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1 : 기본모듈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1 : 기본모듈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Wiggins, Grant P., 1950- McTighe, Jay, 1949-, 저 강현석 康現碩, 1965-, 역 유제순 柳濟順, 1966-, 역 조인숙, 역 이지은 李知恩, 1980-, 역
서명 / 저자사항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 기본모듈. 1 / Grant Wiggins, Jay Mctighe 지음 ; 강현석 [외]공역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3  
형태사항
259 p. ; 23 cm
원표제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ISBN
9788925407142
일반주기
공역자: 유제순, 조인숙, 이지은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urriculum planning --United States Curriculum-based assessment --United States Learning Comprehension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18376
005 20200224114215
007 ta
008 200224s2013 ggk b 001c kor
020 ▼a 9788925407142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375/.001 ▼2 23
085 ▼a 375.001 ▼2 DDCK
090 ▼a 375.001 ▼b 2013z1 ▼c 1
100 1 ▼a Wiggins, Grant P., ▼d 1950-
245 1 0 ▼a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 ▼b 기본모듈. ▼n 1 / ▼d Grant Wiggins, ▼e Jay Mctighe 지음 ; ▼e 강현석 [외]공역
246 1 9 ▼a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246 3 9 ▼a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3
300 ▼a 259 p. ; ▼c 23 cm
500 ▼a 공역자: 유제순, 조인숙, 이지은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Curriculum planning ▼z United States
650 0 ▼a Curriculum-based assessment ▼z United States
650 0 ▼a Learning
650 0 ▼a Comprehension
700 1 ▼a McTighe, Jay, ▼d 1949-, ▼e
700 1 ▼a 강현석 ▼g 康現碩, ▼d 1965-, ▼e
700 1 ▼a 유제순 ▼g 柳濟順, ▼d 1966-, ▼e
700 1 ▼a 조인숙, ▼e
700 1 ▼a 이지은 ▼g 李知恩, ▼d 1980-, ▼e
900 1 0 ▼a 위긴스, 그랜트, ▼e
900 1 0 ▼a 맥타히, 제이,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13z1 1 등록번호 11182468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은 Backward Design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여러 가지 의미로 불리고 있다. 역방향 설계, 후방위 설계, 역으로 생각하는 설계방식, 거꾸로 하는 설계 방식, 역행 설계, 백워드 디자인 등등이 그것이다. 여러 가지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이 설계 방식의 핵심은 3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에 있다. 첫째,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둘째, 수락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셋째, 학습경험과 수업 계획하기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방식에서 보면 둘째 단계와 셋째 단계가 그 순서가 역전되어 있다.

이 책은 Wiggins와 McTighe가 2011년에 발행한 을 우리말로 옮긴 것으로서 백워드 설계 방식에 대한 가장 최신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책의 제목으로 보면 질 높은 단원의 창출을 위한 UbD 안내서이다. 잘 아시다시피 UbD는 Backward Design 방식을 지칭하는 것이며, 이 책은 단원 구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과거 2000년대 초반에 소개된 백워드 설계 방식에 대한 새로운 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은 Backward Design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여러 가지 의미로 불리고 있다. 역방향 설계, 후방위 설계, 역으로 생각하는 설계방식, 거꾸로 하는 설계 방식, 역행 설계, 백워드 디자인 등등이 그것이다. 여러 가지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이 설계 방식의 핵심은 3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에 있다. 첫째,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둘째, 수락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셋째, 학습경험과 수업 계획하기이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방식에서 보면 둘째 단계와 셋째 단계가 그 순서가 역전되어 있다.

백워드 설계 방식에 대한 책은 지금까지 3권 정도가 한국에 소개되고 있다. 2001년에 출간된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1999년의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핸드북>,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 교사 연수를 위한 워크북> 등이다. 이들 3권의 책은 모두 UbD에 대한 소위 버전 1.0 해당되는 것들이다. 특히 핸드북은 21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역서는 8개의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 핸드북은 전체적으로 모듈에 의한 본문과 각주, 용어해설, 풍부한 부록들이 실려 있어서 책의 내용을 토대로 독자들이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설계 단계에 따라서 본문이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첫째 부분은 본서의 설계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다. 여기에는 도입 부분과 이해를 이해하는 일, 모듈 1부터 모듈 3까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해를 명료히 하는 일, 백워드 디자인 과정, UbD 템플릿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역서는 기존의 방식과는 크게 달라진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역서에서는 크게 8개의 모듈(A 모듈에서부터 H 모듈까지)을 통하여 UbD를 소개하고 있다. 각 모듈은 다음과 같다.

