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 : 풀어쓴 언어학 개론 / 개정 4판 (Loan 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범모
Title Statement
언어 : 풀어쓴 언어학 개론 / 강범모 지음
판사항
개정 4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20  
Physical Medium
xiv, 520 p. : 삽화 ; 24 cm
ISBN
978896817833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86-489)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19943
005 20200309092824
007 ta
008 200306s2020 ulka b 001c kor
020 ▼a 9788968178337 ▼g 937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00 ▼2 23
085 ▼a 400 ▼2 DDCK
090 ▼a 400 ▼b 2020
100 1 ▼a 강범모
245 1 0 ▼a 언어 : ▼b 풀어쓴 언어학 개론 / ▼d 강범모 지음
250 ▼a 개정 4판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0
300 ▼a xiv, 520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486-489)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0 2020 Accession No. 1118253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개설하는 언어학 강의를 위한 교재이다. 교양 언어학 강의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과목마다 초점이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언어의 본질에 대한 논의와 언어학의 핵심 개념 및 세부 분야에 대한 소개를 포함한다. 이 책에는 언어, 언어학, 그리고 언어학과 다른 학문과의 관련성에 관한 개괄적인 내용을 모두 담고자 하였다.

언어학은 현실과 동떨어진 상아탑의 학문이 아니다. 언어는 우리 생활이며 언어를 다루는 언어학은 바로 우리 곁에서 늘 일어나는 일에 대한 관찰과 담론이다. 이 책에서 나는 언어와 관련된 핵심 개념을 소개하고 이론적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아울러 각 장 속의 모든 절 끝에 있는 '영화와 언어' 난에서 영화 속에 나타난 여러 가지 언어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 책은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개설하는 언어학 강의를 위한 교재로 쓴 것이다. 교양 언어학 강의는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과목마다 초점이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언어의 본질에 대한 논의와 언어학의 핵심 개념 및 세부 분야에 대한 소개를 포함한다. 이 책에는 언어, 언어학, 그리고 언어학과 다른 학문과의 관련성에 관한 개괄적인 내용을 모두 담고자 하였다.
언어학은 현실과 동떨어진 상아탑의 학문이 아니다. 언어는 우리 생활이며 언어를 다루는 언어학은 바로 우리 곁에서 늘 일어나는 일에 대한 관찰과 담론이다. 이 책에서 나는 언어와 관련된 핵심 개념을 소개하고 이론적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아울러 각 장 속의 모든 절 끝에 있는 “영화와 언어” 난에서 영화 속에 나타난 여러 가지 언어 문제를 논의하였다. 언어학을 “풀어쓴” 이 책은 언어와 언어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이 읽기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범모(지은이)

1977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 입학하여 언어학 개론을 수강한 이후 근 30년 동안 언어학을 공부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1988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1992년 이래 지금까지 고려대학교 언어학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 재직하는 동안 중간에 1년간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에서 초청 방문 학자로 연구하였다.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장(2003~2004), 한국인지과학회 부회장(2004~2005), 한국언어학회 부회장(2013~2014)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 및 역서] 『전자텍스트 부호화 개설: TEI 라이트』(편역) 『한글 사용 빈도의 분석』(공저) 『언어의 과학』(공역)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 사용 빈도의 분석』(공저) 『범주문법』 『영화마을 언어학교』 『언어, 컴퓨터, 코퍼스 언어학』 『언어학의 역사』(역) 『한국어 사용 빈도』(공저) 『의미론 1』, 『의미론 2』(역) 『양화와 복수의 의미론』 『한국어 화제관련어』 『한국어 명사의 화제 의미관계와 네트워크』 『의미론: 국어, 세계, 마음』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제1장 언어의 연구
1. 언어, 언어학, 언어학자
2. 고대 그리스 시대의 언어관과 자의성 문제
3. 중세의 내성문법과 르네상스 이후의 언어관
4. 비교언어학의 성립
5. 구조주의 언어학과 생성문법
소쉬르와 구조주의 촘스키와 생성문법 사용 기반 이론
21세기

제2장 언어의 본질
1. 언어 그리고 언어의 기능
2. 규칙 지배성과 창조성
3. 형식과 내용의 독립성과 의존성
4. 추상성 및 언어의 다른 특성들
5. 인공언어
6. 언어의 여러 측면과 언어학의 하위 분야

