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013437 | |
005 | 20200116131114 | |
007 | ta | |
008 | 200116s2019 ulkad 000c kor | |
020 | ▼a 9788947545457 ▼g 0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2.6322 ▼a 338.544 ▼2 23 |
085 | ▼a 332.6322 ▼2 DDCK | |
090 | ▼a 332.6322 ▼b 2018z20 ▼c 2020 | |
110 | ▼a 한경Business | |
245 | 2 0 | ▼a (돈의 흐름을 꿰뚫는) 산업 트렌드 2020 / ▼d 한경Business, ▼e 전병서 엮음 |
260 | ▼a 서울 : ▼b 한국경제신문, ▼c 2019 | |
300 | ▼a 219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업계 최신 동향과 경쟁구도 글로벌시장 분석 ; 주식 투자를 위한 필독서 | |
700 | 1 | ▼a 전병서,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2.6322 2018z20 2020 | Accession No. 1118216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2.6322 2018z20 2020 | Accession No. 1513530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2.6322 2018z20 2020 | Accession No. 1118216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2.6322 2018z20 2020 | Accession No. 1513530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국의 무분별한 국채 발행과 통화 증발은 결국 부채 과잉, 유동성 과잉으로 유동성이 한곳에 쏠리면 어김없이 버블 붕괴와 금융 위기를 몰고 왔고 10년을 주기로 하는 세계 금융 위기 사이클을 만들었다. 1989년 경제 위기, 1999년 아시아 경제 위기, 2009년의 글로벌 경제 위기가 바로 그것이다. 미국은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부채를 한 단위 늘려도 국내총생산(GDP)이 한 단위가 늘어나지 않는 ‘부채의 덫’에 빠졌다. 그래서 이번에도 세계 경제에 10년 주기의 경제 위기가 찾아오는 것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있다.
한경비즈니스가 《산업 트렌드 2020》을 펴내는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이다. 이 책은 알토란같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았다. 전체 산업을 34개 업종으로 분류했고 각 업종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고, 특히 해당 산업의 최신 이슈를 한자리에 모아 분류했다. 그뿐만 아니라 각 산업별 주요 기업에 대한 정보도 빠뜨리지 않고 넣었다.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책 전반에 걸쳐 그래픽 중심으로 편집했다. 경제 주체들이 사업 계획을 세우고 투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20년 세계 경제의 경기 하강, 빅 쇼트인가 쇼트 홀인가?
산업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는 투자와 긴밀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제는 ‘대금융의 시대’다. 2019년 세계 국내총생산(GDP)은 87조 달러 규모인데 비해 통화량은 96조 달러로 세계 GDP의 1.1배이고 부채는 184조 달러로 2.1배, 파생금융상품은 532조 달러로 실물 경제의 6.1배나 된다. 금융이라는 꼬리가 몸통인 실물 경제를 흔드는 시대다. 이는 세계의 기축 통화 패권국 미국이 달러를 무작정 찍어 내는 바람에 생긴 일이다. 미국의 정부 부채는 이미 GDP의 107%를 넘어섰다. 2019년 미국의 GDP는 21조 달러지만 정부 부채는 23조 달러다. 미국의 1인당 소득이 6만5000달러지만 1인당 부채는 이를 넘어섰다. 금융 강국 미국의 빛과 그림자다.
세계 경제에 달러의 범람은 미국의 정치인들이 만든 것이다. 미국의 역대 대통령 가운데 재임 기간에 빚을 가장 많이 늘린 대통령은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다. 2010~2017년 8조5900억 달러의 부채를 증가시켰다. 다음은 조지 부시 대통령으로 2002~2009년 5조8500억 달러를 늘렸다. 3위는 도널드레이건 대통령으로 1982~1989년 1조8600억 달러를 늘렸다. 경기를 회복시켰다고 큰소리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이후 2조8000억 달러의 국채를 늘려 역대 대통령 중 최단기간에 가장 많은 빚을 늘렸다.
미국의 무분별한 국채 발행과 통화 증발은 결국 부채 과잉, 유동성 과잉으로 유동성이 한곳에 쏠리면 어김없이 버블 붕괴와 금융 위기를 몰고 왔고 10년을 주기로 하는 세계 금융 위기 사이클을 만들었다. 1989년 경제 위기, 1999년 아시아 경제 위기, 2009년의 글로벌 경제 위기가 바로 그것이다. 미국은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부채를 한 단위 늘려도 국내총생산(GDP)이 한 단위가 늘어나지 않는 ‘부채의 덫’에 빠졌다. 그래서 이번에도 세계 경제에 10년 주기의 경제 위기가 찾아오는 것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있다.
