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예술이 밥 먹여 준다면 : 예술경영과 공연기획을 위한 입문서

예술이 밥 먹여 준다면 : 예술경영과 공연기획을 위한 입문서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훈희
서명 / 저자사항
예술이 밥 먹여 준다면 : 예술경영과 공연기획을 위한 입문서 / 이훈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책과나무,   2020  
형태사항
215 p. ; 20 cm
ISBN
979115776843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10-215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19611
005 20200304100025
007 ta
008 200303s2020 ulk b 000c kor
020 ▼a 9791157768431 ▼g 036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68 ▼2 23
085 ▼a 700.68 ▼2 DDCK
090 ▼a 700.68 ▼b 2020
100 1 ▼a 이훈희
245 1 0 ▼a 예술이 밥 먹여 준다면 : ▼b 예술경영과 공연기획을 위한 입문서 / ▼d 이훈희 지음
260 ▼a 서울 : ▼b 책과나무, ▼c 2020
300 ▼a 215 p. ; ▼c 20 cm
504 ▼a 참고문헌: p. 210-215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68 2020 등록번호 1118252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연예술에서 프로듀서는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때로는 공연기획자를 겸하기도 한다. 이 책은 공연 결정에서 투자 유치, 제작과, 정산까지의 모든 과정을 지휘하는 예술경영과 공연기획 입문자를 위한 입문서이다. 짠내 나는 현장의 이야기와 자본의 법칙, 마케팅과 공연 수익의 상관관계 등, 관념이 아닌 현장의 지도를 보여 준다. 이제 곧 현장에서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시 배워야 하는 공연기획과 예술경영 입문자들에게 좋은 참고서가 되어 줄 것이다.

“짠내 나는 현장의 이야기와 자본의 법칙, 마케팅과 공연 수익의 상관관계 등
현장에서 모든 것을 다시 배워야 하는 공연기획과 예술경영 입문자들을 위한 책”


우리나라에 ‘예술경영’이라는 개념이 학술적으로 정착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예술경영이란 예술작품을 관객에게 전달하는 기획자이자 생산자이며 관리자로서 예술가들이 질 높은 예술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공연예술의 작품성과 미학적 분석도 중요하다. 하지만 소위 짠내 나는 현장의 이야기와 자본의 법칙, 마케팅과 공연 수익의 상관관계를 먼저 일러 주는 일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현실 인식 교육이라는 생각 아래 연극과 뮤지컬, 국악과 클래식, 무용 등에서 프로듀서의 역할을 다양하게 수행한 저자가 공연기획과 예술경영 입문자들을 위한 책을 집필하였다.
현재 전국에서는 매주 수많은 작품이 공연되고 있으며 수백억 제작비가 들어가는 작품도 많다. 뮤지컬 시장과 현장의 원리를 먼저 접한 후에 연극과 다른 공연 분야의 유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공연예술 중 뮤지컬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그리고 창작방법론이나 마케팅과 관련한 내용에선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장르 이야기를 실었다. 해당 부문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서적이라기보다는, 현장에서 퍼 올린 이야기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그림을 보여 주며 앙트레프레너십(기업가 정신)과 창작에 대한 필자의 의견도 밝혔다.
공연 결정에서 투자 유치, 제작과, 정산까지의 모든 과정을 지휘하는 예술경영과 공연기획 입문자를 위한 이 책이 현장에서 직접 작가와 작곡가, 연출가와 무대감독, 음향감독, 안무가와 조명감독과 스태프들, 그리고 배우를 조직해 감독하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역할을 해내는 데 좋은 참고서가 되어 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훈희(지은이)

언론사와 광고회사 근무 이력을 바탕으로 문화전문 인터넷 신문 '뉴스컬처'를 창간하고, 서울에서 문화예술경영 석사와 예술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현재 문화 프로듀서와 문화예술 심사위원 및 공공기관 채용 면접관으로 활동하며, '한국미디어문화협회' 이사장으로 문화예술 및 디자인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브런치 작 가이자 세종도서 작가로 현장실무의 노하우를 중심으로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 악몽 혹은 호접몽
뮤지컬이 ‘돈’이 되기까지
예술경영의 시대
판타지와 막장, 그 사이
스타 마케팅과 이 바닥의 구조
투자사 혹은 대출회사
라이선스 공연의 참패
라이선스도 아니면 창작 뮤지컬?
글로벌 시장과 뮤지컬

2 기획자의 수첩
프리 프로덕션
발품을 판다는 것
공연기획자의 인사이트
현장에서 배우지 못하는 것들
무대를 꽃피우는 관찰과 사유, 창작노트
이야기를 위한 생각의 축적
A Star Is Born
공연의 전조: 작품 구상과 숙성

3 자본과 문화권력
공연기획자는 시장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 바닥의 신뢰 또는 의리
공연예술과 마케팅의 원리
자본은 왜 ‘문화마케팅’에 열광하는가
제품을 팔 것인가, 문화를 팔 것인가
문화권력, SNS Code
표적집단과 빅데이터

4 공연예술시장의 마중물
디지털 혁명과 공연예술의 변화
미디어가 만든 서사와 캐릭터
우린 왜 미친 듯이 노는가
한국 청년과 앙트레프레너십(entrepreneurship)

표 목차
참고 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