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형익
서명 / 저자사항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 / 최형익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세창출판사,   2019  
형태사항
207 p. ; 18 cm
총서사항
세창명저산책 ;068
ISBN
9788955865806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206-20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017533
005 20200303171332
007 ta
008 200214s2019 ulk b 000c kor
020 ▼a 9788955865806 ▼g 02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5.4 ▼2 23
085 ▼a 335.4 ▼2 DDCK
090 ▼a 335.4 ▼b 2019z3
100 1 ▼a 최형익
245 1 0 ▼a 마르크스의 『자본론』 읽기 / ▼d 최형익 지음
260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9
300 ▼a 207 p. ; ▼c 18 cm
490 1 0 ▼a 세창명저산책 ; ▼v 068
504 ▼a 참고문헌 : p. 206-207
830 0 ▼a 세창명저산책 ; ▼v 068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35.4 2019z3 등록번호 1513489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자본론』은 단순한 경제학 저작이 아니다. 그 이상의, 자본주의 이후 사회의 필연성을 논했다는 측면에서 정치학 저작이라는 평가를 획득한다. 마르크스 사상사에 있어서도 『자본론』이 차지하는 지위는 결정적이다. 『자본론』은 근대 부르주아 사회, 곧 자본주의 경제제도를 하나의 역사적 형태로 간주하여 그 사회의 고유한 경제법칙의 관점에서 다룬다. 즉 『자본론』은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대한 분석임과 동시에 자본주의를 변화시키는 역사적 주체에 대한 해석이기도 하다.

지난 천 년 동안 인류에게 가장 영향을 끼친 사상가는 누구인가?
많은 사람이 마르크스를 꼽았고, 마르크스가 위대한 인물이었다는 점은 인정할 수밖에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마르크스가 이러한 평가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그가 『자본론』의 저자이기 때문이다. 『자본론』은 단순한 경제학 저작이 아니다. 그 이상의, 자본주의 이후 사회의 필연성을 논했다는 측면에서 정치학 저작이라는 평가를 획득한다. 마르크스 사상사에 있어서도 『자본론』이 차지하는 지위는 결정적이다. 『자본론』은 근대 부르주아 사회, 곧 자본주의 경제제도를 하나의 역사적 형태로 간주하여 그 사회의 고유한 경제법칙의 관점에서 다룬다. 즉 『자본론』은 자본주의 경제구조에 대한 분석임과 동시에 자본주의를 변화시키는 역사적 주체에 대한 해석이기도 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프롤로그 = 5 
제1장 마르크스는 왜『자본론』을 썼을까? = 15 
제2장 자본주의 경제세포로서의 ''''상품'''' = 25 
제3장 화폐는 어떻게 상품의 왕이 되었나? = 51 
제4장 자본의 역사적 탄생과정으로서의 시초축적 = 65 
제5장 임금노동과 잉여가치 = 87 
제6장 사회적 노동시간과 잉여가치 생산 = 105 
제7장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 = 127 
제8장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법칙 = 167 
제9장 자본주의 사회 이후 = 185 
에필로그 = 199 
참고문헌 = 20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