍스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3장에서는 내러티브 보이스의 유형을 고찰하고, 이데올로기적 내러티브와 대안적 내러티브 체제 개념을 검토한다.
미디어 텍스트는, 형식은 달라도 모두 스토리텔링이라는 점에서 일치한다. 비슷한 소재와 스토리를 갖춘 대중문화 텍스트들은 다양한 장르를 이루면서 유통될 뿐 아니라 영상 서술 방식에서도 각기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나름대로 독특한 장르 관행도 갖고 있다. 이러한 ‘장르’를 설명하는 부분은 4장과 5장이다. 4장에서는 멜로, SF, 느와르 등 대표적 장르를 소개하며, 각 장르의 패턴, 형태, 스타일, 구조를 정의한다. 5장에서는 칼 융이 말한 신화로서의 장르 개념을 중심으로, 장르 이론 비판의 개념을 살핀다.

▶ 언제, 어디서나 미디어와 함께 하는 시대
미디어의 기본 구조를 알면 사회적 의미도 보인다


지금까지 대중문화 연구는 텍스트 자체의 특성보다는 그 주변 맥락을 규명하는 데 더 치중해왔고, 정작 텍스트의 구조와 장르 관행을 밝히는 도서는 많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입문자에게 대중문화 텍스트에 대한 이해는 그 사회적 의미보다, 텍스트의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드라마나 영화, TV광고는 어떤 이야기 전개 구조에 기반하고 어떤 장르 관행에 의존하는지,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사용하는 미세한 의미 전달 관행들은 어떤 것인지를 체계적으로 공부한 뒤 사회적 의미를 공부해도 늦지 않다.
이 책은 국내 미디어 학부생들에게 대중문화 텍스트의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훌륭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또한 대중문화를 좀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일반 독자의 안목을 넓혀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미디어가 어떻게 작동하고, 미디어의 규칙이나 관행, 이데올로기적 목적은 무엇이며, 이러한 가공물이 21세기 초반을 사는 우리에게 어떤 목적이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닉 레이시(지은이)

영국 워릭대학교(Warwick University)에서 영화와 문학을 전공한 후 영국 타임스 신문, 잡지 그룹인 EMAP, 요크셔 텔레비전 방송사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동했다. 1991년 이후 학교로 돌아와 강의와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영국 서부 요크셔의 벤턴 파크 스쿨(Benton Park School)에서 미디어연구 주임(Head of Media Studies)으로 근무하고 있다. 닉 레이시는 현장 경험과 폭넓은 이론을 결합하여 일반인에게 유용한 지침서를 많이 썼다. 주요 저서는 『이미지와 재현』(2009) 『내러티브와 장르』(2000) 『미디어 제도와 수용자』(2002) 3부작이 가장 유명하며, 그 밖에도 『현대 헐리우드 상품으로서의 영화』(로이 스태포드와 공저, 2008) 『영화 입문』(제2판, 2016) 등의 저서가 있다. 저자는 『팬의 미로』(2018) 『영화 해설: 블레이드 러너』(2012) 『세븐』(2001) 『똑바로 살아라』(2018) 『현기증』(2017) 등 많은 영화 관련 해설 비평서도 썼다.

임영호(옮긴이)

서울대학교 신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이며, 문화연구, 저널리즘, 지식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lt;왜 다시 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gt;(2022), &lt;학문의 장, 지식의 제도화&gt;(2019), &lt;한국 에로 비디오의 사회사&gt;(2018, 공저) 등의 저서와 &lt;문화와 사회를 읽는 키워드: 레이먼드 윌리엄스 선집&gt;(2023), &lt;장르와 내러티브&gt;(2020), &lt;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스튜어트 홀 선집&gt;(2015), &lt;언론학의 기원&gt;(2014), &lt;대처리즘의 문화 정치&gt;(2007) 등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옮긴이 서문
들어가면서

1장 내러티브 이론 소개
1. 시작하며
2. ‘옛날 옛적에…’ - 도입부
3.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4. 토도로프와 내러티브 구조
5. 프로프의 내러티브 기능
6. 레비스토로스와 이항대립
7. 바르트의 내러티브 약호

2장 내러티브의 역사
1. 시작하며
2. 〈길가메시 서사시〉
3.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 이론
4. 구전 전통
5. 〈아서왕의 죽음〉
6. 셰익스피어
7. 소설
8. 낭만주의
9. 모더니즘
10. 포스트모더니즘

3장 내러티브 이론 2
1. 시작하며
2. 더 심화된 내러티브 이론
3. 내러티브 보이스
4. 이데올로기적 내러티브 분석: 〈수색자〉
5. 대안적 내러티브 체제
6. 대안적 내러티브와 다큐멘터리

4장 장르 이론 1
1. 시작하며
2. 장르 관행
3. 장르의 기본 틀
4. 장르와 사회
5. 느와르 영화와 ‘하드보일드’ 범죄 소설 - 구성요소들의 레퍼토리
6. TV 경찰 장르: 〈뉴욕 경찰 24시〉 - 장르의 대립항들
7. SF: 구성요소의 레퍼토리와 역사
8. 멜로드라마 - 장르이자 스타일
9. 장르와 포맷

5장 장르 이론
1. 시작하며
2. 장르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3.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12가지 장르적 접근방법
4. 융이 말한 신화로서의 장르
5. 장르와 젠더 - 솝 오페라
6. 장르 주기
7. 비리얼리즘 장르 - 호러
8. 장르와 기호학
9. 이데올로기와 장르 비평
10. 장르와 편성 시간대
11. 결론: 내러티브와 장르

부록1
부록2
참고문헌
색인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