A 모듈: UbD의 주요 아이디어
B 모듈: UbD 템플릿
C 모듈: 출발점
D 모듈: 초기의 단원 개요 개발
E 모듈: 상이한 유형의 학습 목표
F 모듈: 본질적 질문과 구체적 이해
G 모듈: 이해의 증거 결정과 평가 과제 개발
H 모듈: 이해를 위한 학습

그리고 각 모듈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모듈 내에 있는 주요 아이디어에 관한 내러티브적 논의
-단원 설계를 위한 안내된 연습문제와 워크시트 및 설계 팁
-최근의 설계 예시
-자기-평가를 촉진하는 준거(설계 기준) 검토
-심화 학습을 위한 자료 목록

특히 이번 새로운 버전에서는 이전 책들에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내용들이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설계 템플릿이 달라졌다. 달라진 템플릿 양식은 B 모듈에 상세히 소개되고 있다. 둘째, 설정되는 단원 목표 유형이 달라졌다. 단원의 학습 목표가 학습의 세 가지 두드러진 유형과 연계되어 설정되고 있다. 여기에는 전이(T), 의미(M), 습득(A)이 있다. 의미에는 이해와 본질적 질문이 포함되며, 습득에는 지식과 기능이 포함된다. 셋째, 3단계의 학습계획은 각각의 유형을 적절하게 다루어야만 한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역할은 A-M-T의 목표에 따라 다양하다. 그리고 지식과 기능의 획득은 장기적인 목표가 아닌 이해와 전이 능력을 위한 수단이다. 넷째, 2단계와 3단계에는 1단계의 목표 유형과 관련된 코드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번 역서는 UbD에서 특히 양질의 단원을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모듈로 이루어지는 안내서 형식을 띠고 있다. 따라서 본 역서는 실천가들에게 매우 유익한 안내서로서 훌륭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원저자들도 얘기하고 있듯이, 이 자료가 모듈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은 사용자들이 모듈을 순서대로 따를 필요가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독자 여러분들은 이 안내서를 요리책으로 생각해주면 좋겠다. 요리책에는 순서대로 상세하게 전식, 메인, 후식을 만드는 조리법이 들어 있다. 이와 비슷하게 이 안내서도 단원의 부분(단원 템플릿의 요소)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요리책이 있다손 치더라도, 여러분은 그 요리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거나 혹은 책에 나와 있는 모든 조리법을 순서대로 따를 필요는 없다. 단원 설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수업에서 본서를 같이 읽고 좋은 의견을 내준 수강생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그리고 수업 시간에 현장 교사들의 관심과 호응이 많았다. 과거 내용보다 새로운 버전이 출간된 소식을 접하고 바로 한국에 소개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작업을 서둘러 진행하였다. 현장에서 이전보다 새롭고 쉬운 지침서를 기다리는 교사들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였다. 사정이 이러다 보니 많은 실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독자 여러분들의 관심과 지적을 기대한다.

오늘날 교육과정-수업-평가 영역에서 이해중심 교육체제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 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교실 수업을 내실 있게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출판계 사정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작업을 허락해주신 교육과학사 사장님과 관계 직원 여러분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이 맥타이(지은이)

수행평가를 만들고 공유하며 전문성 개발을 제공하기 위해 주(州)의 학교들이 함께 협동하여 작업하는, 메릴랜드 평가 컨소시엄의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메릴랜드 주 교육청에서 학교 향상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교사, 자원 전문가, 그리고 주 정부의 기숙학교 강화 프로그램의 지도자로 일해 왔다.