한경비즈니스가 《산업 트렌드 2020》을 펴내는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이다. 이 책은 알토란같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았다. 전체 산업을 34개 업종으로 분류했고 각 업종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고, 특히 해당 산업의 최신 이슈를 한자리에 모아 분류했다. 그뿐만 아니라 각 산업별 주요 기업에 대한 정보도 빠뜨리지 않고 넣었다.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책 전반에 걸쳐 그래픽 중심으로 편집했다. 경제 주체들이 사업 계획을 세우고 투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 팍스 코리아나의 꿈 CHAPTER 1 2020년 세계 경제의 경기 하강, 빅 쇼트인가 쇼트 홀인가 · CHAPTER 2 미·중 무역 전쟁의 미래는 · CHAPTER 3 한국의 최대 수출 시장, 중국 경제는 위기인가 · CHAPTER 4 한국, ‘4차 산업혁명’의 커브 길에서 헛발질하면 안 된다 · 전기·전자·통신 스마트폰: 글로벌 시장 성숙기 현상 지속…5G, 폴더블폰이 이끌 미래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회복 시그널 감지…서버·모바일 메모리 수요 성장 기대 디스플레이: LCD TV 패널 가격 안정화, 폴더블 패널 양산, OLED 시장 확대 가전: 프리미엄 가전 효과…신가전 2.0 시대 열린다 통신: 5G 마케팅 비용으로 휘청거린 통신사, 관건은 ‘ARPU’ 증가 전자재료: 2차전지 시장, 2020년은 ‘유럽연합’이 이끈다 · 자동차·운송장비 자동차: 계속되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 부진…미래차 개발 통해 새판 짜기 나선 기업들 자동차 부품 & 타이어: 완성차 수요 감소에 벼랑 끝 내몰리는 부품 업체들 · 건설·부동산 건설: 암울한 건설 산업…2020년에도 ‘침체’ 지속 부동산·건설자재: 2020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 0.8% 하락 예상 · 유틸리티 전기·가스 : 에너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한국전력 전력 조달 단가 낮아지는 중 · 철강 및 중공업 철강·비철금속: 글로벌 수요 둔화 전망…불확실성 커지며 중국·선진국 동반 부진 조선·기계: 2050년까지 배기가스 50% 감축… 조선업 판 바꾸는 ‘IMO-2050’ · 에너지 및 화학 정유·에너지: 업황 부진 이어 가던 정유업 반등…화학 부문 투자 늘리며 ‘변신’ 화학: 공급은 넘쳐나는데 수요는 없어…화학업계 깊어지는 한숨 · 금융 은행: 저금리·규제 강화 등 ‘수익성’ 빨간불…은행업계 “‘혁신’만이 살길” 증권: 금융 상품 거래 수익 의존 벗어나 새 먹거리 찾아나서는 증권업계 보험: 이어지는 장기보험 손해율 상승…생보·손보 모두 ‘역마진’ 고민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시험대 오른 카드사 수익성 · 유통 백화점: ‘쇼퍼테인먼트’와 ‘명품 강화’로 성장 이어 간다 대형마트: 오프라인 부진…초저가·온라인 강화로 재도약 노려 편의점: 오프라인 부진 속에서도 선방한 편의점…2020년에도 꾸준한 성장 예상 · 제약·바이오 제약: 2020년 1700조원 시장…국내 기업들의 기술수출 성과 이어져 바이오: 2021년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 규모 3440억 달러로 ‘껑충’ · 미디어 및 인터넷 인터넷 포털 : ‘네이버 vs 카카오’ 빅2 경쟁, 검색·메신저에서 전 산업 분야로 확산 게임: 한국 게임 산업 성장률, 20%→3%대 ‘뚝’…“2020년 더 어렵다” 광고&방송: IPTV가 매출 견인…유료방송 6조원대 성장 · 레저 및 엔터테인먼트 영화·엔터테인먼트: 글로벌 OTT 안방 공습으로 콘텐츠 시장 요동 여행: 여행·호텔·숙박·OTA 경계 흐려져…영토 확장 경쟁 가속화 · 생활용품 식품: 사실상 ‘완숙기’ 접어들어…건강기능식·가정간편식 확대 주목해야 의류: 2.7% 성장한 패션 시장,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생존 경쟁 화장품: 기지개 펴는 K뷰티, 수출 늘고 유커 돌아왔다 · 운송 항공: 새 주인 맞은 ‘제 2 국적사’ 아시아나… ‘새판 짜기’ 시작하는 항공시장 해운: 벌크선 웃고 컨테이너선 울고…‘IMO-2020’이 미칠 영향은 택배·육상운송: 택배업계, 단가 인상 효과 본궤도 오른다