제3장 언어의 소리: 음성학
1. 음성학의 하위 분야
조음, 청취, 음향 음향음성학
2. 발음기관
발음기관의 모양 발동부: 허파, 성문, 연구개 발성부
3. 자음
유성음과 무성음 조음 방법 조음 위치
4. 모음
5. 운율

제4장 언어의 소리 체계: 음운론
1. 음성과 음소(음운)
양순파열음: 영어와 한국어 음소(음운)의 정의
2. 음소(음운) 배열과 음절 구조
3. 음운 규칙
4. 변별적 자질
음소들의 부류와 상호 관계 음운 규칙의 기술: 비음화
5. 외래어의 표기

제5장 언어의 단어 구조: 형태론
1. 형태소
형태론과 형태소 이형태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
2. 파생과 굴절
3. 합성어와 숙어
합성어 숙어
4. 기타 조어 방법
5. 생활 속의 조어
‘무서운’ 광고와 미디어

제6장 언어의 문장 구조: 통사론
1. 문장의 구조
어순과 계층 구조 문법관계
2. 통사 규칙과 통사 구조
수형도 (나무그림) 구구조규칙과 하위범주화 X 통사론: 논항과 부가어
3. 귀환규칙
4. 변형
5. 통사와 의미의 관련성
6. 구문과 연어

제7장 언어의 의미: 의미론
1. 의미적 직관과 ‘의미’의 의미
2. 문법 모형 속의 의미론
조합성의 원리 의미와 사전적 정의 의미론과 화용론
3. 지시
지시와 지시물 고유명사 뜻(센스)과 지시(레퍼런스)
사건과 의미역
4. 심적 표상
개념 의미 관계 언어상대주의

제8장 언어의 맥락 의미: 화용론
1. 언어 사용 맥락과 의미
2. 직시
3. 전제
4. 화행
5. 대화상의 함축

제9장 언어와 문자: 세계의 문자와 한글
1. 문자의 발달 단계
그림문자와 단어문자 음절문자 한자 유머
2. 설형문자와 상형문자
설형문자 상형문자
3. 알파벳
4. 한글
한글의 우수성 언어학자 세종대왕
5. 세계의 문자
주요 문자의 출현과 사용 시기 「반지의 제왕」의 문자

제10장 언어와 역사: 세계의 어족과 언어
1. 언어들 사이의 친근성
어족 음성법칙
2. 인구어족
3. 세계의 언어와 유형론
4. 한국어의 기원
5. 언어의 변화

제11장 언어와 심리: 신경언어학과 심리언어학
1. 언어, 뇌, 정신
2. 실어증
뇌 손상과 실어증 실어증과 기타 언어 장애
3. 뇌 연구 방법
실험 영상기기: CT, MRI, PET
4. 언어의 처리
5. 언어 습득과 언어 이론

제12장 언어와 사회: 사회언어학
1. 지역방언과 사회방언
언어 변이와 지역방언 사회방언과 은어
존대법: 힘의 역학
2. 한국인의 방언에 대한 태도
1980년대 2000년대
3. 언어와 성
성 차이와 언어 성차별적 표현
4. 금기어와 속어
5. 언어의 접촉: 피진어와 크리올어

제13장 언어와 문학: 텍스트 장르와 문체
1. 시의 언어
운율 대중가요의 운율
2. 은유
문학적 은유 일상 언어 속의 은유 환유
3. 만화의 언어
4.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레지스터, 장르, 문체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적 분석

제14장 언어와 컴퓨터: 전산언어학
1. 전산언어학과 인공지능
2. 자연언어처리
전산음성학/전산음운론 전산형태론/전산통사론/전산의미론
3. 응용 시스템
음성인식과 음성합성 기계번역 정보검색
기타 응용 시스템
4. 코퍼스언어학
5. 하이퍼텍스트
6.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인터넷 개요 월드와이드웹(WWW) HTML

제15장 언어와 생활: 응용언어학
1. 응용언어학의 분야
2. 언어 교육
3. 소수 언어와 문맹
4. 우리말 어문 생활
한글 맞춤법 우리말의 로마자 표기 외래어 표기
통신 언어에 대하여
5. 번역
6. 법언어학과 언어병리학
법언어학 언어병리학

부록 언어와 논리: 형식의미론의 기초
1. 지시와 진리조건
2. 명제논리와 술어논리
명제논리 술어논리
3. 모형과 의미 해석
4. 내포성
시제와 시점 양상과 가능세계
5. 양화
6. 단어의 의미

■ 참고문헌
■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