Grant Wiggins(지은이)

뉴저지, 페닝톤에 있는 비영리 목적의 교육 조직인 학습, 평가 그리고 학교 구조를 위한 연구회(CLASS)의 회장이다. CLASS는 학교, 지역, 주 교육부의 다양한 개혁 이슈에 대해 상담하고, 국제적 회의와 워크숍을 조직하며, 비디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평가와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자료를 인쇄하여 배부한다.

강현석(옮긴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박사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Post-Doc. Fellow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역임 (전)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장 (현) 한국교육과정학회장

유제순(옮긴이)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경북대 대학원 교육과정 전공 교육학 박사 청주교대 연수원장겸 교직부장 역임 현 청주교대 초등교육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서문/3

· 서론/13

A 모듈_ UbD의 주요 아이디어

교육 목적으로서의 이해 21
이해란 무엇인가? 26
훌륭한 설계 = “백워드” 설계 27
전형적인 단원 설계에서 쌍둥이 과실 피하기 31
최상의 학습 설계에 대한 숙고 32
설계 기준(Design Standards) 35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이슈에 관한 추가 정보 37

B 모듈_ UbD 템플릿

1단계: 바라는 결과 명료화하기 48
전이 48
의미 49
습득 51
기준 및 기타 설정된 목표 53
2단계: 필요한 증거 결정하기 60
3단계: 학습 계획 개발하기 63
설계 기준 65
UbD 이전과 이후의 예시 67
단원 예시 72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이슈에 관한 추가 정보 72

C 모듈_ 시작점

결과 대 과정 78
설계 결정 80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이슈에 관한 추가 정보 89

D 모듈_ 초기 단원 개요 개발

1단계-바라는 결과는 무엇인가? 97
기능에 중점을 둔 바라는 결과 102
장기적인 이해 목표는 어떻게 단기적인 내용 습득의 교수와 평가를 형성하는가? 103
목적에 관한 질문 105
2단계-단원 목표 성취의 증거는 무엇인가? 106
이해 = 자기 단서 108
평가 = 단지 형식이 아닌 타당한 증거 109
3단계-목표와 증거를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어떻게 성취될 것인가? 112
백워드 설계에서의 일치와 정렬: 두 가지 질문 시험 115
자기 평가-D 모듈에 대한 검토 준거 120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이슈에 관한 추가 정보 120

E 모듈_ 상이한 유형의 학습목표

1단계-바라는 결과 126
2단계와 3단계에 뒤따르는 것은 무엇인가? 130
참된 이해 대 단지 이해한 것처럼 보이는 것 131
전이: 전이인 것과 아닌 것 139
자기평가-E 모듈에 대한 검토 준거 144
영양 단원의 재검토 144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쟁점에 관한 추가 정보 146

F 모듈_ 본질적 질문과 이해

주요 아이디어와 템플릿 156
본질적 질문 157
비본질적(그러나 교사에게는 중요한) 질문 162
목적이 형식보다 우선이다 165
본질적 질문과 유아 166
본질적 질문과 기능의 교수 169
이해의 틀 만들기 175
이해 대 자명한 이치 178
이해와 기능 181
자기평가-F 모듈의 검토 준거 184
영양 단원의 재검토 184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쟁점에 관한 추가 정보 187

G 모듈_ 이해의 증거 결정과 평가 과제 개발

이해의 증거 192
전이의 평가 196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 198
여섯 가지 측면의 활용 200
오개념 경계 208
전이의 평가는 자율성 평가를 의미 210
교과서 평가 210
자기 평가-G 모듈에 대한 검토 준거 211
영양 단원의 재고 212
이 모듈의 개념과 쟁점에 대한 추가 정보 214

H 모듈_ 이해능력 개발을 위한 학습

학습 계획을 코딩하기 225
이해에 도달하기 227
도전적인 탐구를 통한 이해의 개발 229
교수 기술과 이해를 위한 교수 233
전이의 학습 237
교과서의 역할 243
학생들을 A-M-T로 유도할 필요성 244
자기평가-H 모듈의 검토 준거 245
영양학 단원의 재고 245
이 모듈의 아이디어와 이슈에 관한 추가 정보 247

· 후기/249

· 저자소개/251

·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255

· 찾아보기/25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