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을 펴내며 | 5
Ⅰ. 논의의 출발 - 시인 윤동주의 복원
1. 왜 하필 윤동주 연구인가? 12
2. 시인 윤동주 복원의 역사 20
3. 에큐메니컬은 무엇인가? 33
Ⅱ. 윤동주 시의 발생론적 根源, 북간도 기독교 공동체 연구
1. ‘디아스포라의 땅’ 북간도에 세운 ‘새 민족 공동체’ 이야기 44
2. 한국 ‘진보적 기독교의 기원’ 북간도 에큐메니컬 공동체 56
3. 유년의 습작들 : 응축된 두 언어(종교와 동심)의 세계 66
Ⅲ. 윤동주 시의 디아스포라적 세계와 현실 인식 연구
1. ‘유랑의 경험’ 식민지 조선과 일본에서의 체험 이야기 94
가. 식민지 조선 경험의 양면성 94
나. ‘참회(懺悔)’와 마지막 ‘길 찾기’의 시간, 일본 체험 이야기 107
다. 詩人 윤동주의 탄생 113
2. 윤동주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주체의 세계 인식 연구 120
가. 고향의식의 균열과 디아스포라 현실 인식의 발아(發芽) 122
나. 디아스포라 공동체와 시·공간 의식 확장 139
다. “죽어가는 것들”의 세계와 지워진 시집 ?病院? 152
Ⅳ. 윤동주 시의 에큐메니컬 지향성 연구
1. 에큐메니컬 시 세계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162
2. 에큐메니컬 세계 구성을 위한 전제 조건 169
가. 존재 ‘되기(Becoming)’와 성찰적 주체의 탄생,
그리고 「우물 속의 자상화」분석 169
나. 역사의식과 ‘심판의 날’ 이해 191
다. ‘역사적 주체’의 ‘죽음(희생)’을 통한 실존 방식 논의 195
참고문헌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