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17593 | |
005 | 20200219172854 | |
007 | ta | |
008 | 200214s2019 ulk 000c kor | |
020 | ▼a 9791165030124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25 ▼2 23 |
085 | ▼a 897.27 ▼2 DDCK | |
090 | ▼a 897.27 ▼b 이승현 한 | |
100 | 1 | ▼a 이승현 |
245 | 1 0 | ▼a 한국 근대화와 모더니즘 희곡 / ▼d 이승현 지음 |
260 | ▼a 대전 : ▼b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9 | |
300 | ▼a 230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19-23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7.27 이승현 한 | 등록번호 1513490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60-70년대 한국 모더니즘 희곡에 나타난 '한국적 근대'에 대한 대응과 희곡의 양식(style)적 특징의 상관성을 살핀다. 당시는 이념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하나의 민족을 상상하며, 경제 발전에 전력을 다하던 시기였다. 군사정권에 의해 주도된 '한국적 근대'는 한국 사회의 심각한 모순을 안고 있었다.
다양한 양식을 활용한 한국 희곡은 '한국적 근대'에 대한 나름의 대응으로 크게 부조리극, 서사극, 전통의 현대화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한국 모더니즘 희곡은 이후 다양한 현대극 출현에 초석을 마련했다. 모더니즘을 통한 한국 희곡의 사적 이해는 리얼리즘이나 포스터모더니즘을 아우르며, 일제강점기부터 오늘날까지 다양한 한국 연극의 변화를 정리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
- 한국 현대극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시선
이 책은 1960-70년대 한국 모더니즘 희곡에 나타난 ‘한국적 근대’에 대한 대응과 희곡의 양식(style)적 특징의 상관성을 살핀다. 당시는 이념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하나의 민족을 상상하며, 경제 발전에 전력을 다하던 시기였다. 군사정권에 의해 주도된 ‘한국적 근대’는 한국 사회의 심각한 모순을 안고 있었다. 다양한 양식을 활용한 한국 희곡은 ‘한국적 근대’에 대한 나름의 대응으로 크게 부조리극, 서사극, 전통의 현대화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한국 모더니즘 희곡은 이후 다양한 현대극 출현에 초석을 마련했다. 모더니즘을 통한 한국 희곡의 사적 이해는 리얼리즘이나 포스터모더니즘을 아우르며, 일제강점기부터 오늘날까지 다양한 한국 연극의 변화를 정리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Chapter 01 서언(序言) = 13 1. 기존 논의와 문제제기 = 13 2. 경제 성장과 모더니즘 양식 = 26 Chapter 02 ''''시적 연극''''과 부조리극 양식 = 45 1. 부조리라는 현대정신 = 45 2. 근대 인식에 대한 거부 = 59 3. 부조리극 양식의 활용 = 76 Chapter 03 ''''서사적 연극''''과 서사극 양식 = 95 1. 서사극 이론의 대두 = 95 2. 근대 제도에 대한 비판 = 106 3. 서사극 양식의 적용 = 128 Chapter 04 ''''한국적 현대극''''과 전통의 현대화 = 151 1. 민족예술의 재발견 = 151 2. 대안적 가치의 모색 = 165 3. 전통극 형식의 현대화 = 180 Chapter 05 모더니즘 희곡의 성과 = 195 1. 리얼리즘 양식의 거부 = 195 2. 연극 전문화와 다양화 = 202 결어(結語) = 213 참고문헌 =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