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20510 | |
005 | 20200311095152 | |
007 | ta | |
008 | 200310s2016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917001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014818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2.1909519 ▼2 23 |
085 | ▼a 372.190953 ▼2 DDCK | |
090 | ▼a 372.190953 ▼b 2016 | |
245 | 0 0 | ▼a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 ▼b 신발굴 재조일본인 아동용 교과서 / ▼d 김광식, ▼e 이시준 편역 |
260 | ▼a 서울 : ▼b 제이앤씨, ▼c 2016 | |
300 | ▼a 234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영인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광식 ▼g 金廣植, ▼d 1974-, ▼e 편역 |
700 | 1 | ▼a 이시준, ▼d 1967-, ▼e 편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190953 2016 | Accession No. 1118258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신발굴 재조일본인 아동용 교과서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학무국 편집과의 중심인물인 오다와 다치가라는 조선인이 흥미를 가지고 국어를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교재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이를 위해 설화의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의도적으로 활용했다. 문제는 설화 중에서도 내선융화 설화를 의도적으로 취사선택, 보고시켜 이를 조선인 및 재조일본인 아동용으로 교재화함으로써, 식민지 지배에 활용, 정당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가 새롭게 발굴, 소개한 1913년 조선총독부 학무국 보고서와 <보충교본>을 통해, 총독부의 설화수록 수집과 교과서 수록 과정이 보다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1910년대 학무국의 반복된 설화채집 작업이 교과서의 활용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면서 전개되었음을 보여 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시준(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및 동 대학원 석사졸업.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박사(일본설화문학), 현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숭실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소장. 저서: 『今昔物語集 本朝部の硏究』(일본), 『금석이야기집 일본부의 구성과 논리』 공편저: 『古代中世の資料と文學』(義江彰夫 編, 일본), 『漢文文化圈の說話世界』(小峯和明 編, 일본), 『東アジアの今昔物語集』(小峯和明 編), 『說話から世界をどう解き明かすのか』(說話文學會 編, 일본), 『식민지 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 기초적 연구 1, 2』 번역: 『일본불교사』, 『일본 설화문학의 세계』, 『암흑의 조선』, 『조선이야기집과 속담』, 『전설의 조선』, 『조선동화집』 편저: 『암흑의 조선』 등 식민지 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자료총서.
김광식(옮긴이)
한양대학교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사졸업. 도쿄학예대학 대학원 사회과교육 박사(학술). 현 숭실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해제│재조일본인 아동을 위한 향토교재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권1 수신 1 신을 공경해라 2 옷차림에 주의해라 3 타인에게 욕을 하지 마라 국어 1 세탁 2 학교 놀이 3 온돌 4 얼음지치기 5 조선의 소와 말 산술 Ⅰ <숫자 쓰는 방법> Ⅱ <세는 방법과 쓰는 방법 연습> <덧셈과 뺄셈 연습> Ⅲ <외는 방법과 쓰는 방법 연습>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권2 수신 1 말투를 주의해라 2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라 3 이웃 사람과 친하게 지내라 국어 1 연락선 2 까치 3 조선인의 옷 4 기미가요 5 지게꾼 6 말하는 남생이(1) 7 말하는 남생이(2) 산술 Ⅰ <외는 방법> <숫자 읽는 방법과 수 쓰는 방법> <복습 하나> Ⅱ<곱하기 구구단> <복습 둘> Ⅲ <복습 셋> 심상소학교 보충교본 권3 수신 제1 서로 도와라 제2 시정始政 기념일 제3 힘을 합쳐라 국어 1 나무 심기 2 스사노오노 미코토 3 알에서 태어난 왕 4 금강산 5 시장 6 하테비 7 나라의 대불과 은진의 미륵불 8 학 9 한자 연습 산술 Ⅰ 덧셈 및 뺄셈 Ⅱ 곱하기 및 나누기 Ⅲ 곱하기 및 나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