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17419 | |
005 | 20220824111651 | |
007 | ta | |
008 | 200214s2020 ggk b 000c bkor | |
020 | ▼a 9788950984779 ▼g 031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270.2092 ▼2 23 |
085 | ▼a 270.2092 ▼2 DDCK | |
090 | ▼a 270.2092 ▼b 2020 | |
100 | 1 | ▼a Lane Fox, Robin, ▼d 1946- |
245 | 1 0 | ▼a 아우구스티누스 = ▼x Augustinus : ▼b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고백 / ▼d 로빈 레인 폭스 지음 ; ▼e 박선령 옮김 |
246 | 1 9 | ▼a Augustine : ▼b conversions and confessions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20 | |
300 | ▼a 903 p. ; ▼c 25 cm | |
440 | 0 0 | ▼a KI신서 ; ▼v 8821 |
504 | ▼a 참고문헌: p. 840-842 | |
600 | 0 0 | ▼a Augustine, ▼c of Hippo, Saint, ▼d 354-430 |
600 | 0 0 | ▼a Augustine, ▼c of Hippo, Saint, ▼d 354-430. ▼t Confessiones |
650 | 0 | ▼a Christian saints ▼z Algeria ▼z Hippo (Extinct city) ▼v Biography |
700 | 1 | ▼a 박선령, ▼e 역 ▼0 AUTH(211009)109904 |
900 | 1 0 | ▼a 폭스, 로빈 레인,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270.2092 2020 | Accession No. 1118243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 사상의 초석을 마련하고 그리스도교의 전통을 만든 위대한 책,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은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 영국의 저명한 고대 역사학자 로빈 레인 폭스는 쾌락에 빠져 방황하던 청년 아우구스티누스가 어떤 생각들을 통해 위대한 사상가가 될 수 있었는지, 그가 회심과 개종을 한 결정적 순간에 주목해 이 책을 썼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고백록》을 쓰기까지 40여 년의 지적 탐구 여정을 방대한 문헌과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추적하며 그의 삶과 여정을 입체적으로 재현한다. 이 책을 통해 과거에 대한 반성, 진리를 향한 끝없는 탐구,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재창조한 아우구스티누스라는 인물을 새롭게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중세 신학의 아버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의 삶의 여정을 마술처럼 재현한 기념비적 역작
“이 책을 대체할 만한 전기는 향후 수십 년간 없을 것이다!”
저명한 역사학자 로빈 레인 폭스에 재탄생한 완벽한 전기
기원후 4세기 말, 40대 초반의 한 남자가 신에게 바치는 내밀한 기도문을 쓰기 시작했다. 기나긴 고독의 시간 속에서 탄생한 것은 라틴어로 쓰인 한 편의 긴 글이었다. 어린 시절의 도둑질, 내연녀와의 관계, 마니교 신자였던 경험, 성에 탐닉했던 일 등 과거의 방황을 고백하고 반성하며 신에게로 회심하는 자신의 감정을 담은 이 글은 그리스도교 세계관을 형성하고 서양 사상의 초석이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고백록(confession)》으로 잘 알려진 이 글은 단순한 신앙 고백이 아니다. 진리를 향한 열망, 인간에 대한 깊은 고뇌, 과거의 자신에 대한 치열한 반성이 담긴 책으로 그리스도교 전통의 뿌리를 만들고 인류의 운명을 바꾼 역사상 유례없는 숭고한 자기 고백이다.
“아우구스티누스를 소개한 짧은 책은 많이 있다. 여기에 다른 책을 추가할 이유는 없을 듯해서 나는 긴 책을 쓰기로 했다” - 서문 중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고백록》을 쓰기로 결심한 결정적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인 로빈 레인 폭스는 그의 믿음이 전환되는 이 순간에 주목했다. 인생의 여러 측면 중에서도 그가 마니교도로 살았던 시절, 진리를 향한 끝없는 추구, 신비에 대한 열망, 그가 겪은 회심의 본질 등을 날카롭게 조명하며 그의 지적 여정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해냈다. 한 편의 역사소설처럼 밀도 있게 서술된 이 책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던 청년 아우구스티누스의 뜨거운 열정 속으로 끌려들어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모두 아우구스티누스가 흘린 눈물에 빚을 지고 있다!”
