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20324 | |
005 | 20200310103557 | |
007 | ta | |
008 | 200309s2018 ulk 000c kor | |
020 | ▼a 9791155310960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4789955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42.519 ▼2 23 |
085 | ▼a 342.53 ▼2 DDCK | |
090 | ▼a 342.53 ▼b 2018z16 | |
110 | ▼a 녹색전환연구소 | |
245 | 1 0 | ▼a 녹색 헌법 : ▼b 개헌에 신중한 당신에게 띄우는 서른 통의 편지 / ▼d 녹색전환연구소 지음 |
260 | ▼a 서울 : ▼b 이매진, ▼c 2018 | |
300 | ▼a 304 p. ; ▼c 22 cm | |
440 | 0 0 | ▼a 이매진의 시선 ; ▼v 04 |
500 | ▼a 부록: 1. 녹색 헌법안이 지닌 특징, 2. 녹색 헌법안 전문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42.53 2018z16 | 등록번호 12125258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매진의 시선 시리즈 4권. 녹색전환연구소를 중심으로 2017년 여름부터 토론회 등을 열어 촛불혁명을 지나온 녹색 시민들의 지혜와 생각을 모았다. 대표 집필을 맡은 이성민(대화문화아카데미)이 서른 통의 편지로 갈무리한 《녹색 헌법》은 녹색 관점에서 새로 쓴 헌법이다. 다른 나라의 좋은 헌법 조항뿐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나온 헌법 개정안들을 참고해 바람직한 헌법을 고민한다.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자는 말로 시작하는 녹색 헌법은 우리 곁에 이미 싹을 틔운 녹색 가치들을 모아 조각보처럼 이어붙인 색깔 있는 헌법이다.
개헌(改憲) 말고 개헌(開憲) ― 낡은 헌법 고치기 넘어 새로운 헌법 열기
개헌의 역사는 위헌의 역사다.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는 헌법을 어겼다. 헌법은 모든 사람의 약속이고, 약속을 바꾸자는 제안을 할 권리도 모든 사람에게 있다. 모든 사람이 여러 색깔의 헌법을 바라고 말해야 한다. 개와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이, 강과 나무를 사랑하는 사람이, 대통령 권한을 줄이자는 사람이, 성차별에 분노하는 사람이 모두 헌법을 쓰자. 낡은 헌법 고치기에 그치지 말고 새 헌법을 열자.
《녹색 헌법》은 진짜 개헌을 하자는 마음이 모여 시작됐다. 녹색전환연구소를 중심으로 2017년 여름부터 토론회 등을 열어 촛불혁명을 지나온 녹색 시민들의 지혜와 생각을 모았다. 대표 집필을 맡은 이성민(대화문화아카데미)이 서른 통의 편지로 갈무리한 《녹색 헌법》은 녹색 관점에서 새로 쓴 헌법이다. 다른 나라의 좋은 헌법 조항뿐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나온 헌법 개정안들을 참고해 바람직한 헌법을 고민한다.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자는 말로 시작하는 녹색 헌법은 우리 곁에 이미 싹을 틔운 녹색 가치들을 모아 조각보처럼 이어붙인 색깔 있는 헌법이다.
‘503’과 ‘716’을 넘어설 헌법 ― 녹색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헌법 쓰기
전직 대통령 둘은 감옥에 가고, 문재인 대통령은 개헌안을 발의했다. 국민소환제, 토지공개념, 공무원 노동 3권, 지방 분권,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제 등을 담고 있다. 헌법 조문은 단어 하나만 놓고도 긴 논의가 이어질 만큼 중요하다. 오래 고민한 개헌안이지만,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낡은 헌법 고치기에 그치거나 아예 개헌에 실패할 수도 있다. ‘헌정사의 비극’ 같은 상투어가 더는 안 나오려면, 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이겨내고 세월호의 비극을 거듭하지 않으려면, 권력 구조나 정부 형태의 변화를 넘어 촛불혁명의 시대정신과 새로운 가치를 담은 헌법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새로운 헌법을 계속 이야기해야 한다.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시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며, 모든 차별을 없애고, 자치를 강화하고 권한을 나누며, 상식에 맞는 법 집행을 보장하고, 성장을 국가의 의무로 삼지 않고 생명 가치를 중시하는 경제 질서를 지향하며, 어린이들이 외울 정도로 쉬운 헌법이어야 한다. 새로운 헌법의 색깔은 녹색이어야 한다.
8장 144조 ― 민주주의, 분권, 녹색의 가치가 어우러진 촛불 헌법
현행 헌법은 10장 130조고, 새로 쓴 녹색 헌법은 모두 8장 144조다. 제헌 헌법부터 이어진 민주주의의 가치와 촛불혁명으로 분출한 전환의 의지를 바탕으로 녹색 시민들이 모여서 새로 쓴 녹색 헌법의 특징은 크게 10가지다.
첫째, 생명과 평화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강조하고, 안전하게 살 권리와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존중하며, 생태환경위원회를 만들어 지속가능성과 환경정의를 추구한다. 둘째, 차별 금지 기준을 강화하고, 성평등과 인간 평등을 추구하며, 공무원 노동 3권을 보장하고, 생명권, 망명권, 정보 인권 등을 구체화한다. 셋째, 비례대표제를 강화하고, 선거권과 피선거권 연령을 16세와 18세로 낮추며, 국민발안권과 국민소환권을 인정한다. 넷째, 주민자치권을 헌법상 권리로 끌어올리고, 자치정부와 자치의회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다섯째, 불체포 특권 등 국회의원의 특권은 줄이고 수는 늘리며, 상시국회제와 예산법률주의를 도입하고, 국정조사를 활성화해 일하는 국회를 만든다. 여섯째,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고, 의원내각제 요소를 강화하며, 감사원을 독립 기구로 만든다. 일곱째, 민주적 통제를 받는 사법행정위원회를 설치하고, 헌법재판관을 12명으로 늘리고 구성을 다양화하며, 생태법원 등 5개 전문 법원을 만들고, 각급 법원에 배심제를 도입한다. 여덟째, 시장 자유와 경제 민주화를 함께 추구하고, 재산권을 행사할 때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아야 하며, 경자유전과 식량 자급을 위해 노력하고, 생태계 질서를 보전하는 농어민의 소득을 국가가 보장하는 등 생명 중심 경제를 지향한다. 아홉째, 국민의 개헌 발의권을 인정하고, 국회의 개헌 발의 요건을 완화하며, 개헌 국민투표를 절차를 고친다. 열째,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 헌법을 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녹색전환연구소(지은이)
2013년 7월에 창립한 민간 연구소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서 녹색 전환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지닌 여러 사람이 참여해 만들었습니다. 녹색 전환은 생태적 지혜, 지속가능성, 다양성 옹호, 비폭력 평화, 직접민주주의, 참여민주주의, 풀뿌리민주주의 등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2015년 2월에 사단법인 등록을 마쳤고, 회원 280여 명이 매달 내는 회비로 운영합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다른 삶의 방식에 관한 진지한 전망을 고민하고 이야기하려 합니다. ‘전환’은 어떤 방향이나 어떤 상태를 다른 방향과 다른 상태로 바꾼다는 의미입니다. 우리 사회의 방향과 상태가 녹색 가치를 바탕으로 탈바꿈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녹색전환’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영향력 있는 대부분의 연구소는 현재 상황의 연장과 확대라는 전제 아래 기성 체제를 유지하고 기득권층의 이익을 수호하는 데 몰두한다는 의심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성장을 지향하는 논리, 사상, 신념으로는 지금 인류 사회 전체가 직면한 환경 위기와 자원 고갈, 경제 공황, 민주주의의 위기는 물론이고, 빈부 격차나 고용, 복지, 교육 문제 등을 제대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의 좌표가 어떤 상황과 맥락에 놓여 있는지 정확히 읽고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는 데 지혜를 모으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긴 호흡이 필요한 일입니다. 서두르지 않고 장기 전망을 준비하려 합니다. 그동안 기본소득과 에너지 전환을 집중해서 연구했고, 매달 회원에게 《전환소식》이라는 뉴스레터를 보냈습니다. 다양한 생태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녹색 가치를 지향하는 여러 단체와 연구소들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지향은 녹색당하고 다르지 않습니다. 지금은 독립된 사단법인 연구소지만, 나중에는 녹색당의 자매 연구소 또는 녹색당의 싱크탱크가 되기를 바랍니다. 회원 가입은 늘 열려 있습니다(전화 070-4820-4900/4998, 이메일 mail2igt@hanmail.net, 홈페이지 igt.or.kr).

목차
1장. 개헌에 신중한 당신에게 편지 1 당신을 떠올리며 개헌안을 마련합니다 2장.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생명중심주의로 편지 2 생명 가치를 소중히 여깁니다 편지 3 평화 헌법이어야 합니다 편지 4 지속가능성과 환경정의를 담습니다 더 읽을 거리 3장. 기본 권리와 기본 의무, 확장과 조화 편지 5 평등한 삶을 지향합니다 편지 6 자유로운 삶을 꿈꿉니다 편지 7 사람답게 살 권리가 중요합니다 편지 8 정당한 절차를 보장합니다 더 읽을 거리 4장. 민주주의를 심화하는 정치 제도 편지 9 민주주의도 기본 가치입니다 편지 10 의원내각제와 비례대표제가 어떻습니까 편지 11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합니다 더 읽을 거리 5장. 자치 분권의 강화 편지 12 주민자치를 확실히 합니다 편지 13 자치의회와 자치정부를 강화합니다 더 읽을 거리 6장. 대화하고 합의하는 입법부 편지 14 선거 제도를 바꾸고 양원제를 만듭니다 편지 15 국회의원 수는 늘리고 특권은 줄입니다 편지 16 민의원과 참의원을 뽑습니다 더 읽을 거리 7장. 민의에 따라 일하는 행정부 편지 17 대통령이 해야 할 구실을 정합니다 편지 18 총리가 해야 할 구실을 정합니다 편지 19 의회해산권과 내각불신임권을 둡니다 편지 20 비상시 권한도 신중하게 발동합니다 편지 21 국가 채무에 한계를 둡니다 편지 22 감사원을 독립 기구로 바꿉니다 더 읽을 거리 8장. 민주성과 전문성을 높인 사법부 편지 23 법원은 민주성과 전문성을 강화합니다 편지 24 헌법재판소를 더 좋게 바꿉니다 편지 25 수사 권력을 민주적으로 통제합니다 편지 26 군사법원은 제자리를 찾아줍니다 더 읽을 거리 9장. 성장 중심에서 생명 중심의 경제로 편지 27 생명 중심의 경제를 지향합니다 더 읽을 거리 10장. 헌법, 살아 있는 규범 편지 28 개헌 절차를 쉽게 합니다 11장.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 헌법 편지 29 쉽고 아름다운 말로 헌법을 고칩니다 12장. 국가의 녹색 전환 편지 30 녹색 정치, 녹색 국가를 계속 이야기하겠습니다 부록 1. 녹색 헌법안이 지닌 특징 2. 녹색 헌법안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