인류 최초의 참회록, 《고백록》은 어떻게 탄생한 것인가
내면의 괴로움과 방황을 해결하기 위한
한 청년의 고뇌와 깨달음의 기록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전체에서 영향력이 큰 인물이지만 성인(聖人)이 되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354년에 비그리스도교인 아버지와 그리스도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아우구스티누스는 30세 이전까지는 신의 본질과 세계를 잘 알지 못했다. 그의 청년 시절은 수사학과 마니교, 신플라톤주의 연구에 몰두하면서 욕망과 탐욕적인 생활의 연속이었다.
저자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젊은 시절부터 가졌던 삶에 대한 뜨거운 열망, 지식과 믿음에의 추구가 결국 그를 위대한 사상가의 삶으로 이끌었음을 보여주면서 뛰어난 통찰력을 가진 아우구스티누스의 젊은 시절을 재창조한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가 남긴 수십 권의 서적과 수백 장의 편지를 토대로 《고백록》을 쓰기 시작한 전후의 삶과 《고백록》의 핵심 내용을 포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또한 기존의 연구자들이 다루지 않았던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과 괘종”이 어떤 맥락에서 일어나게 된 것인지를 주요하게 밝힌다.
아우구스티누스가 개종한 후 《고백록》을 쓰기까지 10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저자는 《고백록》에 담긴 사상이 갑작스러운 관점의 변화가 아니라 10년 동안 묵상한 결과물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글을 일단 쓰기 시작한 뒤로는 신속하게 단번에 써내려갔고 결과적으로 이 책은 문학, 역사, 종교, 철학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대체 불가능한 고전이 되었다.
찬란한 로마문화가 붕괴되기 시작한 혼돈의 시기, 북아프리카의 시골 청년의 뜨거운 고백이 어떻게 인류의 운명을 바꿀 수 있었는지 아우구스티누스의 삶을 드라마틱하게 재현해낸 이 책을 통해 신학자 이전의 인간 아우구스티누스를 만나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서문 1. 고백과 회심 2. 세속적인 야심 1부 탕아 1. 죄는 어디에서 오는가 2. 가족의 상흔 3. ‘이렇게 작은 소년이, 그토록 큰 죄인이라니’ 4. 해로운 우정 5. 카르타고에서의 새로운 생활 2부 마니교 1. 그리스도의 사도 2. 살아 있는 복음 3. 마니교도로서 보낸 9년 4. 생계를 위해 거짓말을 팔다 5. 인도된 만남 6. 영원한 로마 3부 회심에 이르는 길 1. 밀라노와 암브로시우스 2. ‘내 옆에서 떨어져 나가다’ 3. 지체 높은 친구들 4. 다시 태어난 플라톤 5. 안으로 그리고 위로 6. 섹스, 야심, 철학 7. 정원으로 4부 이성과 신앙 1. 부드러운 철회 2. 시골별장생활 3. ‘눈물로 침상을 적시며’ 4. 아우구스티누스와 아우구스티누스 5. 다시 태어나다 6. 모니카의 마지막 나날들 7. 권위와사랑 8. 하나님의종 9. 참된 종교 5부 신성한 분투 1. 마지못해 맡은 사제직 2. 죄인과 구도자 3. 실행에 옮기다 4. ‘방탕하거나 술 취하지 말며……’ 5. 오만한자들의 자리 6부 고백록 1. 7개의 단계 2. 바울과 나사로 3. 편지를 통한 인연 4. 놀라운 은총 5. 추문의 먹이 6. 짐을 나누어지다 7. 고백 8. 제7천국 후기 / 참고 문헌 /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